재현성 위기
보이기
재현성 위기는 과학적 연구가 재현하기 어렵거나 불가능하다는 것이 밝혀진 방법론적 위기이다. 재현성 위기는 사회과학 및 의학에 가장 심각한 영향을 미쳤다.[1][2] 설문 조사 데이터는 자연과학도 관련되어 있을 수 있음을 시사했다.[3]
재현성 위기는 과학적 연구의 결과의 신뢰성과 재현에 실패했을 때의 재현실패 이유를 모두 결정하기 위해 고전적 결과를 재조사하기 위해 많은 노력이 이루어진 의학 분야에서 특히 널리 논의되었다.[4][5]
2016년 저널 네이처에서 실시한 1500명의 설문조사에 따르면 그들 중 70%가 다른 과학자의 실험을 재현하지 못한 적이 있다고 보고했다. 50%는 자신의 실험 중 하나를 재현하는 데 실패했으며 20% 미만은 자신의 작업을 재현할 수 없는 연구원과 접촉한 적이 있다. 소수만이 재현 연구를 출판하려고 시도했으며 24%는 성공적인 재현을 출판할 수 있었지만 13%만이 실패한 재현을 출판했다.[6][7] 2009년에 과학자의 2%는 적어도 한 번은 연구를 조작했다고 시인했고 14%는 연구를 조작한 사람을 개인적으로 알고 있다고 했다. 한 연구에 따르면 그러한 잘못을 의학 연구자들이 더 자주 보고했다.[8] 2021년 연구에 따르면 재현할 수 없는 연구 결과가 있는 주요 저널의 논문은 재현 가능한 과학 보다 더 많이 인용되는 경향이 있다.
200개의 메타 분석에 대한 2018년 설문 조사에 따르면 심리학 연구는 평균적으로 낮은 통계적 힘에 시달리고 있다.[9]
같이 보기
[편집]각주
[편집]- ↑ Schooler, J. W. (2014). “Metascience could rescue the 'replication crisis'”. 《Nature》 515 (7525): 9. Bibcode:2014Natur.515....9S. doi:10.1038/515009a. PMID 25373639.
- ↑ Smith, Noah. “Why 'Statistical Significance' Is Often Insignificant”. 《Bloomberg》. 2017년 11월 7일에 확인함.
- ↑ Baker, Monya (2016년 5월 25일). “1,500 scientists lift the lid on reproducibility”. 《Nature》 (Springer Nature) 533: 452–454. 2021년 5월 21일에 확인함.
- ↑ Lehrer, Jonah (2010년 12월 13일). “The Truth Wears Off”. 《The New Yorker》 (영어). 2020년 1월 30일에 확인함.
- ↑ Marcus, Gary (2013년 5월 1일). “The Crisis in Social Psychology That Isn't”. 《The New Yorker》 (영어). 2020년 1월 30일에 확인함.
- ↑ Baker, Monya (2016년 5월 25일). “1,500 scientists lift the lid on reproducibility”. 《Nature》 (Springer Nature) 533: 452–454. 2021년 5월 21일에 확인함.
- ↑ Nature Video (2016년 5월 28일). “Is There a Reproducibility Crisis in Science?”. 《Scientific American》 (영어). 2019년 8월 15일에 확인함.
- ↑ Fanelli, Daniele (2009년 5월 29일). “How Many Scientists Fabricate and Falsify Research? A Systematic Review and Meta-Analysis of Survey Data”. 《PLOS ONE》 4 (5): e5738. Bibcode:2009PLoSO...4.5738F. doi:10.1371/journal.pone.0005738. PMC 2685008. PMID 19478950.
- ↑ Stanley, T. D.; Carter, Evan C.; Doucouliagos, Hristos (2018). “What meta-analyses reveal about the replicability of psychological research.”. 《Psychological Bulletin》 (영어) 144 (12): 1325–1346. doi:10.1037/bul0000169. ISSN 1939-1455. PMID 3032101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