저마그네슘혈증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저마그네슘혈증
마그네슘
진료과내분비학 위키데이터에서 편집하기

저마그네슘혈증(低-血症, hypomagnesemia, hypomagnesaemia)은 혈중 마그네슘 농도가 낮은 전해질 이상이다.[1] 정상 마그네슘 농도는 1.7–2.2 mg/dL 사이로, 1.7 mg/dL (0.7 mmol/L) 보다 낮으면 저마그네슘혈증으로 정의한다.

증상[편집]

마그네슘 결핍은 피곤함, 전반적인 약화, 근경련, 부정맥, 미진, 저림, 심계항진, 저칼륨혈증, 부갑상선 기능 저하증을 동반한 신경계통의 과민성 증가를 유발할 수 있으며, 그 결과 저칼슘혈증, 연골석회화증, 경직, 테타니, 발작, 기저핵 석회화, 또 극심하고 장기적인 경우 혼수상태, 지적 장애, 사망으로 이어질 수 있다.[2] 저마그네슘혈증과 관련되는 것으로 제안되고 있는 그 밖의 증상들로는 아테토시스, 저킹(jerking), 안구진탕증, 신근족저반사, 혼란, 방향감각상실, 환각, 우울증, 고혈압, 빠른맥이 있다.

병인[편집]

마그네슘 결핍은 입원 환자들에게 흔하다. 고마그네슘혈증(마그네슘의 수준이 높은 증상)은 거의 대부분 의료에 의해 발생한다. 병원에 입원한 모든 환자들 가운데 최대 12%, 그리고 집중치료실(ICU) 환자들의 60~65% 정도가 저마그네슘혈증을 앓고 있다.[3][4]

혈중 마그네슘 농도가 낮다는 것은 식사에 마그네슘이 충분치 않거나 창자가 충분한 마그네슘을 흡수하지 못한다거나 콩팥이 너무 많은 마그네슘을 분비하고 있다는 것을 뜻한다. 결핍은 다음의 조건 때문에 발생할 수 있다:

약물[편집]

투약[편집]

유전적 병인[편집]

대사 이상[편집]

기타[편집]

치료[편집]

저마그네슘혈증의 치료는 결핍 정도와 임상적 영향에 따라 다르다. 경미한 증상의 환자에게는 구강 보충제를 복용하는 것이 적절하며, 극심한 임상적 영향을 겪는 환자에게는 정맥 주사가 권장된다.[10]

같이 보기[편집]

각주[편집]

  1. "hypomagnesemia" - 돌란드 의학사전
  2. Viering, Daan H. H. M.; Baaij, Jeroen H. F. de; Walsh, Stephen B.; Kleta, Robert; Bockenhauer, Detlef (2016년 5월 27일). “Genetic causes of hypomagnesemia, a clinical overview”. 《Pediatric Nephrology》 (영어): 1–13. doi:10.1007/s00467-016-3416-3. ISSN 0931-041X. 
  3. “보관된 사본”. 2016년 12월 10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7년 3월 4일에 확인함. 
  4. ZALMAN S. AGUS (1999). “Hypomagnesemia”. 《Journal of the American Society of Nephrology》 10 (7): 1616. 
  5. Whang R, Hampton EM, Whang DD (1994). “Magnesium homeostasis and clinical disorders of magnesium deficiency”. 《Ann Pharmacother》 28 (2): 220–6. doi:10.1177/106002809402800213. PMID 8173141. 
  6. http://www.fda.gov/Safety/MedWatch/SafetyInformation/SafetyAlertsforHumanMedicalProducts/ucm245275.htm
  7. Sheen, E; Triadafilopoulos, G (April 2011). “Adverse effects of long-term proton pump inhibitor therapy.”. 《Digestive diseases and sciences》 56 (4): 931–50. doi:10.1007/s10620-010-1560-3. PMID 21365243. 
  8. Chareonpong-Kawamoto N, Yasumoto K (1995). “Selenium deficiency as a cause of overload of iron and unbalanced distribution of other minerals”. 《Biosci. Biotechnol. Biochem.》 59 (2): 302–6. doi:10.1271/bbb.59.302. PMID 7766029. 
  9. Sihler, KC; Napolitano, LM (January 2010). “Complications of massive transfusion.”. 《Chest》 137 (1): 209–20. doi:10.1378/chest.09-0252. PMID 20051407. 
  10. Durlach J, Durlach V, Bac P, Bara M, Guiet-Bara A (1994). “Magnesium and therapeutics”. 《Magnes Res》 7 (3–4): 313–28. PMID 7786695. 

외부 링크[편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