칼루나
보이기
![]() | |
---|---|
![]() | |
생물 분류ℹ️ | |
계: | 식물계 |
(미분류): | 속씨식물군 |
(미분류): | 진정쌍떡잎식물군 |
(미분류): | 국화군 |
목: | 진달래목 |
과: | 진달래과 |
아과: | 진달래아과 |
족: | 에리카족 |
속: | 칼루나속 Calluna Salisb., 1802 |
종: | 칼루나 |
학명 | |
Calluna vulgaris | |
(L.) Hull, 1808 | |
학명이명 | |
이명 목록[1]
|
칼루나(학명: Calluna vulgaris 칼루나 불가리스[*])는 진달래과의 단형 속인 칼루나속(학명: Calluna 칼루나[*])의 유일한 종이다.[2][3] 여러해살이 관목이며, 양지바른 곳이나 약간 그늘진 곳의 산성 토양에서 잘 자란다. 원산지는 시베리아부터 터키와 유럽을 거쳐 북아프리카와 마카로네시아에 이르는 지역이다.[4]
각주
[편집]- ↑ “Calluna vulgaris (L.) Hull”. 《The Plant List》 (영어). 2012년 3월 23일. 2019년 5월 18일에 확인함.
- ↑ Hull, John. The British Flora 1: 114. 1808.
- ↑ Salisbury, Richard Anthony (nee Markham). Transactions of the Linnean Society of London 6: 317. 1802.
- ↑ “Calluna vulgaris (L.) Hull”. 《GRIN-Global Web v 1.10.4.0》 (영어). 1995년 5월 15일. 2019년 5월 18일에 확인함.
![]() |
이 글은 진달래목에 관한 토막글입니다. 여러분의 지식으로 알차게 문서를 완성해 갑시다. |
분류:
- 그리스의 식물상
- 네덜란드의 식물상
- 노르웨이의 식물상
- 뉴질랜드의 식물상
- 덴마크의 식물상
- 독일의 식물상
- 라트비아의 식물상
- 러시아의 식물상
- 루마니아의 식물상
- 리투아니아의 식물상
- 마데이라 제도의 식물상
- 모로코의 식물상
- 미국의 식물상
- 벨기에의 식물상
- 벨라루스의 식물상
- 불가리아의 식물상
- 세르비아의 식물상
- 스웨덴의 식물상
- 스위스의 식물상
- 스페인의 식물상
- 슬로베니아의 식물상
- 아소르스 제도의 식물상
- 아일랜드의 식물상
- 알바니아의 식물상
- 영국의 식물상
- 오스트레일리아의 식물상
- 오스트리아의 식물상
- 우크라이나의 식물상
- 이탈리아의 식물상
- 진달래아과
- 캐나다의 식물상
- 크로아티아의 식물상
- 튀르키예의 식물상
- 포르투갈의 식물상
- 폴란드의 식물상
- 프랑스의 식물상
- 헝가리의 식물상
- 1808년 기재된 식물
- 칼 폰 린네가 명명한 분류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