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이동

인구셰티야 공화국

(인구시 공화국에서 넘어옴)
인구셰티야
인구시어: ГӀалгӀай Мохк
러시아어: Республика Ингушетия
상징곡: 인구셰티야 공화국의 국가
Location of 인구셰티야
좌표: 북위 43° 12′ 동경 45° 00′  / 북위 43.200° 동경 45.000°  / 43.200; 45.000
국가러시아
연방관구북캅카스
경제지구북캅카스
수도마가스
최대 도시나즈란
정부
 • 유형인민의회[1]
 • 수반[1]마흐무드알리 칼리마토프[2]
면적
 • 총3,628 km2 (1,401 sq mi)
인구
 • 총증가 527,220
 • 순위74번째
 • 밀도163.16명/km2 (422.6명/sq mi)
 • 도시
54.8%
 • 지방
45.2%
시간대UTC+3 (MSK[5])
ISO 3166 코드RU-IN
차량 등록06
공용어인구시어[6] · 러시아어[7]
웹사이트ingushetia.ru

인구셰티야,[8][a] 또는 인구세티아, 공식적으로 인구셰티야 공화국,[b]동유럽북캅카스에 위치한 러시아공화국이다. 이 공화국은 북캅카스 연방관구의 일부이며 남쪽으로는 조지아와 국경을 공유하고 서쪽과 북쪽으로는 러시아 공화국인 북오세티야–알라니야 공화국, 동쪽과 북동쪽으로는 체첸 공화국과 국경을 접한다.

수도도시마가스이고 가장 큰 도시는 나즈란입니다. 면적이 3,600제곱킬로미터인 이 공화국은 러시아의 비도시 연방주체 중 가장 작다. 체첸-인구시 자치 소비에트 사회주의 공화국이 2개로 분열된 후 1992년 6월 4일에 설립되었다.[9][10] 공화국은 나크인 조상의 원주민 인구시인의 본거지이다. 2021년 인구 조사 기준으로 인구는 52만 7220명으로 추정되었다.[4]

주로 북캅카스의 반란으로 인해 인구셰티아는 러시아에서 가장 가난하고 불안정한 지역 중 하나로 남아 있다. 최근 몇 년 동안 폭력이 잦아들었지만,[11][12] 이웃 체첸 공화국의 반란은 때때로 인구셰티아로 확산되었다. 2008년 휴먼라이츠워치에 따르면, 공화국은 부패, 다수의 세간의 이목을 끄는 범죄(정부 보안군에 의한 납치살인 포함)로 인해 불안정해졌다.[13] 반정부 시위, 군인과 장교에 대한 공격, 러시아군의 과잉과 악화되는 인권 상황.[14][15] 그럼에도 불구하고 인구셰티야는 러시아 전체에서 가장 높은 기대수명을 가지고 있다.

어원

[편집]

인구셰티아(Ингушетия)라는 이름은 인구시인의 러시아어 이름에서 유래했으며, 이는 다시 고대 인구시 마을 앙구슈트에서 유래했고 조지아어 접미사 -éti에서 유래했다.[16] 인구시어로는 Ghalghaaichie(Гߏалгߏайче, /ʁalʁaitʃe/)이다.[17]

1920~1930년대에는 인구시 자치주에 대한 통일된 이름이 아직 없었습니다. 는 공식적으로 'Ingushetia로 불렸지만 니콜라이 야코블레프(러시아어판)레오니트 세묘노프(러시아어판)는 정확한 이름이 'Ingushiya(Ингушия)라고 주장했다.[18]

지리

[편집]

시간대

[편집]

모스크바 시간(MSK/MSD)에 접해 있다. UTC와의 시차는 +0300 (MSK)/+0400 (MSD)이다.

[편집]

[편집]

캅카스산맥에 걸쳐 있다.

기후

[편집]
  • 1월 기후: -7 °C.
  • 7월 기후: +22 °C
  • 강수량: 1,200 mm.

행정 구역

[편집]

주민

[편집]

인구시인들이 거의 대부분을 차지한다. 인구시어체첸어와 사실상 마찬가지로 북중카프카스어족에 속한다. 2002년의 조사에 따르면 77 %를 차지하고, 36만여 명이 거주한다. 체첸인(95,403명, 20.4 %), 러시아인(5,559명, 1.19 %), 튀르키예인(903명, 0.2 %)과 아랍인, 조지아인 등의 기타 민족이 거주한다.

  • 인구: 46만 7,294명(2002년)
민족 2002년의 인구 수[19] 비율
인구시인 77.3 %
체첸인 23.2 %
러시아인 1.2 %

역사

[편집]

러시아 제국이 해체(1917년)되자 체첸과 인구시는 자치를 얻었다. 이때 체첸과 인구시는 하나가 되었으나 2차 대전 중 나치에 협력했다는 이유로 스탈린체첸인인구시인중앙아시아로 쫓아냈다. 1958년에야 체첸인인구시인은 귀환을 할 수 있었다. 이때, 러시아가 인구시의 수도를 북오셰티아에게 넘겨주었다. 인구시는 수도를 되찾으려다 평화를 내세우는 러시아가 인구시를 대학살했다.

경제

[편집]

교통

[편집]

영토가 크지 않기에 기차와 같은 교통수단은 존재하지 않고, 한국의 버스와 같은 마르시루트카를 탄다.

같이 보기

[편집]

각주

[편집]
  1. /ˌɪŋɡʊˈʃɛtiə/ 틀:철자; 인구시어: ГӀалгӏайче Ghalghajče; 러시아어: Ингуше́тия, IPA: [ɪnɡʊˈʂetʲɪjə].
  2. Also referred as Ingush Republic. 인구시어: Гӏалгӏай Мохк Ghalghaj Moxk; 러시아어: Респу́блика Ингуше́тия Respúblika Ingushétiya[*].
  1. Constitution of the Republic of Ingushetia, Article 64
  2. Official website of the Republic of Ingushetia. Head of the Republic of Ingushetia 보관됨 10 10월 2011 - 웨이백 머신 (러시아어)
  3. Publications, Europa (2023년 3월 2일). 《The Territories of the Russian Federation 2023》 (영어). Taylor & Francis. 176쪽. ISBN 978-1-000-86591-2. The Republic occupies 3,628 sq km (1,401 sq miles) 
  4. “Оценка численности постоянного населения по субъектам Российской Федерации”. 《Всероссийская перепись населения》. Federal State Statistics Service (Russia). 2022년 9월 1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22년 9월 1일에 확인함. 
  5. "Об исчислении времени". Официальный интернет-портал правовой информации (러시아어). 2020년 6월 22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9년 1월 19일에 확인함. 
  6. Constitution of the Republic of Ingushetia, Article 14
  7. Official throughout the Russian Federation according to Article 68.1 of the Constitution of Russia.
  8. Encyclopædia Britannica.
  9. Law of 4 June 1992
  10. Official website of the Republic of Ingushetia. Social-Economic Characteristics 보관됨 2 6월 2015 - 웨이백 머신 (러시아어)
  11. “Russia's North Caucasus Insurgency Widens as ISIS' Foothold Grows”. 《www.worldpoliticsreview.com》 (영어). 2016년 4월 12일. 2017년 10월 3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7년 10월 3일에 확인함. Russia's North Caucasus insurgency has gone relatively quiet, but reduced casualty numbers belie a still-worrying situation where long-standing grievances remain. 
  12. Walker, Shaun (2017년 4월 4일). “Why suspicion over St Petersburg metro attack is likely to fall on Islamist groups”. 《The Guardian》 (영국 영어). ISSN 0261-3077. 2017년 4월 3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7년 10월 3일에 확인함. A renewed crackdown on any suspected militant activity in the run-up to the Sochi winter Olympics in 2014 and the departure of many militants to fight in Syria led to a weakening of the North Caucasus insurgency. 
  13. “Ingushetia's cycle of violence”. 《BBC》. 2009년 10월 3일. 2020년 3월 16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1년 1월 7일에 확인함. 
  14. sk/HRW/acb93ad76de9628c932576501538c803.htm Urgent Need for Vigorous Monitoring in the North Caucasus. Human Rights Watch/Reuters, 15 April 2008. (archive link)
  15. People & Power – Ingushetia: A second Chechnya – 28 October 2009, Al Jazeera English - 유튜브Al Jazeera English on YouTube [깨진 링크]
  16. Nichols 1997.
  17. Nichols & Sprouse 2004, 255쪽.
  18. Shnirelman 2006, 209쪽.
  19. *보관됨 2012-01-26 - 웨이백 머신

외부 링크

[편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