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궁탈출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자궁탈출
다른 이름여성 생식기 탈출
진료과여성의학과 위키데이터에서 편집하기
증상골발장기탈출
위험 인자임신, 분만, 만성적 복강내압 증가

자궁탈출(子宮脫出, Uterine Prolapse, pelvic organ prolapse, prolapse of the uterus (womb))은 골반장기탈출의 일종이다. 여성 생식기 탈출(Female genital prolapse), 또는 간단히 자궁탈(子宮脫)이라고도 한다.

자궁탈출의 위험 요인에는 임신, 분만, 만성적 복강내압 증가(예: 리프팅, 기침, 염좌, 결합조직 질환[1][2], 근육 약화의 위험)가 있다.[3] 치료는 보수적일 수도 있고 수술을 할 수도 있는데, 이는 환자의 증후와 선호에 기반하여 결정하는 것이 좋다.

치료[편집]

치료는 보수적으로, 기계적으로, 수술적으로 진행된다. 보수적 치료에는 행동 교정, 근육 강화 운동(케겔 체조 등)이 포함된다.[4] 페서리(pessary)라는 기구는 자궁을 들어올려서 지탱해주는 기계적 치료를 위해 사용된다.[5][6] 수술적 선택사항들은 여러 개가 있으며[7] 복강경 자궁고정술[8], 자궁탈출교정술(Sacrohysteropexy)[9][10], 맨체스터 수술과 같은 자궁 스페어링(sparing) 기법이라든지 자궁적출술이 포함될 수 있다.[11]

각주[편집]

  1. Carley, Michael (May 2000). “Urinary incontinence and pelvic organ prolapse in women with Marfan or Ehlers-Danlos syndrome”. 《American Journal of Obstetrics & Gynecology》 182: 1021–1023. doi:10.1067/mob.2000.105410. 
  2. Mastoroudes, H (December 2012). “Prolapse and sexual function in women with benign joint hypermobility syndrome”. 《British Journal of Obstetrics & Gynecology》 120: 187–192. doi:10.1111/1471-0528.12082. 
  3. DeLancey, John (February 2007). “Comparison of Levator Ani Muscle Defects and Function in Women With and Without Pelvic Organ Prolapse”. 《Obstetrics & Gynecology》 109: 295–302. doi:10.1097/01.AOG.0000250901.57095.ba. 
  4. Hagen, Suzanne (2011년 12월 7일). “Conservative prevention and management of pelvic organ prolapse in women”. 《The Cochrane Library》 (12): CD003882. doi:10.1002/14651858.CD003882.pub4. PMID 22161382. 
  5. Bugge, Carol (2013년 2월 28일). “Pessaries (mechanical devices) for pelvic organ prolapse in women”. 《Cochrane Library》. doi:10.1002/14651858.CD004010.pub3. 
  6. Cundiff, Geoffrey (April 2007). “The PESSRI study: symptom relief outcomes of a randomized crossover trial of the ring and Gellhorn pessaries”. 《American Journal of Obstetrics & Gynecology》 196: 405.e1–405.e8. doi:10.1016/j.ajog.2007.02.018. 
  7. Maher, Christopher (2013년 4월 30일). “Surgical management of pelvic organ prolapse in women”. 《The Cochrane Library》 4: CD004014. doi:10.1002/14651858.CD004014.pub5. PMID 23633316. 
  8. Rahmanou, Philip (January 2013). “Laparoscopic hysteropexy: 1- to 4-year follow-up of women postoperatively”. 《International Urogynecology Journal》 25: 131–138. doi:10.1007/s00192-013-2209-5. 
  9. Price N, Slack A, Jackson S (2010). “Laparoscopic hysteropexy: the initial results of a uterine suspension procedure for uterovaginal prolapse”. 《BJOG》 117: 62–68. doi:10.1111/j.1471-0528.2009.02396. 
  10. Rosati, Maurizio (August 2014). “A review on the role of laparoscopic sacrocervicopexy”. 《Current Opinions in Obstetrics & Gynecology》 26: 281–289. doi:10.1097/GCO.0000000000000079. 
  11. Surgical correction of uterine prolapse: cervical amputation with uterosacral ligament plication versus vaginal hysterectomy with high uterosacral ligament plication Archived 2011년 10월 8일 - 웨이백 머신 By de Boer T, Milani F, Kluivers K, Withagen M, Vierhout M. Part of ICS 2009 Scientific Programme, Thursday 1 October 2009 Archived 2011년 10월 8일 - 웨이백 머신

외부 링크[편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