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안시 (장시성)
보이기
약자: 赣D | |
![]() | |
행정 단위 | 지급시 |
---|---|
청사소재지 | 지저우구 |
면적 | 25,219km2 |
인구 (2007년) 인구밀도 |
4,810,000명 191/km2 |
지역전화 | 796 |
우편번호 | 343000 |
시차 | UTC+8 |
웹사이트: www.jian.gov.cn |
지안(한국어: 길안, 중국어: 吉安, 병음: Jí'ān)은 중화인민공화국 장시성에 위치한 지급시이다. 지역의 언어로는 간어를 사용한다.
역사
[편집]송나라 이전
[편집]본래 예장군에 속했다가 후한말 여릉군이 분리되면서 여릉군에 속하게 되었다. 이후 당나라까지 자세한 연혁은 여릉군 (중국)문서참조.
송나라
[편집]상급주로 군명은 여릉군이었다. 군사가 파견되었다. 숭녕 연간에는 335,710호, 957,256명이 살았다. 칡을 공납으로 바쳤다. 8현을 두었다.[1]
현명 | 한자 | 대략적 위치 | 현급 | 비고 |
---|---|---|---|---|
길수현 | 吉水縣 | 지안시 | 望 | 984년(옹희 원년) 여릉 땅에서 분리 신설했다. |
안복현 | 安福縣 | 지안시 안푸현 | 望 | |
태화현 | 太和縣 | 지안시 타이허현 | 望 | |
용천현 | 龍泉縣 | 지안시 쑤이촨현 | 望 | 1121년(선화 3년), 천강현(泉江縣)으로 개명되었다가 소흥 연간에 옛 이름으로 돌아갔다. |
영신현 | 永新縣 | 지안시 융신현 | 望 | 지화 원년, 길수현 땅에서 영신현을 신설했다. |
영풍현 | 永豐縣 | 지안시 융펑현 | 望 | |
만안현 | 萬安縣 | 지안시 완안현 | 望 | 1068년(희녕 4년), 용천현 만안진에서 현으로 승격되었다. |
지리
[편집]지안시의 중서부에 장시성이 위치한다. 남쪽으로 간저우시, 동쪽으로 푸저우시, 북쪽으로 신위시, 이춘시, 핑샹시, 서쪽으로 후난성 주저우시와 접한다. 북위 25°58′32″~27°57′50″,동경113°46′~115°56′ 사이에 위치한다. 연평균 기온은 18.3 °C이다.
지형은 산지, 구릉, 소평원으로 이루어져 있다. 산지가 총 면적의 51%, 평원이 23%, 구릉이 23%, 강과 호수가 4%를 차지한다. 시의 65.3%가 숲으로 덮여있다.
기후
[편집]지안시 지안현의 기후 | |||||||||||||
---|---|---|---|---|---|---|---|---|---|---|---|---|---|
월 | 1월 | 2월 | 3월 | 4월 | 5월 | 6월 | 7월 | 8월 | 9월 | 10월 | 11월 | 12월 | 연간 |
역대 최고 기온 °C (°F) | 26.8 (80.2) |
31.0 (87.8) |
32.6 (90.7) |
36.2 (97.2) |
36.8 (98.2) |
38.1 (100.6) |
40.9 (105.6) |
40.8 (105.4) |
39.6 (103.3) |
36.7 (98.1) |
32.9 (91.2) |
29.4 (84.9) |
40.9 (105.6) |
일평균 최고 기온 °C (°F) | 10.5 (50.9) |
13.7 (56.7) |
17.3 (63.1) |
23.9 (75.0) |
28.4 (83.1) |
31.1 (88.0) |
34.7 (94.5) |
34.0 (93.2) |
30.4 (86.7) |
25.5 (77.9) |
19.5 (67.1) |
13.3 (55.9) |
23.5 (74.3) |
일일 평균 기온 °C (°F) | 6.9 (44.4) |
9.5 (49.1) |
13.2 (55.8) |
19.3 (66.7) |
23.9 (75.0) |
26.9 (80.4) |
29.9 (85.8) |
29.2 (84.6) |
25.7 (78.3) |
20.5 (68.9) |
14.8 (58.6) |
9.0 (48.2) |
19.1 (66.3) |
일평균 최저 기온 °C (°F) | 4.4 (39.9) |
6.7 (44.1) |
10.2 (50.4) |
16.0 (60.8) |
20.5 (68.9) |
23.8 (74.8) |
26.3 (79.3) |
25.6 (78.1) |
22.2 (72.0) |
16.9 (62.4) |
11.3 (52.3) |
5.8 (42.4) |
15.8 (60.5) |
역대 최저 기온 °C (°F) | −7.1 (19.2) |
−8.0 (17.6) |
−1.6 (29.1) |
2.7 (36.9) |
10.6 (51.1) |
15.5 (59.9) |
19.0 (66.2) |
19.3 (66.7) |
12.5 (54.5) |
3.3 (37.9) |
−3.0 (26.6) |
−6.7 (19.9) |
−8.0 (17.6) |
평균 강수량 mm (인치) | 75.5 (2.97) |
89.4 (3.52) |
185.1 (7.29) |
199.4 (7.85) |
224.4 (8.83) |
277.9 (10.94) |
159.1 (6.26) |
136.6 (5.38) |
80.9 (3.19) |
60.9 (2.40) |
84.0 (3.31) |
58.1 (2.29) |
1,631.3 (64.23) |
평균 강수일수 (≥ 0.1 mm) | 13.1 | 13.6 | 18.1 | 17.6 | 17 | 16.1 | 10.6 | 11.9 | 8.4 | 7.3 | 9.6 | 10.3 | 153.6 |
평균 강설일수 | 2.2 | 1.1 | 0.4 | 0 | 0 | 0 | 0 | 0 | 0 | 0 | 0 | 0.8 | 4.5 |
평균 상대 습도 (%) | 81 | 81 | 83 | 81 | 80 | 81 | 72 | 76 | 78 | 75 | 78 | 77 | 79 |
평균 월간 일조시간 | 65.7 | 68.5 | 72.6 | 102.1 | 124.6 | 132.4 | 229.4 | 208.0 | 160.4 | 145.4 | 116.3 | 104.0 | 1,529.4 |
가능 일조율 | 20 | 22 | 19 | 27 | 30 | 32 | 55 | 52 | 44 | 41 | 36 | 32 | 34 |
출처: 중국기상국 (평년값: 1991년~2020년, 극값: 1971년~2010년)[2][3][4] |
행정 구역
[편집]2개의 시할구, 1개의 현급시, 10개의 현을 관할한다.

시할구
현급시
- 징강산시(井冈山市)
현
각주
[편집]- ↑ 《송사》 권88 지리지 4 강남서로 감주 [1]
- ↑ 中国气象数据网 – WeatherBk Data (중국어 간체). 중국기상국. 2023년 9월 23일에 확인함.
- ↑ 中国气象数据网 (중국어 간체). 중국기상국. 2023년 9월 23일에 확인함.
- ↑ 中国地面国际交换站气候标准值月值数据集(1971-2000年). 중국기상국. 2013년 9월 21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외부 링크
[편집]위키미디어 공용에 지안시 관련 미디어 분류가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