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이동

정계선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정계선
2025년 1월 2일 헌법재판소 재판관 취임식에서의 정계선
2025년 1월 2일 헌법재판소 재판관 취임식에서의 정계선
대한민국의 헌법재판소 재판관
재임 중
취임일 2025년 1월 1일
선출 제22대 국회
(더불어민주당 추천)
임명 최상목 대통령 권한대행

이름
로마자 표기 Chung Kyesun[1]
신상정보
출생일 1969년(55~56세)
출생지 충청북도 충주
학력 서울대학교 법학학사
경력
  • 서울중앙지방법원 부장판사
  • 서울서부지방법원장

정계선(鄭桂先,[2] 1969년 ~)은 서울서부지방법원장, 헌법재판소 재판관 등을 지낸 대한민국의 법조인이다.

생애

[편집]

1969년 충북 충주에서 태어나,[3][4][5]충주여자고등학교를 졸업하고 1987년 서울대학교 의예과에 입학하였으나 1988년 서울대학교 법과대학에 재입학했다. 1993년 서울대학교 법과대학 공법학과를 졸업하고 1995년 사법시험에 수석합격하였다.[6] 사법연수원을 27기로 수료한 뒤, 1998년 서울지방법원 판사로 임관 후 서울행정법원 및 서울남부지방법원 등을 거쳐 헌법재판소에서 파견 근무를 한 경험이 있으며, 여성 최초로 서울중앙지방법원 부패 전담부 재판장을 맡기도 하였다.[7]

진보성향의 법관 단체 '우리법연구회'와 '국제인권법연구회'에서 모두 회장을 맡아 활동했고[8] 다스 횡령 및 삼성 뇌물수수 등의 혐의로 구속기소된 이명박 전 대통령에게 제1심에서 징역 15년을 선고하였다.[9] 2024년 1월에는 조희대 대법원장에 의해 서울서부지방법원장으로 임명되었다.[10]

국회에서 선출하는 헌법재판소 재판관 후보 중 더불어민주당 몫으로 2024년 10월부터 유력하게 검토되었으며,[11] 2024년 12월 26일에 국회에서 선출안이 가결되었고, 같은 달 31일에 최상목 대통령 권한대행에 의해 헌법재판소 재판관 임명안이 재가되었다.[12] 2025년 1월 1일에 임기가 시작되어 1월 2일에 취임식을 치렀다.[13]

각주

[편집]
  1. “Current Justices”. 《Constitutional Court of Korea》. 대한민국 헌법재판소. 2025년 1월 13일에 확인함. 
  2. “대법원 인사 (지법부장판사 이하)”. 《법률신문》 (서울: 법률신문사). 2007년 2월 21일. 2024년 12월 31일에 확인함. 
  3. 성주원 (2024년 12월 31일). “[프로필]정계선 헌법재판관”. 《이데일리》 (서울: 이데일리). 2024년 12월 31일에 확인함. 
  4. 조은수 (2025년 1월 13일). “정계선 헌법재판관 프로필은?”. 《금강일보》 (대전: 금강일보). 2025년 1월 13일에 확인함. 
  5. “[국회방송 생중계] 정계선 헌법재판관 후보자 인사청문회 (24.12.23.)”. 《국회방송》 (서울: 국회방송). 2024년 12월 23일. 2025년 1월 13일에 확인함. 
  6. “사법시험 수석합격 정계선씨”. 《조선일보》 (서울: 조선일보사). 1995년 10월 25일. 2024년 12월 31일에 확인함. 
  7. 송진원 (2018년 10월 5일). '사시수석때 소신' 지킨 정계선 부장판사…MB에 "책임맞는 처벌". 《연합뉴스》 (서울). 2024년 12월 31일에 확인함. 
  8. 이범준 (2021년 5월 18일). “우리법연구회의 긴 그림자”. 《경향신문》 (서울: 경향신문사). 2024년 12월 31일에 확인함. 
  9. 박수연 (2018년 10월 5일). “[판결] "다스 실소유자는 MB"… 이명박 前 대통령, 1심서 징역 15년”. 《법률신문》 (서울: 법률신문사). 2024년 12월 31일에 확인함. 
  10. 김혜리 (2024년 1월 26일). “‘조희대 코트’ 첫 법원장 인사··· 여성 법원장 4명 보임”. 《경향신문》 (서울: 경향신문사). 2024년 12월 31일에 확인함. 
  11. 박준규 (2024년 10월 16일). “민주당, 헌법재판관 후임에 'MB 징역 15년' 정계선 유력 검토... 김성주 판사도 물망”. 《한국일보》 (서울: 한국일보사). 2024년 12월 31일에 확인함. 
  12. 이승준; 기민도 (2024년 12월 31일). “최상목, 헌법재판관 2명 임명…탄핵심판 ‘8인 체제’”. 《한겨레》 (서울: 한겨레신문사). 2024년 12월 31일에 확인함. 
  13. 홍윤지 (2025년 1월 2일). “조한창·정계선 헌법재판관 취임…헌재 '8인 체제' 가동”. 《법률신문》 (서울: 법률신문사). 2025년 1월 29일에 확인함. 

외부 링크

[편집]
전임
김기영
헌법재판소 재판관
2025년 1월 1일~2030년 12월 31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