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두엽 활동량 감소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전두엽활동량감소(Hypofrontality)는 뇌의 전두엽(frontal lobe) 및 전전두피질(prefrontal cortex)에서 뇌 혈류(CBF,cerebral blood flow)가 감소 된 상태로 정의된다. 전두엽 활동량 감소(Hypofrontality)는 정신 분열증, 주의력 결핍 과잉 행동 장애(ADHD), 양극성 장애 및 주요 우울 장애와 같은 여러 신경 학적 질환의 증상에서 진단적 조건중 하나 또는 임상적 병변 징후의 하나로 확인된다.[1][2][3] 이 상태는 1974년에 잉그바(Ingvar, D. H.)와 프랜젠(Franzén, G.)에 의해 32개의 검출기가있는 크세논 혈류 기술을 사용하여 정신 분열증 환자의 뇌를 영상화함으로써 처음 설명되었다.[4] 이 발견은 18F-FDG(fluorodeoxyglucose) 추적자를 사용한 양전자 방출 단층 촬영(PET)의 향상된 공간 해상도를 사용한 후속 연구에서 추가 확인되었다.[5] 이후의 신경 영상 연구는 전두엽 CBF의 감소가 전두엽 피질의 내측, 외측 및 안와 부분에 국한된다는 것을 보여 주었다.[6] 전두엽 활동량 감소(Hypofrontality)는 많은 연구에서 정신 분열증의 부정적인 증상에 기여하는 것으로 여겨지고있다.[4][7][8][9] 전두엽활동량감소(Hypofrontality)는 처음에는 이러한 상태를 치료하는 데 사용되는 항 정신병 약물의 부작용으로 생각되었다. 그러나 위스콘신 카드 분류 검사에서 우 전두엽, 좌 측두엽 및 좌 소뇌의 활동이 감소하는 것은 항 정신병 약을 받은 적이 없는 정신 분열증 환자에게서 볼 수 있다는 교차 연구에서 이는 사실이 아님을 시사하게 되었다.[10]

같이 보기[편집]

참고[편집]

  1. Bullmore, E.; Brammer, M.; Williams, S. C. R.; Curtis, V.; McGuire, P.; Morris, R.; Murray, R.; Sharma, T. (1999). “Functional MR imaging of confounded hypofrontality”. 《Human Brain Mapping》 8 (2–3): 86–91. doi:10.1002/(SICI)1097-0193(1999)8:2/3<86::AID-HBM3>3.0.CO;2-S. PMC 6873309. PMID 10524597. 
  2. Rubia, K.; Overmeyer, S.; Taylor, E.; Brammer, M.; Williams, S. C.; Simmons, A.; Bullmore, E. T. (1999). “Hypofrontality in attention deficit hyperactivity disorder during higher-order motor control: A study with functional MRI”. 《The American Journal of Psychiatry》 156 (6): 891–896. doi:10.1176/ajp.156.6.891. PMID 10360128. 
  3. Molina, V.; Sanz, J.; Reig, S.; Martínez, R.; Sarramea, F.; Luque, R.; Benito, C.; Gispert, J. D.; Pascau, J.; Desco, M. (2005). “Hypofrontality in men with first-episode psychosis”. 《The British Journal of Psychiatry》 186 (3): 203–208. doi:10.1192/bjp.186.3.203. PMID 15738500. 
  4. Ingvar, D. H.; Franzén, G. (1974). “Abnormalities of cerebral blood flow distribution in patients with chronic schizophrenia”. 《Acta Psychiatrica Scandinavica》 50 (4): 425–462. doi:10.1111/j.1600-0447.1974.tb09707.x. PMID 4423855. S2CID 20635668. 
  5. Buchsbaum, Monte S. (1982). “Cerebral Glucography With Positron Tomography”. 《Archives of General Psychiatry》 39 (3): 251–9. doi:10.1001/archpsyc.1982.04290030001001. ISSN 0003-990X. PMID 6978119. 
  6. Andreasen, N. C.; O'Leary, D. S.; Flaum, M.; Nopoulos, P.; Watkins, G. L.; Boles Ponto, L. L.; Hichwa, R. D. (1997). “Hypofrontality in schizophrenia: Distributed dysfunctional circuits in neuroleptic-naïve patients”. 《Lancet》 349 (9067): 1730–1734. doi:10.1016/S0140-6736(96)08258-X. PMID 9193383. S2CID 6394583. 
  7. Liddle, P. F.; Friston, K. J.; Frith, C. D.; Hirsch, S. R.; Jones, T.; Frackowiak, R. S. (1992). “Patterns of cerebral blood flow in schizophrenia”. 《The British Journal of Psychiatry》 160 (2): 179–186. doi:10.1192/bjp.160.2.179. PMID 1540757. 
  8. Andreasen, N. C.; Rezai, K.; Alliger, R.; Swayze Vw, 2.; Flaum, M.; Kirchner, P.; Cohen, G.; O'Leary, D. S. (1992). “Hypofrontality in neuroleptic-naive patients and in patients with chronic schizophrenia. Assessment with xenon 133 single-photon emission computed tomography and the Tower of London”. 《Archives of General Psychiatry》 49 (12): 943–958. doi:10.1001/archpsyc.1992.01820120031006. PMID 1360199. 
  9. Weinberger, D. R. (1987). “Implications of normal brain development for the pathogenesis of schizophrenia”. 《Archives of General Psychiatry》 44 (7): 660–669. doi:10.1001/archpsyc.1987.01800190080012. PMID 3606332. 
  10. Riehemann, S.; Volz, H. P.; Stützer, P.; Smesny, S.; Gaser, C.; Sauer, H. (2001). “Hypofrontality in neuroleptic-naive schizophrenic patients during the Wisconsin Card Sorting Test--a fMRI study”. 《European Archives of Psychiatry and Clinical Neuroscience》 251 (2): 66–71. doi:10.1007/s004060170055. PMID 11407441. S2CID 1487048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