리 군론에서 카르탕 대합(Cartan對合, 영어: Cartan involution)은 킬링 형식을 음의 정부호로 만드는 리 대수 대합이다.
실수 반단순 리 대수
가 주어졌으며, 그 킬링 형식


을 생각하자.
의 리 대수 자기 동형

가 다음 두 조건을 만족시킨다면, 카르탕 대합이라고 한다.
- (대합 조건)

는
위의 음의 정부호 이차 형식이다.
모든 실수 반단순 리 대수
는 카르탕 대합을 갖는다. 또한, 임의의 두 카르탕 대합
,
에 대하여

가 되는,
에 대응하는 단일 연결 리 군
의 원소
가 존재한다. 즉, 실수 반단순 리 대수에 대하여 카르탕 대합은 내부 자기 동형을 무시하면 유일하게 존재한다.
표수가 2가 아닌 체
위의 리 대수
의 대합

가 주어졌다고 하자. 그렇다면,
의 고윳값은
이므로, 이에 대한 고유 공간


을 정의할 수 있다.
는 리 대수 자기 동형이므로,
![{\displaystyle [{\mathfrak {k}},{\mathfrak {k}}]\subseteq {\mathfrak {k}}}](https://wikimedia.org/api/rest_v1/media/math/render/svg/dae3befc4917fea83017528e91bef550b7535009)
![{\displaystyle [{\mathfrak {k}},{\mathfrak {p}}]\subseteq {\mathfrak {p}}}](https://wikimedia.org/api/rest_v1/media/math/render/svg/f1c59d912891036f1f284150b478995fafaba919)
![{\displaystyle [{\mathfrak {p}},{\mathfrak {p}}]\subseteq {\mathfrak {k}}}](https://wikimedia.org/api/rest_v1/media/math/render/svg/a778ce0d2f15f29fc714893dca94eae05967b6f9)
이다. 특히,
는 부분 리 대수를 이룬다. 이를 대합
에 대한 카르탕 분해라고 한다.
만약
이며
가 카르탕 대합이라면, 다음 성질들이 추가로 성립한다.
- 킬링 형식
는
에서 음의 정부호 이차 형식이며,
에서 양의 정부호이다.
와
는
에 대하여 서로 수직이다. 즉,
이다.
위의 카르탕 대합은

이다. (여기서
은
정사각 행렬의 전치 행렬이다.) 이에 따른 카르탕 분해는


이다.
만약 실수 반단순 리 대수
의 킬링 형식이 음의 정부호라면 (즉, 콤팩트 리 군에 대응한다면), 카르탕 대합은 항등 함수이다. 이 경우 카르탕 분해는
이며
이다.
1880년대에 엘리 카르탕과 빌헬름 킬링의 업적에서 최초로 등장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