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라투스트라는 이렇게 말했다
둘러보기로 가기
검색하러 가기
이 문서는 니체가 쓴 책에 대한 것입니다. 《차라투스트라는 이렇게 말했다》는 그 책을 원작으로 한 교향시의 제목이기도 합니다.

1부의 초판 표지. | |
저자 | 프리드리히 니체 |
---|---|
국가 | 독일 |
언어 | 독일어 |
장르 | 철학 소설[*] |
발행일 | ![]() |
이전 작품 | 즐거운 지식 |
다음 작품 | 선악의 저편 |
《자라투스트라는 이렇게 말했다》(독일어: Also sprach Zarathustra 알조 슈프라흐 차라투스트라[*])는 독일의 철학자 니체의 철학 소설이다. 영원 회귀, 신의 죽음, 초인(Übermensch, 超人)의 개념을 다룬다.
소개[편집]
초기 저술들에서 니체는 소크라테스의 합리주의를 허무주의로 규정하고 아폴로적인 것과 디오니소스적인 것을 참다운 예술의 근원으로 본다. 미술적인 형식과 음악적인 내용이 예술의 원천을 이룬다는 주장이다. 중기 저술들에서 니체는 초기의 예술비판을 확장해 문명 전체에 대한 비판의 붓을 든다. 후기의 저서, 특히 《자라투스트라는 이렇게 말했다》는 현대 문명의 허무주의와 퇴폐주의를 강력히 비판하면서 생성 개념을 강조한다.
이 삶은 끊임없이 되돌아오므로 이러한 운명은 긍정하고 사랑해야 한다. 그럴 때 개인은 힘의지를 발휘하여 허무주의를 뛰어넘을 수 있다. 데카당, 허무주의, 인간말종(Der letzte Mensch) 등은 왜소하다. 왜소함을 극복하는 한 방편은 자신을 뛰어넘어[2] 창조하는 것이다. 다시 말해 위대한 정오로서 위버멘쉬가 되는 것이다.
제목의 의미[편집]
제목으로 쓰인 ‘자라투스트라’라는 말은 일종의 패러디이다. 니체는 패러디를 즐겨 사용했다.
각주[편집]
- ↑ http://www.nietzschesource.org/#eKGWB/EH-Vorwort-4
- ↑ 유교적 개념이 아니다. 다시말해 극기복례가 아니다. 니체가 지시하는 자기극복은 극기복례와 반대되는 개념이다. 자기극복이란 탈아의 도덕을 극복하는 것이다.
- ↑ http://www.nietzschesource.org/#eKGWB/EH-Schicksal-3
참고 문헌[편집]
- 강영계 역, 지만지 2011년, ISBN 978-89-6680-499-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