천안오룡경기장
둘러보기로 가기
검색하러 가기
전체 이름 | 천안오룡경기장 |
---|---|
원어 이름 | Cheonan Oryong Stadium |
소재지 | ![]() |
좌표 | 북위 36° 48′ 46″ 동경 127° 09′ 44″ / 북위 36.812694° 동경 127.162348° 좌표: 북위 36° 48′ 46″ 동경 127° 09′ 44″ / 북위 36.812694° 동경 127.162348° |
개장 | 1983년[1][2] |
철거 | 2009년 12월[2] |
소유 | 천안시청[1] |
운영 | 천안시시설관리공단[1] |
표면 | 천연잔디 (필드), 우레탄 (트랙) |
건설 비용 | 17억 9천 4백만 원[1] |
개최 대회 | K리그1 (1987년 ~ 1999년) |
홈 경기장 | 럭키금성 황소 축구단 (1987년 ~ 1989년) 천안 일화 천마 FC (1996년 ~ 1999년) |
좌석 | 20,000석[1] |
수용인원 | 25,000명[1] |
규모 | 필드: 110 × 76 m 트랙: 400 m × 8 레인 |
천안오룡경기장(天安五龍競技場, Cheonan Oryong Stadium)은 대한민국 충청남도 천안시에 있었던 스포츠 시설이다. 천연잔디 필드와 우레탄 트랙이 갖춰져 있어 축구와 육상 경기를 할 수 있었던 다목적 경기장이었다. 주로 축구 경기에 사용되었으며, 20,000명을 수용할 수 있었다.
2009년에 철거되었으며, 해당 부지에 오룡웰빙파크를 조성하여 정구 및 게이트볼장으로 이용하고 있다. 바로 옆에는 원성1동주민센터가 있다.
1996년에서 1999년까지 K리그 팀 천안 일화 천마 (현 성남 FC)의 홈구장으로 사용되었으나, 당시 조명탑이 없는 관계로 2000년 천안 일화의 성남으로의 연고 이전에 관한 가장 큰 명분이라고 알려졌지만 당시 천안시는 오룡경기장을 대신하는 천안종합운동장이 이미 1998년 12월에 기공을 하여[3] 2001년 완공되었으며 1996년에는 천안으로 연고지를 이전하기 전까지[4] 홈구장으로 쓰인 동대문운동장에서 대부분 홈경기를 치렀다. 그 후 오룡경기장은 트랙만 남겨 두고 2009년 철거되었다.[5]
각주[편집]
- ↑ 가 나 다 라 마 바 《전국 공공체육 시설 현황 (2007년말 기준)》. 대한민국 문화체육관광부. 2008.
- ↑ 가 나 〈천안오룡경기장〉. 《한국향토문화전자대전》. 한국학중앙연구원.
- ↑ “천안종합운동장 기공식”. 경향신문. 1998년 12월 18일.
- ↑ “프로축구 일화, 홈구장 천안 결정”. 연합뉴스. 1996년 3월 29일. 2019년 6월 26일에 확인함.
- ↑ “천안 오룡경기장 철거 완료”. 천안투데이. 2009년 12월 10일. 2013년 12월 20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1년 3월 24일에 확인함.
참고 문헌[편집]
- 〈천안오룡경기장〉. 《한국향토문화전자대전》. 한국학중앙연구원.
- 《전국 공공체육 시설 현황 (2007년말 기준)》. 대한민국 문화체육관광부. 200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