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천 도시철도 2호선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인천 지하철 2호선에서 넘어옴)

인천 도시철도 2호선
Incheon Metro Line 2.svg
Incheon Metro Class 2000 A01.jpg
인천대공원역에 진입하고 있는 212편성
기본 정보
운행 국가대한민국의 기 대한민국
종류도시 철도
체계수도권 전철 (인천 도시철도)
기점검단오류역
(인천광역시 서구)
종점운연역
(인천광역시 남동구)
역 수27
개통일2016년 7월 30일
소유자인천광역시
운영자인천교통공사
노선 제원
영업 거리29.1km
궤간1,435 mm(표준궤)
선로 수2
전철화DC 750V
신호 방식RF-CBTC [무인자동운전.수동운전]

인천 도시철도 2호선(仁川 都市鐵道 二號線)은 대한민국 인천광역시 서구검단오류역과 인천광역시 남동구운연역을 잇는 인천교통공사도시 철도 노선이다. 2009년 6월 26일 착공하여 2016년 7월 30일에 개통하였다.[1] 노선 길이는 29.1km이며, 이 중 지상 구간은 6.3km이다.[2] 안내 등에 사용되는 노선색은 주황색이고, 색의 뜻은 생각이다. 통행방향은 어디서든 우측통행이다.

역사[편집]

인천 도시철도 2호선은 1990년대에 인천광역시가 추진한 계획에서 최초로 등장하였다. 계획에는 1·2·3호선이 모두 포함되어 있었는데, 이때의 2호선은 남동공단의 근로자 통근을 위하여 인천대공원이 아니라 공단을 경유하고, 대공원은 3호선이 지나게 되어 있었다. 당초 1999년 일부 착공하여 2006년까지 해당 구간을 준공·개통할 예정이었으나[3], IMF 외환 위기 이후 자금난 문제로 사업 시행이 보류된 상태였다. 수차례씩 의견 충돌 문제로 진통을 겪은 끝에 기존의 중량 전철에서 경전철로 시스템을 변경하고, 노선 또한 현재와 동일하게 바꾸는 과정이 이루어져 사업 규모를 축소하여, 2009년 6월 26일 착공하였다.

연혁[편집]

운영[편집]

노선[편집]

당초 노선은 인천광역시 서구 오류동에서 남동국가산업단지까지로 계획되었으나, 2008년 8월 검단오류역에서 운연역까지의 구간에 27개 역을 건설하는 것으로 결정되었다. 특히 이 노선은 서구 연희동에 새로 건설된 인천아시아드주경기장 인근을 경유하며, 제3궤조 방식에 의하여 발생할 수 있는 감전 사고 방지 차원에서, 전 역사에 스크린도어가 설치되어 있다. 운행 중 비상정지 등 이례상황이 발생하였을 경우를 대비하여 기관사 면허를 가진 운행관리원이 항시에 탑승한다

차량[편집]

  • 인천교통공사 2000호대 전동차
    • 제작사 : 현대로템
    • 운행방식 : 무인 자동 운전 . 수동운전
    • 도입편성수 : 37편성 (철제차륜 2량 1편성, 향후 4량 1편성까지 중련 가능토록 계획)[9]
    • 규격 : 전장(34.4m), 전폭(2.65m), 전고(3.6m)

운임[편집]

인천 도시철도 1호선과 마찬가지로, 수도권 전철의 일부로서 수도권 통합요금제가 동일하게 적용된다.

노선 정보[편집]

  • 노선 거리 : 29.1km
  • 운영 기관 : 인천교통공사
  • 역 수 : 27
  • 복선 구간 : 전 구간
  • 전철화 구간 : 전 구간
  • 총 사업비 : 2조 4,590억원 (국고 1조 4,754억원, 시비 9,836억원)
  • 구간 : 검단오류 ~ 운연

역 목록[편집]

환승역을 제외한 모든 역명은 2015년 9월 22일 인천도시철도건설본부에서 발표하여 최종적으로 확정한 이름이다.[10]

역 번호 역명 국한문역명 영문역명 접속 노선 역간
거리
[11]
영업
거리
소재지
I201 검단오류
(검단산업단지)
黔丹梧柳
(黔丹産業團地)
Geomdan Oryu
(Geomdan Industrial Complex)
- 0.0 인천광역시 서구
I202 왕길 旺吉 Wanggil 1.3 1.3
I203 검단사거리 黔丹四거리 Geomdan Sageori 1.4 2.7
I204 마전 麻田 Majeon 1.1 3.8
I205 완정 完井 Wanjeong 0.8 4.6
I206 독정 篤亭 Dokjeong 0.9 5.5
I207 검암 黔岩 Geomam 인천국제공항철도 1.8 7.3
I208 검바위 黔바위 Geombawi 0.9 8.2
I209 아시아드경기장
(공촌사거리)
아시아드競技場
(公村四거리)
Asiad Stadium
(Gongchon Sageori)
1.1 9.3
I210 서구청 西區廳 Seo-gu Office 0.8 10.1
I211 가정
(루원시티)
佳亭 Gajeong
(Lu 1 City)
2.2 12.3
I212 가정중앙시장 佳亭中央市場 Gajeong Jungang Market 0.8 13.1
I213 석남
(거북시장)
石南
(거북市場)
Seongnam
(Geobuk Market)
서울 지하철 7호선 1.2 14.3
I214 서부여성회관 西部女性會館 West Woman's Community Center 0.8 15.1
I215 인천가좌 仁川佳佐 Incheon Gajwa 1.1 16.2
I216 가재울 빈칸 Gajaeul 1.1 17.3
I217 주안국가산단
(인천J밸리)
朱安國家産團
(仁川J밸리)
Juan Nat'l Industrial Complex
(Incheon J Valley)
1.4 18.7 서구
미추홀구
I218 주안 朱安 Juan 수도권 전철 1호선 1.0 19.7 미추홀구
I219 시민공원
(문화창작지대)
市民公園
(文化創作地帶)
Citizens Park
(Culture Creation Zone)
1.0 20.7
I220 석바위시장 石바위市場 Seokbawi Market 1.0 21.7
I221 인천시청 仁川市廳 Incheon City Hall 인천 도시철도 1호선 0.7 22.4 남동구
I222 석천사거리 石泉四거리 Seokcheon Sageori 0.8 23.2
I223 모래내시장 모래내市場 Moraenae Market 0.8 24.0
I224 만수 萬壽 Mansu 1.1 25.1
I225 남동구청 南洞區廳 Namdong-gu office 1.2 26.3
I226 인천대공원 仁川大公園 Incheon Grand Park 1.5 27.8
I227 운연(서창) 雲宴(西昌) Unyeon (Seochang) 1.3 29.1
  • 27개 모든 역사에서 승강장 반대편 이동이 가능하다.

향후 계획[편집]

시흥, 광명, 인천논현 연장[편집]

2007년 8월 14일 경기도인천광역시신천역까지 연장하는 것을 제안하며 검토가 시작되었다.[12] 2010년 10월 인천광역시 의회는 제187회 제1차 정례회를 통하여, 인천대공원에서 시흥을 거쳐 KTX 광명역까지 연장하는 사전 타당성 조사 용역비(5억 원)를 제2회 추경에 반영하고,[13] 2010년 11월 2일 오세훈 서울시장과 김문수 경기도지사, 송영길 인천시장이 인천도시철도 2호선(인천대공원~시흥시계~광명역)구간에 대하여 국토해양부에 국가시행 광역철도로 지정, 시행토록 공동 건의하는데 합의하면서 빠르게 진행되는 듯 하였다.[14] 그러나, 기획재정부가 이 연장 사업에 대하여 광명시흥보금자리 주택 사업 지연 등을 감안할 때 사업추진 시급성이 낮다며 인천도시철도 2호선 연장 사업 예비타당성조사를 거부하고[15]2014년 5월 광명시흥 보금자리 주택 사업이 백지화되면서[16] 논의가 중단되었다.

2017년 7월 19일 문재인 대통령의 국정운영 5개년 계획인천 지역 공약으로 채택된 후,[17] 2019년 1월 시흥시, 광명시, 인천광역시에 의하여 ▲인천대공원~광명 12.8㎞(대도시권광역교통기본계획 반영 노선) ▲인천대공원~독산 13.9㎞(경기도 건의 노선) ▲인천대공원~매화 8.6㎞(경기도 건의 노선) 중 최적 노선을 찾기 위한 사전 타당성 조사 용역이 추진되었다.[18] 그러나, 한 언론사는 "광명·시흥시와 공동으로 용역을 실시키로 했지만 인천도시철도 2호선 광명(KTX) 연장선 건설 여부는 극히 불투명하다"고 보도했다.[19]

2019년 12월 11일 사전 타당성 조사 용역 결과가 시흥시에 의하여 발표되었다. ‘독산・광명・매화’ 총 3개의 노선대안 중 ‘독산연장선’이 B/C(경제성) 0.83, AHP(정책적 분석) 0.515로 사업타당성이 가장 높은 것으로 분석되어 ‘독산연장선’이 채택되었고 긍정적으로 평가되었다. 한편, ‘광명연장선’과 ‘매화연장선’의 B/C는 각각 0.53, 0.48로 분석됐다.[20]

이 조사 결과는 기획재정부 예비타당성 조사 지침 (기획재정부훈령 제436호) 제14조[21]에 따른 것으로, 지침은 목적사업에 영향을 줄 수 있는 "실시계획 승인에 준하는 단계 및 그 이후 단계"의 목적사업 인접 지역의 개발 사업을 경제성 분석에 반영하도록 하고 있다. 따라서, 2019년 중 시행된 사전 타당성 조사GTX-B, 월곶-판교선 등과 같이 예비 타당성 조사만을 통과한 채 실시계획 수준에 이르지 못한 개발 사업으로 인한 인천도시철도 2호선 연장 노선의 이용 수요 감소를 반영하지 않아, 이로 인해 기획재정부 예비 타당성 조사 중에 GTX-B, 월곶-판교선이 실시계획 승인되면 예비 타당성 조사 통과하지 못할 것이라는 평가를 받았다.

2019년 12월 12일 더불어민주당 시흥갑 지역위원회는 기획재정부 예비타당성조사 표준지침의 반영기준이 아닌, 이미 예비타당성을 통과하여 건설이 확정된 GTX-B, 월곶-판교선 등을 반영할 경우에는 ‘독산연장선’의 경제성이 0.55수준으로 크게 낮아져 경제성을 보강할 필요가 있다며 ‘독산연장선’을 추가로 신림역으로 연장해야 한다고 제안했다.[22]

안양 연장[편집]

안양시는 광명을 거쳐 안양까지 연장시키는 것을 계획으로 추진 중이다.[23] 2021년 제4차 국가철도망구축계획 추가 검토사업으로 선정되었다.

검단, 일산 연장[편집]

인천광역시의 2012년 계획에 '검단지선'이 단기계획으로 포함되어 있다.[24] 검단지선은 인천도시공사와 한국토지주택공사가 건설비를 부담하여 지어질 예정이나[25] 이후 인천 도시철도 1호선 뿐 아니라 김포 도시철도, GTX-A, 일산선과 만나 경의선과도 환승되는 노선으로 추진중이다.

기타 연장[편집]

인천광역시의 2012년 계획에 '청라지선'이 중기계획으로 포함되어 있었으나[24] 청라지선은 서울 지하철 7호선 연장 사업으로 대체되었다.[26]

기타[편집]

인천2호선 개찰구 고무쪽 색깔이 은색에서 주황색으로 바뀌었다.

비상핸들 작동 시 주의사항[편집]

  • 터널내에 선로 옆에는 항상 전기가 흐르고 있어 무단으로 임의하차 시 감전 위험이 있다.

각주[편집]

  1. 인천 2호선 2014년 토목공사 완료 … 2016년 개통, 《인천일보》, 2012.06.05.
  2. “인천도시철도 2호선 궤도”. 2012년 3월 18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2년 1월 31일에 확인함. 
  3. 인천지하철 2,3호선 도심구간 99년 착공, 《동아일보》, 1997.05.08.
  4. 인천 지하철 2호선 26일 착공, 《서울신문》, 2009.06.26.
  5. 대한민국관보 국토해양부 고시 제2010-192호 (2010.04.12)
  6. 대한민국관보 국토해양부 고시 제2013-156호 (2013.03.20)
  7. 인천광역시고시 제2015-264호, 2015년 10월 5일.
  8. 인천교통공사공고 제2016-230호 Archived 2016년 8월 18일 - 웨이백 머신, 2016년 7월 18일.
  9. “인천도시철도 2호선 차량”. 2011년 7월 11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0년 3월 10일에 확인함. 
  10. 인천도시철도 2호선 역명 확정 Archived 2015년 11월 25일 - 웨이백 머신, 인천도시철도건설본부
  11. 인천도시철도 2호선 역간 거리 및 운임 알림 Archived 2016년 8월 15일 - 웨이백 머신, 인천교통공사
  12. “인천시, 경기 김포시 이어 안산시와도 협력”. 뉴시스. 2007년 8월 14일. 2019년 12월 28일에 확인함. 
  13. “인천도시철도 2호선 시흥시 연장 ‘현실화되나'. 컬쳐인시흥. 2010년 10월 15일. 2019년 12월 28일에 확인함. 
  14. “수도권, 단일 생활권으로 거듭난다”. 뉴데일리. 2010sus 11월 2일. 2019년 12월 28일에 확인함. 
  15. “[심층진단] 인천 지하철 2호선 연장·장항선 복선 전철 등 줄줄이 퇴짜”. 서울경제. 2012년 3월 8일. 2019년 12월 28일에 확인함. 
  16. '분당급' 광명·시흥 보금자리, 4년 만에 사실상 취소”. 서울파이낸스. 2014년 5월 12일. 2019년 12월 28일에 확인함. 
  17. “문재인정부 국정운영 5개년 계획 | 경제정책자료 | KDI 경제정보센터”. 2019년 12월 28일에 확인함. 
  18. “‘인천2호선 광명(KTX) 연장’, 시흥·광명도 동행”. 시흥신문. 2008년 1월 14일. 2019년 12월 28일에 확인함. 
  19. “인천 2호선 광명 연장 용역, 광명·시흥시와 공동 발주”. 《인천in》. 2018년 1월 5일. 2019년 12월 28일에 확인함. 
  20. “「인천2호선」 연장, ‘독산연장선’ 최적대안 도출”. 《시흥신문》. 2019년 12월 11일. 2019년 12월 28일에 확인함. 
  21. “예비타당성조사 수행 총괄지침 [기획재정부훈령 제436호, 2019. 4. 25., 제정] 제14조(개발계획의 반영기준)”. 《국가법령정보센터》. 법제처. 
  22. “「민」시흥갑 문정복, "인천 2호선 신림까지 연결해야". 《시흥타임즈》. 2019년 12월 12일. 2019년 12월 28일에 확인함. 
  23. “안양시, GTX-C노선과 연계한 인덕원역 신설 정부 요구”. 경인일보. 2019년 10월 10일. 2019년 11월 20일에 확인함. 
  24. 시내버스 준공영제 조정 대중교통 환승센터 설치, 《인천일보》, 2012.11.06.
  25. 인천도시철도본부 "도시철도 2호선 관련 예산낭비 없었다", 《뉴스1》, 2013.05.02.
  26. 인천지하철 2호선 청라 안간다, 《경인일보》, 2013.02.05.

외부 링크[편집]

위키미디어 공용에 인천 도시철도 2호선 관련 미디어 분류가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