케이슨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배들이 케이슨을 끌고 가고 있다. 1961년 촬영

케이슨(영어: caisson)은 수중 구조물이나 기초를 구축하기 위하여 육상 또는 수상에서 만들어진 중공형태의 구조물로, 자중 또는 외력을 가하여 소정의 위치까지 침하시킨다.

종류[편집]

  • 오픈 케이슨(우물통, 정통 기초) : 바닥이 없는 원통 모양의 상자 내부를 굴착하면서 침하시킴.
  • 공기 케이슨(pneumatic caisson) : 케이슨 하부에 기밀한 작업공간을 만들고 그 속에 압축공기로 지하수를 배제하면서 인력 또는 특수한 기계를 이용하여 침하시킴.
  • 박스케이슨 : 속이 빈 박스 모양의 케이슨을 육상에서 제작하고, 물에 띄워 배를 이용해 끌고 간 뒤, 하중을 재하하여 침하시켜 설치함.

오픈 케이슨 거치 방법[편집]

거치방법은 축도식, 발판식(비계식), 예항식이 있다.

  • 축도식 : 시트 파일을 이용해 물막이 후 가운데 작은 섬을 만들고 그 위에 케이슨을 놓고 침하시켜 설치.
  • 발판식(비계식) : 비계를 설치하고 거기서 케이슨을 만들어 설치.
  • 예항식 : 육상에서 만든 케이슨을 배를 이용해 끌고와 설치.

오픈 케이슨 침하조건[편집]

아래 식을 만족하면 침하가 일어나 오픈 케이슨을 시공할 수 있다.

  • W : 케이슨 수직하중(자중, 재하중) (t)
  • F : 총 주면마찰력(t)
  • Q : 케이슨 선단부 지지력(t)
  • B : 부력(t)

오픈 케이슨 단점[편집]

오픈 케이슨은 공기 케이슨에 비해 아래와 같은 단점이 있다.

  • 굴착 시 히빙, 보일링 우려
  • 저면 콘크리트 불충분 양생 우려
  • 케이슨 경사 우려
  • 전석층 있을 때 침하 지연

오픈 케이슨 편위[편집]

아래의 경우 오픈 케이슨 침하 시 편위가 일어난다.

  • 파랑, 유수에 의한 수평하중
  • 호박돌, 전석층이 있는 경우
  • 재하중이 불균등한 경우
  • 지층 경사

공기 케이슨 침하조건식[편집]

아래 식 만족 시 공기 케이슨을 침하시킬 수 있다.

  • W : 케이슨 수직하중(자중+재하중)
  • U : 작업공기에 의한 양압력
  • F : 총 주면마찰력
  • Q : 선단지지력
  • B : 부력

참고 자료[편집]

외부 링크[편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