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그레브 공항
자그레브 공항 Zračna luka „Franjo Tuđman” | ||||||
---|---|---|---|---|---|---|
![]() ![]() | ||||||
개요 | ||||||
시간기준 | 크로아티아 표준시 | |||||
운영시간 | 24시간 | |||||
운영기관 | 크로아티아 정부 | |||||
지역 | 크로아티아 자그레브 | |||||
위치 | ![]() | |||||
거점 항공사 | ||||||
해발고도 | 108 m / 353 ft | |||||
좌표 | 북위 45° 44′ 35″ 동경 016° 04′ 08″ / 북위 45.74306° 동경 16.06889° | |||||
웹사이트 | ||||||
지도 | ||||||
활주로 | ||||||
방향 | 면적(m*m) | ILS | 표면 | |||
길이 | 폭 | |||||
05/23 | 3252 | 70 | YES | 콘크리트 | ||
이용 여객 | 2,430,971명 |
프라뇨 투지만 공항(크로아티아어: Zračna luka „Franjo Tuđman”, IATA: ZAG, ICAO: LDZA) 또는 자그레브 공항은 크로아티아 자그레브에 위치한 국제공항이다. 크로아티아의 유일한 대형 국제공항이며 크로아티아 공군과 공용 운용을 하고 있다. 크로아티아 항공이 공항을 허브 공항으로 사용하고 있다.
역사[편집]
- 1909년: 첫 비행장이 치르노메레츠(Črnomerec) 근방에 건설되었다.
- 1927년: 찰스 린드버그가 대서양 횡단 후 동유럽 국가 중 처음으로 착륙하였다.
- 1928년: 2월 15일, 첫 상용비행 서비스가 개시되었다.
- 1947년: 상용비행 서비스가 루치코(Lučko)로 이전되었다.
- 1962년: 새 공항 터미널이 현재 위치로 이전되었고 터미널은 1,000m2 규모에 2,500m 활주로를 갖추었다.
- 1966년: 새 공항 터미널이 1,000m2 규모에서 5,000m2로 확장하였다.
- 2008년: VIP 전용 터미널이 추가 건설되었고 여객터미널 부대시설을 증대하였다.
운항 노선[편집]
항공사 | 목적지 |
---|---|
![]() | 두브로브니크, 런던(히스로), 로마(레오나르도 다 빈치), 뮌헨, 비엔나, 암스테르담, 바르셀로나, 브뤼셀, 코펜하겐, 파리(샤를 드 골), 프랑크푸르트, 취리히 계절편:아테네, 안탈리아, 텔아비브 |
![]() | 부다페스트, 밀라노(말펜사), 로마(레오나르도 다 빈치), 프라하, 모스크바(셰레메티예보) 계절편:코펜하겐, 헬싱키, 스톡홀름(알란다) |
![]() | 서울(인천)[1] |
![]() | 도하 |
![]() | 두바이 |
![]() | 두바이 |
![]() | 런던(히드로) |
![]() | 파리(샤를 드 골) |
![]() | 프랑크푸르트, 뮌헨 |
![]() | 뮌헨 |
![]() | 베를린(테겔), 본, 슈루트가르트 계절편:함부르크 |
![]() | 암스테르담 |
![]() | 취리히 |
![]() | 계절편:마드리드 |
![]() | 이스탄불(아타튀르크) |
![]() | 모스크바(셰레메티예보) |
![]() | 베오그라드 |
![]() | 바르샤바 |
![]() | 계절편: 코펜하겐 |
전세 노선[편집]
항공사 | 목적지 |
---|---|
![]() | 사라고사 |
![]() | 발렌시아 |
![]() | 안탈리아 |
![]() | 모나스틸 |
화물 노선[편집]
항공사 | 목적지 |
---|---|
![]() | 본, 루블랴나 |
![]() | 도하 |
통계[편집]
![]() | 기술적 문제로 인해 그래프를 일시적으로 사용할 수 없습니다. |
각주[편집]
- ↑ “Korean Air schedules Zagreb regular service in Sep/Oct 2018”. Routesonline. 2018년 5월 30일. 2018년 6월 12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8년 5월 30일에 확인함.
외부 링크[편집]
위키미디어 공용에 Zagreb Airport 관련 미디어 분류가 있습니다.
- 공식 웹사이트
- (영어) 자그레브 공항 사고 역사 - 에비에이션 세이프티 네트워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