청운공원
보이기
위치 | 서울특별시 종로구 청운동 3-52 외 |
---|---|
유형 | 공원 |
면적 | 24,968 m² |
개원 | 2007년 1월 |
웹사이트 | |
http://parks.seoul.go.kr |
청운공원(靑雲公園)은 서울특별시 종로구 청운동에 위치한 공원이다.
연혁
[편집]- 1968년 12월: 서울특별시에서 청운동 일대의 판자촌을 철거하고 26동의 시민아파트를 건설하는 계획을 밝힘[1]
- 1969년 3월: 162채의 판자촌을 철거하고 청운시민아파트를 착공함[2]
- 1969년 말: 11동(531세대)의 청운시민아파트 준공[3]
- 1970년 4월: 서울지방검찰청 부정공사수사반에서 청운시민아파트 4동의 불법 설계변경 사실을 밝힘[4]
- 1995년 5월: 청운시민아파트 재건축 사전결정[5]
- 1997년 2월: 청운시민아파트 재건축 계획 포기[5]
- 2005년 9월: 11동의 청운시민아파트가 모두 철거됨[6]
- 2007년 1월: 청운공원 개장[7]
- 2009년 7월 11일: 종로구에서 ‘윤동주 시인의 언덕’을 조성함[8]
- 2010년 12월 4일: 종로구에서 ‘윤동주 문학전시관’을 개관함[9]
- 2012년 7월 25일: 종로구에서 ‘윤동주 문학전시관’을 리모델링하여 윤동주문학관을 개관함[10]
- 2014년 11월 19일: 종로구에서 전통 한옥 형태의 ‘청운문학도서관’을 개관함[11]
시설
[편집]- 윤동주문학관
- 윤동주 시인의 언덕
- 청운문학도서관
각주
[편집]- ↑ “80개 판자촌양성화”. 《매일경제》. 1968년 12월 17일. 2017년 1월 9일에 확인함.
- ↑ “불량주택 칠천채 철거”. 《동아일보》. 1969년 3월 17일. 2017년 1월 9일에 확인함.
- ↑ “중산층에팔려갈 「영세민 아파트」”. 《매일경제》. 1969년 11월 7일. 2017년 1월 9일에 확인함.
- ↑ “구청장선서 매듭”. 《매일경제》. 1970년 4월 13일. 2017년 1월 9일에 확인함.
- ↑ 가 나 조연현 (1997년 2월 12일). “청운아파트 터에 공원 조성될듯”. 《한겨레》. 2017년 1월 9일에 확인함.
- ↑ 박봉권 (2005년 10월 18일). “종로 청운아파트 터에 공원조성”. 《매일경제》. 2017년 1월 9일에 확인함.
- ↑ 김경원 (2007년 1월 4일). “청운아파트 철거부지, 공원조성 마무리”. 《머니투데이》. 2017년 1월 9일에 확인함.
- ↑ 한평수 (2009년 7월 10일). “‘윤동주 시인의 언덕’ 인왕산 청운공원에”. 《문화일보》. 2017년 1월 9일에 확인함.
- ↑ 최명식 (2010년 12월 3일). “윤동주 언덕에 ‘윤동주 문학관’”. 《문화일보》. 2017년 1월 9일에 확인함.
- ↑ 이정현 (2012년 7월 23일). “종로 청운공원에 윤동주 문학관 개관”. 《연합뉴스》. 2017년 1월 9일에 확인함.
- ↑ 박종현 (2014년 11월 20일). “인왕산 멋진 자연미 더한 ‘한옥도서관’ 등장”. 《세계일보》. 2017년 1월 9일에 확인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