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명진 (1904년)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찬수 김명진에서 넘어옴)

김명진
金明辰
대한민국 경기도 인천시 시장 직무대행 서리
(大韓民國 京畿道 仁川市 市長 職務代行 署理)
임기 1950년 9월 2일 ~ 1950년 9월 26일
대통령 이승만 (대한민국 대통령)
의장 최응복 (대한민국 경기도 도지사 권한대행)
부통령 이시영 (대한민국 부통령)
총리 신성모 (대한민국 국무총리 서리)
장관 조병옥 (대한민국 내무부 장관)
차관 김갑수 (대한민국 내무부 차관)

신상정보
출생일 1904년 10월 8일(1904-10-08)
출생지 대한제국 경기도 인천 제물포 내동촌 152번지
거주지 대한민국 서울
대한민국 경기도 인천
사망일 1965년 4월 10일(1965-04-10)(60세)
사망지 자유중화민국 타이완 타이베이
학력 경기도 인천고등상업학교 중퇴
경력 한국독립당 국가민족자치행정위원
정당 무소속
본관 수안(遂安)
배우자 해주 최씨 부인(海州 崔氏 夫人, 1899~1968)
자녀 슬하 3남 2녀
종교 유교(성리학)
웹사이트 대한민국 국가보훈처 공훈록 - 001
대한민국 국가보훈처 공훈록 - 002
대한민국 국가보훈처 공훈록 - 003
대한민국 국가보훈처 공훈록 - 004
상훈 1996년 3월 1일, 대한민국 건국훈장 애족장 추서

김명진(金明辰, 1904년 10월 8일 ~ 1965년 4월 10일)은 대한민국독립운동가 겸 정치인이다. 본관수안. 한학(漢學)에 능통하였으며 자국어인 한국어 이외에도 중국어일본어에 능통하였다.

별칭[편집]

아명(兒名)은 김형오(金炯梧)·김명준(金明埈)이며, (號)는 산남(山南)·청호(靑虎)·찬수(贊樹, 鑽樹)·법천(法天)·협촌(峽村)·둔촌(屯村)·회촌(回村)이다.[1]

생애[편집]

경기도 인천 제물포 내동촌(京畿道 仁川 濟物浦 內洞村)에서 출생하였으며 지난날 한때 경기도 김포군 검단면 원당리(京畿道 金浦郡 黔丹面 元堂里)에서 잠시 유아기를 보낸 적이 있는 그는 1919년 3월, 경기도 인천고등상업학교 3학년에 재학 중 동급생들과 함께 동맹 휴학을 벌이던 차에 3·1 만세 운동이 전국으로 확산되는 과정에서 교내에서 일경의 사주를 받은 교원들에 대항을 하면서 항일 투쟁을 전개하였다. 인천고등상업학교 등등의 학교에서 동맹 맹휴 사태가 일어나자 일본 경찰은 학교 교원을 통하여 단체 성향 동맹 휴교 사태 돌입 중인 학생들에 대한 감시를 강화하고 있었다. 그리하여 김명진 등은 교원들로부터 심한 감시와 통제를 받는 고통을 받고 있었는데 이 과정에서 김명진은 교원들의 감시와 통제에서 전격 탈출키 위해 차라리 교내 통신망을 절단할 계획을 세우고, 동급생 이만용(李萬用)·선배 박철준(朴喆俊) 등과 함께 행동대를 조직하고 교내 통신망 절단 계획을 실행에 옮겼다. 그리하여 3월 8일 오후 9시경, 김명진·박철준은 인천공립보통학교 내에 몰래 들어가 전선 절단용 가위로 전화선을 절단하고, 사무실 전화기도 파손하면서 외부와의 통신을 절단하는데 성공하였다. 나아가 조직적인 동맹 관련 휴학을 계획하던 중, 지난 일이 발각되면서 김명진·박철준 등은 일경에 피체되고 말았다. 이 일로 인하여 그는 결국 퇴학되어 1919년 6월 21일 경성지방법원에서 소위 보안법·전신법·절도 관련 혐의 등으로 징역 2년형을 언도받았으나, 항소 관련 공소하여 같은 해(1919년) 7월 25일을 기하여 경성복십범원에서 징역 1년 6월형을 감형받고 옥고를 치렀다.

그 후 1923년 중화민국 장쑤 성 상하이로 망명하여 대한민국 임시정부 예하에서 1923년에서 1931년까지 한국독립당 국가민족자치행정위원을 지냈으며 1931년 한국독립당 탈당하였지만 이후 1932년 한국독립당 복당하여 한국독립당 국가민족군사책략위원 직을 1년간 지냈고 1933년 한국독립당 재탈당하였으며 이후로도 대한민국 임시 정부 예하 1~2급 첩보대원 활동한 그는 1936년 한국독립당 재복당하여 1936년에서 이후 1946년 12월까지 한국독립당 민족행정과학특보위원 직을 지냈고 1945년 중화민국 쓰촨 성 충칭에서 8.15 조선 광복을 목도한 그는 1946년 6월 조선 고국에 귀국하여 귀국 직후에는 주로 서울과 인천에 정주하였으며 1946년 12월 한국독립당을 탈당하였고 1947년 12월 한국민주당 입당하여 한국민주당 국가지방자치행정위원 직위를 지냈지만 1949년 12월 한국민주당을 탈당하였다.

이후 1950년 경기도 인천시장 직무대행 서리 직책을 잠시 지냈다.

학력[편집]

서훈[편집]

  • 그의 사후 대한민국 정부에서는 고인의 공훈을 기리어 1996년 3월 1일, 대한민국 건국훈장 애족장을 추서하였다.

외부 링크[편집]

각주[편집]

  1. 그 이외 1922년에서 1923년까지 일제 강점기 조선 시대 시절 경기도 부천경기도 장단경기도 연천경기도 포천경기도 광주경기도 파주경기도 개풍경기도 개성경기도 시흥황해도 평산평안남도 진남포평안남도 강동평안남도 용강평안남도 평양평안남도 순천평안북도 초산평안북도 의주평안북도 귀성평안북도 곽산평안북도 용천평안북도 정주평안북도 철산평안북도 후창평안북도 강계평안북도 자성평안북도 희천평안북도 삭주평안북도 박천평안북도 벽동평안북도 중강진에서 잠시 사용한 가명은 김태현(金台縣)· 김길준(金桔埈)·김승규(金昇奎)· 신영균(申英均)·신일천(愼逸遷)· 김두만(金杜滿)·진염(陳焰)·명노진(明蘆津)·이재희(李梓囍)·이희우(李禧禑)·이재민(李滓玟)·최영한(崔永翰)·김완규(金莞奎)·선우 진(鮮于 津)·이동민(李棟珉)·최현정(崔峴晶)·박용호(朴龍虎)·전월선(全鉞選)· 허할보(許轄輔)· 이승규(李丞規)·이상협(李翔浹) · 이해원(李解圓)·김경섭(金經涉)· 왕희지(王希志)· 김동명(金東銘)· 김홍(金洪)· 고은(高恩) ·김영란(金榮蘭)· 김찬우(金燦宇)· 이홍렬(李洪烈)이며, 1923년에서 1925년까지 일제 강점기 시절 국민정부 시대 중화민국 대륙 본토 후난 성 창사와 중화민국 허베이 성 톈진과 중화민국 허베이 성 베이핑과 중화민국 허난 성 정저우와 중화민국 허난 성 카이펑과 중화민국 장쑤 성 쑤저우와 중화민국 장쑤 성 난징과 중화민국 장쑤 성 우시와 중화민국 장쑤 성 창저우와 중화민국 장쑤 성 쉬저우와 중화민국 장쑤 성 쑤첸과 중화민국 장쑤 성 롄윈강과 중화민국 장쑤 성 상하이 거주 시절 중국어 가명은 쿵 천위안(孔陳元, 공진원푸 중양(朴仲楊, 박중양장 청주(姜城九, 강성구한 다슈(韓大秀, 한대수가오 윈치(高雲棋, 고운기신 샤오제(辛小杰, 신소걸추이 원췬(崔紋純, 최문순린 충(林沖, 임충푸 쭝쿠이(朴宗奎, 박종규리 창딩(李常丁, 이상정리룽(李龍, 이용, 이룡푸 저쥔(朴哲峻, 박철준푸 제쥔(朴潔均, 박결균양 르민(楊日珉)· 뤄 샹치(羅祥棋, 나상기)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