치미창가
![]() | |
다른 이름 | 치비창가 |
---|---|
종류 | 부리토 |
원산지 |
|
주 재료 | 밀 토르티야, 쌀, 치즈, 콩, 마차카, 할라피뇨, 카르네 아도바다, 닭고기 |
치미창가(스페인어: chimichanga, 스페인어: [tʃimiˈtʃaŋɡa])는 텍스멕스와 미국 남서부 요리에서 흔히 볼 수 있는 멕시코 부리토 튀김이다. 밀 토르티야에 쌀, 치즈, 콩을 비롯해 마차카(말린 고기)나 카르네 아도바다(절인 고기), 카르네 세카(말린 쇠고기), 잘게 찢은 닭고기 등 다양한 재료를 채워넣고 직사각형 모양으로 접은 뒤 기름에 튀겨 살사나 과카몰레, 사워크림, 카르네 아사다 등에 곁들여 먹는다.
기원[편집]

치미창가의 기원은 정확하지 않다. 누군가는 멕시코에서 유래하였다고 하며, 또 다른 누군가는 미국 애리조나 주에서 우연히 만들어졌다고 말한다.[1][2][3][4] 이 요리의 변형인 치비창가를 멕시코에서 주로 먹는 것을 생각해보면, 주로 사노라 주에서 애리조나 주를 통해 미국으로 이주한 사람들이 치비창가에서 파생된 요리를 전파했다고 볼 수 있다.[5] 치미(chimi)와 창가(changa)라는 단어는 멕시코 스페인어에서 태우다와 그을리다를 뜻하는 차무스카도(chamuscado, 동사 chamuscar의 과거 분사형)와 예상치 못했거나 사소한 모욕에 대한 무례한 표현인 칭가(chinga, 구어 동사 chingar의 3인칭 현재 시제)와 비슷한 창가(changa)에서 온 것이다.[6]
한 자료에 따르면, 애리조나주 투손에 위치한 레스토랑 엘카로(El Charro)의 설립자 모니카 플린은 1922년에 실수로 튀김기에 부리토를 떨어뜨렸다.[4] 그는 즉시 "chi..."(칭가다, chingada)로 시작하는 스페인어 욕설을 뱉으려고 했지만 재빨리 멈추고, 그 대신 돌려 말하고자 치미창가라고 외쳤다.[7] 이 요리에 대한 정보와 감상은 투손 지역부터 천천히 퍼져나갔고, 이후 수십년동안 다른 지역에서 인기를 얻는 데 속도가 붙었다. 오늘날에는 치미창가를 텍스멕스 요리의 하나로 보지만, 미국 내에서 그 뿌리는 애리조나주 투손에 있다.[5][8]
마카요의 멕시칸 키친(Macayo 's Mexican Kitchen)의 설립자 우디 존슨은 1946년 애리조나주 피닉스에 위치한 자신의 식당 우디의 엘니도(Woody's El Nido)에서 실험의 일환으로 부리토를 튀김기에 넣어서 치미창가를 고안해냈다고 주장했다.[9] 이 "튀긴 부리토"는 1952년 우디의 엘니도가 마카요가 되었을 때 치마창가를 식당의 주 메뉴 중 하나로 올리면서 매우 인기를 끌게 되었다. 존슨이 마카요를 연 것은 1952년이었다.[2] 이 요리가 언제 처음 등장했는지에 대한 공식 기록은 없지만, 애리조나 대학의 전 민속학자 짐 그리피스는 1950년대 중반 투손의 야쿠이 올드 파스쿠아 빌리지에서 치마창가를 보았다고 회상하였다.[10]
영양 정보[편집]
미국 농무부가 발표한 자료에 따르면, 쇠고기와 치즈 치미창가 183그램에는 443칼로리, 단백질 20그램, 탄수화물 39그램, 총 지방 23그램, 포화지방 11그램, 콜레스테롤 51밀리그램, 나트륨 957밀리그램이 포함되어 있다.[11][12][13]
참고 문헌[편집]
- ↑ Trulsson, Nora Burba (October 1999). “Chimichanga Mysteries: The Origin of Tucson's Deep-fried Masterpiece Is an Enigma Wrapped in a Tortilla”. 《Sunset》. ISSN 0039-5404. 2009년 3월 19일에 확인함 – HighBeam Research 경유.
- ↑ 가 나 Henderson, John (2007년 1월 24일). “We All Win as Chimichanga War Rages On”. 《The Denver Post》. 2009년 3월 19일에 확인함.
- ↑ Laudig, Michele (2007년 11월 22일). “Chimi Eat World: Arizona's deepest-fried mystery is smothered in cheese, guacamole and sour cream”. 《Phoenix New Times》. 2015년 2월 12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20년 9월 20일에 확인함.
- ↑ 가 나 Lacey, Marc (2011년 11월 15일). “Arizonans Vie to Claim Cross-Cultural Fried Food”. 《The New York Times》.
- ↑ 가 나 Margy Rochlin (2016년 9월 23일). “Where did the chimichanga, the glorious deep-fried burrito, come from anyway?”. 《Los Angeles Times》. 2019년 9월 24일에 확인함.
- ↑ Del Castillo, María (1966). 《Cocina mexicana》 [Mexican cuisine] (스페인어) 5판. México, D.F.: Editorial Olimpo. OCLC 4682105.
- ↑ Stradley, Linda (2017년 4월 27일) [May 18, 2015]. “Chimichanga History and Recipe”. What's Cooking America (blog).
- ↑ Meesey, Chris (2009년 4월 29일). “On The Range: Chimichangas”. 《Dallas Observer》. 2010년 12월 27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20년 9월 20일에 확인함.
- ↑ “The History of Our Traditional Mexican Restaurant - Macayo's”. 《www.macayo.com》. 2019년 3월 17일에 확인함.
- ↑ Miller, Tom (2000). 《Jack Ruby's Kitchen Sink: Offbeat Travels Through America's Southwest》. 79쪽. ISBN 9780792279594.
- ↑ “Basic Report: 21071, Fast foods, chimichanga, with beef and cheese”. United States Department of Agriculture. 2014년 11월 8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5년 2월 15일에 확인함.
- ↑ Stein, Natalie (2012년 5월 22일). “Nutrition Facts About Chimichangas”. 《San Francisco Chronicle》.
- ↑ Leeds, Jeff (1994년 7월 19일). “The Whole Enchilada: It's Too Fat for You, Study Says”. 《Los Angeles Tim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