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언위
보이기
이 문서의 내용은 출처가 분명하지 않습니다. (2014년 6월) |
최언위
崔彦撝 | |
---|---|
신라국 집사성 시랑 겸 대리집정공 (新羅國 執事省 侍郞 兼 代理執政公) | |
임기 | 910년 3월 1일 ~ 911년 2월 3일 |
군주 | 신라 효공왕 김요 |
고려국 평장사 (高麗國 平章事) | |
임기 | 941년 1월 23일 ~ 944년 2월 29일 |
군주 | 고려 태조 왕건 고려 혜종 왕무 |
신상정보 | |
출생일 | 868년 |
출생지 | 신라 금성 |
사망일 | 944년 (77세) |
사망지 | 고려 개경 |
학력 | 906년 중국 당나라 빈공과 급제 |
정당 | 무소속 |
본관 | 경주(慶州) |
자녀 | 슬하 4남 장남 최광윤(崔光胤) 차남 최행귀(崔行歸) 삼남 최광원(崔光遠) 사남 최행종(崔行宗) |
친인척 | 최치원(종형) 최승우(재종질) 최항(손자) |
종교 | 불교 → 유교 |
최언위(崔彦撝, 868년 ~ 944년)는 신라 말기와 고려 초기의 유학자이고 문신(文臣) 겸 향가 작가이자 한시 시인이며 서예가이다. 아명(兒名)은 최신지(崔愼之)이고 시호(諡號)는 문영(文英)이며 본관은 경주(慶州)이다.
생애
[편집]신라 말 나이 18살 때 당나라에 유학하고, 예부시랑(禮部侍郞) 설정규(薛廷珪)가 주관한 과거에 급제하였다. 당시 발해(渤海) 재상(宰相) 오소도(烏炤度)의 아들 오광찬(烏光贊)도 같이 과거에 급제했다.
나이 42세에 신라로 돌아오자, 집사성시랑(執事省侍郞)·서서원학사(瑞書院學士)로 임명되었다.
고려 태조가 나라를 세운 후 그가 온 가족을 거느리고 돌아오니, 태자사부(太子師傅)로 임명되고 문한(文翰)의 임무를 맡았다. 궁원(宮院)의 편액을 지었다. 벼슬은 대상(大相)·원봉태학사(元鳳太學士)·한림원령(翰林院令)·평장사에 이르렀다.
944년(혜종 원년)에 죽으니 나이가 77세였다. 정광(政匡)으로 추증되었다. 시호는 문영(文英)이다.
가족 관계
[편집]아들은 최광윤(崔光胤), 최행귀(崔行歸), 최광원(崔光遠), 최행종(崔行宗)이다.
같이 보기
[편집]이 글은 작가에 관한 토막글입니다. 여러분의 지식으로 알차게 문서를 완성해 갑시다. | |
이 글은 정치인에 관한 토막글입니다. 여러분의 지식으로 알차게 문서를 완성해 갑시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