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크롬산 암모늄
![]() | |
![]() | |
이름 | |
---|---|
IUPAC 이름
Ammonium dichromate
| |
별칭
Ammonium bichromate
Ammonium pyrochromate | |
식별자 | |
3D 모델 (JSmol)
|
|
ChemSpider | |
ECHA InfoCard | 100.029.221 |
PubChem CID
|
|
RTECS 번호 |
|
UNII | |
UN 번호 | 1439 |
CompTox Dashboard (EPA)
|
|
| |
| |
성질 | |
(NH4)2Cr2O7 | |
몰 질량 | 252.07 g/mol |
겉보기 | Orange-red crystals |
냄새 | oforle |
밀도 | 2.115 g/cm3 |
녹는점 | 180 °C (356 °F; 453 K) decomposes |
18.2 g/100ml (0 °C) 35.6 g/100ml (20 °C) 40 g/100ml (25 °C) 156 g/100ml (100 °C) | |
용해도 | insoluble in acetone soluble in alcohol |
구조 | |
monoclinic | |
위험 | |
주요 위험 | Very toxic, explosive, oxidizing, carcinogenic, mutagenic, dangerous for the environment |
물질 안전 보건 자료 | ICSC 1368 |
GHS 그림문자 | ![]() ![]() ![]() ![]() ![]() ![]() |
H272, H301, H312, H314, H317, H330, H334, H340, H350, H360, H372, H410[1] | |
P201, P220, P260, P273, P280, P284[1] | |
NFPA 704 (파이어 다이아몬드) | |
190 °C (374 °F; 463 K) | |
반수 치사량 또는 반수 치사농도 (LD, LC): | |
LD50 (median dose)
|
20-250 mg/kg |
관련 화합물 | |
다른 양이온
|
Potassium dichromate Sodium dichromate |
달리 명시된 경우를 제외하면, 표준상태(25 °C [77 °F], 100 kPa)에서 물질의 정보가 제공됨. | |
![]() ![]() ![]() | |
정보상자 각주 | |
이크롬산 암모늄(Ammonium dichromate)은 화학식 (NH4)2Cr2O7을 갖는 무기 화합물이다. 이 화합물에서 모든 크롬산염과 중크롬산염과 마찬가지로 크로뮴은 +6 산화수(육가크로뮴)에 속한다. 암모늄 이온과 중크롬산염 이온으로 구성된 염이다.
안전[편집]
이크롬산 암모늄은 모든 크로뮴(VI) 화합물들처럼 독성이 강하며 발암 물질로 입증되었다.[2]
각주[편집]
- ↑ 가 나 다 Sigma-Aldrich Co. Retrieved on 2013-07-20.
- ↑ Volkovich, V. A.; Griffiths, T. R. (2000). “Catalytic Oxidation of Ammonia: A Sparkling Experiment”. 《Journal of Chemical Education》 77 (2): 177. doi:10.1021/ed077p17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