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역중심국·공립대학교총장협의회
둘러보기로 가기
검색하러 가기
약칭 | 지중국 |
---|---|
결성 | 2000년 |
유형 | 임의 단체 |
활동 지역 | 대한민국 |
형태 | 협의회 |
회원 | |
공식 언어 | 한국어 |
주요 인물 | 19 |
회장 | 곽병선 (군산대학교) |
지역중심국·공립대학교총장협의회(地域中心國公立大學校總長協議會)는 대한민국 19개의 국립 혹은, 공립 종합대학교가 가입한 협의체이다. 거점국립대학교에 속하지 않는 중소규모 국공립대의 협력과 교류를 목적으로 설립되었으며, 총회 등을 통해 국립대학 현안에 대해 의논한다.[1]
2000년 6월경, 거점국립대학교총장협의회에 소속되지 않은 채, 1991년 종합대학으로 승격한 강릉대학교, 공주대학교, 군산대학교, 목포대학교, 부경대학교, 순천대학교, 안동대학교, 창원대학교, 한국해양대학교 등은 새로운 국립 종합 대학 협의체 구성 필요성에 합의하여, 9개 지역 국립대학교 총장협의회를 설립한 것이, 지역중심국·공립대학교총장협의회의 시작이다.
설립 근거[편집]
- 고등교육법 제10조[2]
소속 대학[편집]
지역중심국공립대학교총장협의회의 소속 대학은 다음과 같다.[3]
교명 | 약어 | 설립 | 위치 | 학부 | 대학원 | 교원 | 표어 | 비고 |
---|---|---|---|---|---|---|---|---|
부경대학교 | PKNU | 1941 공립부산고등수산학교 | 부산광역시 남구 | 23,398 | 2,713 | 1,181 | 미래를 우리 손으로 | [4] |
한국해양대학교 | KMOU | 1945 진해고등상선학교 | 부산광역시 영도구 | 8,492 | - | 727 | 세계 최고 수준의 글로벌 해양특성화 종합대학 | [5] |
강릉원주대학교 | GWNU | 1946 공립강릉사범학교 | 강원도 강릉시 | 11,271 | 702 | 859 | 꿈을 향한 동행, 미래를 여는 대학 영어: A Companion toward your dream, A University opening up your future |
[6] |
공주대학교 | KNU | 1948 도립공주사범대학 | 충청남도 공주시 | 13,383 | 3,033 | 2,134 | 미래의 꿈 · 세계를 향한 도전 | [7] |
군산대학교 | KSNU | 1947 공립군산사범학교 | 전라북도 군산시 | 7,313 | 793 | 618 | 진리탐구 · 문화창조 · 사회봉사 한국 한자: 眞理探究 · 文化創造 · 社會奉仕 |
[6] |
목포대학교 | MNU | 1946 공립목포사범학교 | 전라남도 무안군 | 10,124 | 1,041 | 724 | 지역과 더불어 세계로, 미래로 | [8] |
순천대학교 | SCNU | 1935 공립순천농업학교 | 전라남도 순천시 | 11,005 | 972 | 568 | 지역과 함께 미래를 개척하는 전남대표 국립대학 | [4] |
안동대학교 | ANU | 1947 공립안동사범학교 | 경상북도 안동시 | 8,608 | 852 | 663 | 학생 역량강화 중점 대학 영어: Student-Force ANU |
[5] |
창원대학교 | CWNU | 1969 도립마산교육대학 | 경상남도 창원시 | 11,219 | 1,320 | 404 | 경남의 중심에서 아시아로 세계로 | [5] |
한국체육대학교 | KNSU | 1976 국립한국체육대학 | 서울특별시 송파구 | 2,541 | 581 | 270 | 진리 · 봉사 · 창조 영어: Truth · Service · Creation |
[6] |
한국교원대학교 | KNUE | 1984 국립한국교원대학교 | 충청북도 청주시 | 2,405 | 3,393 | 543 | 사랑·신뢰·인내 영어: Love·Confidence·Patience |
[6] |
목포해양대학교 | MMU | 1950 목포수산산성고등학교 | 전라남도 목포시 | 2,647 | 111 | 200 | 푸른바다 푸른 꿈, 바다를 경영하는 꿈이 있는 대학 | [6] |
금오공과대학교 | KIT | 1979 금오공과대학 | 경상북도 구미시 | 5,916 | 651 | 427 | 세계와 함께 미래 공학을 선도하는 대학 영어: Connect the world, Lead the future |
[6] |
서울과학기술대학교 | SEOULTECH | 1910 공립어의동실업보습학교 | 서울특별시 노원구 | 12,960 | 1,876 | 1,238 | 과학과 인간의 꿈 실현하는, 세계속의 대학 | [8] |
한밭대학교 | HBNU | 1927 공립홍성공업전수학교 | 대전광역시 유성구 | 8,768 | 517 | 949 | 미래가치를 창출하는 산학일체 혁신대학 | [8] |
한경대학교 | HKNU | 1939 공립안성농업학교 | 경기도 안성시 | 5,924 | 472 | 556 | 길을 만드는 대학, 경기 대표 국립 대학 | [7] |
한국교통대학교 | KNUT | 1965 국립충주공업초급대학 | 충청북도 충주시 | 12,445 | - | 650 | Connect the world | [5] |
경남과학기술대학교 | GNTECH | 1910 공립진주실업학교 | 경상남도 진주시 | 5,041 | 357 | 471 | 미래를 창조하는 GNTECH | [7] |
서울시립대학교 | UOS | 1918 공립경성농업학교 | 서울특별시 동대문구 | 9,059 | 2,705 | 659 | 시대정신과 미래가치를 선도하는 대학 | [8] |
특징[편집]
지역중심국·공립대학총장협의회 소속교 UI | ||||
---|---|---|---|---|
- | ||||
부경대학교 Pukyoung National University |
한국해양대학교 Korea Maritime and Ocean University |
강릉원주대학교 Gangneung-Wonju National University |
공주대학교 Kongju National University |
군산대학교 Kunsan National University |
- | - | - | ||
목포대학교 Mokpo National University |
순천대학교 Suncheon National University |
안동대학교 Andong National University |
창원대학교 Changwon National University |
한국체육대학교 Korea National Sports University |
- | - | |||
한국교원대학교 Korea National University of Education |
목포해양대학교 Mokpo National Maritime University |
금오공과대학교 Kumoh National Institute of Technology |
서울과학기술대학교 Seoul National University of Science and Technology |
한밭대학교 Hanbat National University |
- | - | |||
한경대학교 Hankyong National University |
한국교통대학교 Korea National University of Transportation |
경남과학기술대학교 Gyeongnam National University of Science and Technology |
서울시립대학교 University of Seoul |
- 대부분의 해당 대학교 총장은 장관급의 예우를 받는다.[9][10]
- 수도권, 충북권을 제외한 모든 권역에서의 학교 명칭은 대부분 해당 기초자치단체의 행정구역명칭을 사용하고 있다.
- 수도권의 서울과학기술대학교와 서울시립대학교, 부산·울산·경남권의 경남과학기술대학교만이 해당 지역의 광역자치단체 명칭을 사용중이다. 한경대학교의 경우 경기대학교가 교명을 선점하여 사용하지 못했다.
- 본래 국립대학의 협의체였지만, 일반대학일 경우 공립대학도 가입할 수 있도록 2012년에 회칙을 변경하면서 당해 3월, 유일한 공립 일반대학인 서울시립대학교가 합류하였다.
- 모든 대학중 오직 강릉원주대학교만이 치의학 교육 기관을 가지고 있다. 약학대학은 목포대학교와 순천대학교에만 설립되어 있다. 강릉원주대학교는 대학치과병원을 보유하고 있다.
- 모든 대학 중 서울시립대학교만이 법학전문대학원을 설치하고 있다.
- 모든 대학중 공주대학교, 목포대학교, 순천대학교, 안동대학교, 한국교원대학교는 중등교육 교원 양성 기관인 사범대학이 설치되어 있다. 한국교원대학교에 교대부초, 사대부중, 사대부고가 모두 설치되어 있으며, 공주대학교에 사대부중, 사대부고가 설치되어 있다.
- 지역중심국공립대학교총장협의회는 국립 유치원을 부설한 학교가 모두 소속되어 있다. 각각 강릉원주대학교, 공주대학교, 한국교원대학교다.
- 모든 대학중 금오공과대학교, 목포해양대학교, 한국체육대학교, 한국해양대학교, 한밭대학교를 제외한 모든 학교에는 예술 교육 과정이 편제되어 있다.
- 정부의 지속적인 국립대학 통합정책에 따라 1992년 군산수산전문대학이 군산대학교와 통합했으며, 2008년 원주대학이 강릉대학교와 통합해 강릉원주대학교가 되었다. 외에도 1992년 예산농업전문대학, 2001년 공주문화대학, 2005년 천안공업대학이 공주대학교와 통합되었고, 1996년 부산수산대학교와 부산공업대학교가 통합하여 부경대학교가, 2005년 충주대학교와 청주과학대학이 충주대학교로 통합한데 이어, 2011년 한국철도대학을 통합하여 한국교통대학교가 되었다.
갤러리[편집]
연혁[편집]
- 2007년 9월 13일 금오공대, 목포해양대, 한국교원대, 한국체대 등 4개 대학 가입 승인
- 2012년 2월 종합 공립대학도 협의체 가입할 수 있도록 회칙 변경
- 2012년 3월 22일 서울시립대학교 가입 승인[11]
교류[편집]
지역중심국공립대학교 19개교는 양해각서를 체결하고, 교수·학생 교류와 공동학술지 발간 및 학술정보 교류, 연구기자재 및 시설물의 공동 이용, 공동연구과제 수행 및 학술회의 개최, 행정인력 및 행정정보 교류 등을 이행할 것을 이야기하고, 각 대학별로 교류하고 있다.
같이 보기[편집]
참조[편집]
각주[편집]
- ↑ 창원대, ‘지역중심 국공립대학교 총장협의회’ 개최, 한국 대학 신문, 2018년 1월 28일
- ↑ 제10조(학교협의체) ① 대학·산업대학·교육대학·전문대학 및 원격대학 등은 고등교육의 발전을 위하여 각 학교의 대표자로 구성하는 협의체(協議體)를 운영할 수 있다.
- ↑ 안동대서 지역중심 국립대학교 총장협의회 개최, 중앙일보, 2007년 9월 14일
- ↑ 가 나 2013년 기준 자료임
- ↑ 가 나 다 라 2020년 기준 자료임
- ↑ 가 나 다 라 마 바 2018년 기준 자료임
- ↑ 가 나 다 2017년 기준 자료임
- ↑ 가 나 다 라 2019년 기준 자료임
- ↑ 단, 금오공과대학교, 목포해양대학교, 한경대학교, 한국체육대학교, 한밭대학교의 총장은 차관급 예우를 받는다.
- ↑ 서울시립대학교 총장은 공립대학중 유일하게 장관급 예우에 해당한다.
- ↑ ‘지역 중심 국공립대학 총장협의회’ 모임, 22일 진주 경남과학기술대, 오마이뉴스, 2012년 3월 21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