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유사회주의
(자유 사회주의에서 넘어옴)
둘러보기로 가기
검색하러 가기
사회민주주의 |
---|
![]() |
관련 문헌 • 라살, 《노동자 강령》 (1862년) • 라살, 《독일 국민노동협회에 보내는 공개 서한》 (1863년) • 라살, 《자본이란 무엇인가?》 (미상) • 러셀, 《독일 사회민주주의》 (1896년) • 베른슈타인, 《마르크스와 사회 개혁》 (1897년) • 베른슈타인, 《사회주의의 문제》 (1898년) • 베른슈타인, 《사회주의를 위한 전제들과 사회민주주의의 임무》 (1899년) • 베른슈타인, 《진화적 사회주의》 (1899년) • 조레스, 《사회주의자의 목표에 대해》 (1905년) • 조레스, 《사회주의에서의 학문》 (1906년) • 힐퍼딩, 《금융자본》 (1910년) • 데브스, 《노동과 자유》 (1916년) • F. 아들러, 《에른스트 마흐의 기계적 유물론에 대한 반박》 (1918년) • M. 아들러, 《민주주의와 의회 체계》 (1919년) • M. 아들러, 《사회학적 방법과 법적 방법의 구별에서 마르크스주의 국가 개념의 기여》 (1922년) • M. 아들러, 《칸트와 마르크스주의》 (1925년) • M. 아들러, 《정치 또는 사회민주주의》 (1926년) • 러셀, 《게으름에 대한 찬양》 (1935년) • M. 아들러, 《사회과학의 인식론적 기초에 대해》 (1936년) • 힐퍼딩, 《국가자본주의 또는 전체주의 국가의 경제》 (1940년) • 기든스, 《제3의 길》 (1998년) |
주요 인물(서양) ![]() ![]() ![]() ![]() ![]() ![]() ![]() ![]() ![]() ![]() ![]() ![]() ![]() ![]() ![]() ![]() ![]() ![]() ![]() ![]() ![]() ![]() ![]() ![]() ![]() ![]() ![]() |
자유사회주의(영어: Liberal socialism)는 국가사회주의(영어: State socialism)와, 신자유주의(영어: Neo-Liberalism)의 '이'적인 반대 개념에 속하는 사상이며 기존의 사회주의와 달리 사유재산 허용의 중요성을 부각한 사상이다. '우익 사회민주주의'라고도 불리며, 자유사회주의는 당 위주의 계획 경제, 당영화를 반대하며 교양사회주의와 협동조합식 혼합경제/사회적 시장경제를 지향한다. 또한, 자본주의의 결함성을 지적, 비판하여 자체모순점을 점진적으로 해결해 나가는 사상이다. 기원지는 이탈리아이며, 카를로 로셀리에 의해 처음으로 주창되었다. 그 후 이탈리아와 영국에 주로 퍼졌다. 이론가는 빌리 브란트, 카를로 로셀리(이탈리아어: Fratelli Rosselli), 리차드 헨리 토니(영어: Richard Henry Tawney) 등이 있다. 과거 일본의 일본 사회당은 정치적 유연성을 다지기 위해 자유사회주의를 표방하기도 하였다. 종종 자유지상주의적 사회주의와 혼동되기도 하나, 그 범주가 매우 다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