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롱박 세포
보이기
이 문서는 소뇌의 신경 세포에 관한 것입니다. 심장 전기 전도계의 세포에 대해서는 푸르키녜 섬유 문서를 참고하십시오.
조롱박 세포 | |
---|---|
정보 | |
발음 | Often pronounced as /pɜːrˈkɪndʒi/ pur-KIN-jee;[1] but Czech pronunciation is (cs cells |
위치 | Cerebellum |
형태 | Flat dendritic arbor |
기능 | Inhibitory projection neuron |
신경전달물질 | GABA |
시냅스전 연결 | Parallel fibers and climbing fibers |
시냅스후 연결 | Cerebellar deep nuclei |
식별자 | |
MeSH | D011689 |
NeuroNames | 365 |
NeuroLex ID | sao471801888 |
TA98 | A14.1.07.404 |
FMA | 67969 |
조롱박 세포[2] 또는 푸르키녜 세포(Purkinje cell, 푸르킨예 세포) 또는 푸르키녜 뉴런(Purkinje neuron)은 1837년에 이를 발견한 체코의 생리학자 얀 에반겔리스타 푸르키녜의 이름을 따서 명명되었으며,[3] 뇌의 소뇌 피질에 위치한 독특한 유형의 눈에 띄는 대형 뉴런이다. 플라스크 모양의 세포체, 많은 분지형 수상돌기, 단일 긴 축삭을 가진 이 세포는 운동 활동을 제어하는 데 필수적이다. Purkinje 세포는 주로 GABA(감마-아미노부티르산) 신경전달물질을 방출하여 일부 뉴런을 억제하여 신경 자극 전달을 줄인다. Purkinje 세포는 이러한 억제 작용을 통해 신체의 운동 동작을 효율적으로 제어하고 조정한다.[4][5]
구조
[편집]분자
[편집]발달
[편집]기능
[편집]임상적 중요성
[편집]어원
[편집]같이 보기
[편집]각주
[편집]- ↑ Jones, Daniel (2011). Roach, Peter; Setter, Jane; Esling, John, 편집. 《Cambridge English Pronouncing Dictionary》 18순위판. Cambridge University Press. ISBN 978-0-521-15255-6.
- ↑ 대한의협 의학용어 사전, 대한해부학회 의학용어 사전 https://www.kmle.co.kr/search.php?Search=Purkinje+cell&EbookTerminology=YES&DictAll=YES&DictAbbreviationAll=YES&DictDefAll=YES&DictNownuri=YES&DictWordNet=YES
- ↑ Purkinje, J. E. (1837). Neueste Untersuchungen aus der Nerven und Hirn Anatomie. Bericht über die Versammlung deutscher Naturforscher und Aerzte in Prag im September, 1883, 177-180.
- ↑ “Purkinje cell | Granule cells, Cerebellum & Neurons | Britannica”. 《www.britannica.com》 (영어). 2024년 1월 5일. 2024년 1월 16일에 확인함.
- ↑ Paul, Manika S.; Limaiem, Faten (2023), “Histology, Purkinje Cells”, 《StatPearls》 (Treasure Island (FL): StatPearls Publishing), PMID 31424738, 2024년 1월 16일에 확인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