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구시 공화국
인구셰티야 공화국 | |||
---|---|---|---|
ГIалгIай Мохк Республика Ингушетия | |||
| |||
국가 | 인구시 공화국의 국가 | ||
![]() | |||
수도 | 마가스 | ||
정치 | |||
수장 | 마흐무드알리 칼리마토프 | ||
지리 | |||
면적 | 4,000km2 | ||
시간대 | (UTC+3) | ||
인문 | |||
공용어 | 인구시어, 러시아어 | ||
인구 | |||
2002년 조사 | 467,294명 | ||
인구 밀도 | 116.8명 | ||
경제 | |||
통화 | 루블 | ||
기타 | |||
도메인 | .ru | ||
국제 전화 | +7 |

인구시 공화국(인구시어: ГIалгIай Мохк 갈가이 모흐크, 러시아어: Респу́блика Ингуше́тия 레스푸블리카 인구셰티야[*])은 러시아의 자치 공화국이다. 체첸 공화국에 인접해 있다.
지리[편집]
- 면적: ca. 4,000 km2.
- 접한 지역:
- 최고점: 스톨로바야 산 (2,993 m).
시간대[편집]
모스크바 시간대 (MSK/MSD)에 접해 있다. UTC와의 시차는 +0300 (MSK)/+0400 (MSD)이다.
강[편집]
호수[편집]
이 문단은 비어 있습니다. 내용을 추가해 주세요. |
산[편집]
카프카스 산맥에 걸쳐 있다.
천연자원[편집]
이 문단은 비어 있습니다. 내용을 추가해 주세요. |
기후[편집]
- 1월 기후: -7 °C.
- 7월 기후: +22 °C
- 강수량: 1,200 mm.
행정 구역[편집]
주민[편집]
인구시인들이 거의 대부분을 차지한다. 인구시어는 체첸어와 사실상 마찬가지로 북중카프카스어족에 속한다. 2002년의 조사에 따르면 77%를 차지하고, 36만여 명이 거주한다. 체첸인(95,403명, 20.4%), 러시아인(5,559명, 1.19%), 튀르키예인(903명, 0.2%)과 아랍인, 조지아인 등의 기타 민족이 거주한다. 인구시 공화국은 이치케리야 체첸 공화국처럼 러시아를 싫어하고 많은 러시아 인들이 이 나라를 떠났기 때문에 러시아 인들의 비율은 점점 감소하고 있다.
- 인구: 46만 7,294명(2002년)
민족 | 2002년의 인구 수 |
---|---|
인구시인 | (77.3 %) |
체첸인 | (23.2 %) |
러시아인 | (1.2 %) |
역사[편집]
러시아 제국이 해체(1917년)되자 체첸과 인구시는 자치를 얻었다. 이때 체첸과 인구시는 하나가 되었으나 2차 대전 중 나치에 협력했다는 이유로 스탈린은 체첸인과 인구시인을 중앙아시아로 쫓아냈다. 1958년에야 체첸인과 인구시인은 귀환을 할 수 있었다. 이때, 러시아가 인구시의 수도를 북오셰티아에게 넘겨주었다. 인구시는 수도를 되찾으려다 평화를 내세우는 러시아가 인구시를 대학살했다.
경제[편집]
교통[편집]
영토가 크지 않기에 기차와 같은 교통수단은 존재하지 않고, 한국의 버스와 같은 마르슈트카를 탄다.
교육[편집]
이 문단은 비어 있습니다. 내용을 추가해 주세요. |
종교[편집]
거의 대부분이 수니파 이슬람교를 믿는다. 현재 수도에서 유럽에서 가장 큰 이슬람 사원을 짓고 있다.
관광[편집]
같이 보기[편집]
외부 링크[편집]
![]() |
위키미디어 공용에 관련된 미디어 분류가 있습니다. |
- (러시아어) 인구시 공화국 공식홈페이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