케팔로투스
![]() | ||||||||||||||||
![]() Cephalotus follicularis | ||||||||||||||||
보전 상태 | ||||||||||||||||
---|---|---|---|---|---|---|---|---|---|---|---|---|---|---|---|---|
![]() 취약(VU), IUCN 3.1[1] | ||||||||||||||||
생물 분류![]() | ||||||||||||||||
| ||||||||||||||||
학명 | ||||||||||||||||
Cephalotus follicularis Labill. | ||||||||||||||||
![]() 케팔로투스의 분포 |
케팔로투스(Cephalotus follicularis)는 케팔로투스속(Cephalotus)의 유일종으로 식충 포충낭 식물이다. 짧은 줄기의 로제트로 자라며 식충 활동 할 수 있는 포충엽과 식충 활동 할 수 없는 비포충엽이 같이 자란다. 포충엽은 다자라면 3 cm 정도로 주머니와 같이 속이 비어 있으며 잎 위에는 벌레가 들어가는 입구와 뚜껑이 있다. 반면 비포충엽은 잎이 계란형 모양이며 포충엽과 달리 납작하다. 꽃대는 50cm정도이며 꽃은 원추화서로 하얀꽃이 핀다. 식충식물 애호가 사이에서 어느 정도 인기가 있다. 호주 서남부 재러 숲, 에스퍼런스 평원 모래가 있는 습지에 산다.
계통 분류[편집]
다음은 괭이밥목의 계통 분류이다.[2]
괭이밥목 |
| ||||||||||||||||||||||||||||||||||||
각주[편집]
![]() |
위키미디어 공용에 관련된 미디어 자료가 있습니다. |
![]() |
위키생물종에 관련된 분류 및 자료가 있습니다. |
![]() |
위키문헌에 이 글과 관련된 원문이 있습니다. |
![]() |
위키문헌에 이 글과 관련된 원문이 있습니다. |
- ↑ “Cephalotus follicularis”. 《멸종 위기 종의 IUCN 적색 목록. 2006판》 (영어). 국제 자연 보전 연맹. 2000. 2006년 5월 11일에 확인함.
- ↑ Stephens, P.F. (2001 onwards). Angiosperm Phylogeny Website. Version 9, June 2008. http://www.mobot.org/MOBOT/Research/APweb/
- McAlpine, D.K. (1998): Review of the Australian stilt flies (Diptera: Micropezidae) with a phylogenetic analysis of the family. Invertebrate Taxonomy 12(1): 55-134. doi 10.1071/IT96018 (HTML abstract)
- “Cephalotus”. 《FloraBase》. 웨스턴오스트레일리아 주 정부의 환경보전부.
- “Cephalotus follicularis”. 《FloraBase》. 웨스턴오스트레일리아 주 정부의 환경보전부.
- “Cephalotus follicularis — Albany Pitcher Plant”. 《Plant of the Month》. FloraBase. 2008년 1월. 2011년 5월 24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08년 3월 4일에 확인함.
- 케팔로투스속(Cephalotus) 정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