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북5도위원회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이북 5도청에서 넘어옴)

이북5도위원회
以北五道委員會
소재지 서울특별시 종로구 비봉길 64(구기동)
직원 수 45명
위원장 기덕영 (황해도 지사)
상급기관 행정안전부
산하기관 황해도, 평안남도, 평안북도, 함경남도, 함경북도
웹사이트 https://www.ibuk5do.go.kr/main.do
이북5도위원회 청사

이북5도위원회(以北五道委員會)는 이북5도 사무의 전부 또는 일부를 공동으로 처리하기 위하여 설치한 행정기구이다. 이북5도는 1945년 8월 15일 대한민국의 행정 구역상의 (道)로서 아직 수복되지 아니한 황해도, 평안남도, 평안북도, 함경남도, 함경북도를 말한다.[1][2]

이북5도의 도지사는 행정안전부 장관의 제청으로 국무총리를 거쳐 대통령이 임명하며,[3] 이북5도위원회의 위원장은 정무직 차관급인 이북5도의 도지사가 임기 1년으로 겸직한다. 기타 시·군·읍·면의 기관장은 명예직이다. 이북5도의 행정 조직은 관할 지역을 실효 지배하는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의 행정 구역이 아닌, 1945년 광복 당시의 행정 구역을 사용하고 있다.[4]

서울특별시 이외의 15개소에 시·도사무소를 두고 있다. 도지사뿐 아니라 읍면장, 동장 또한 임명하고 있는데 명예 읍면동장제의 실시 대상은 읍 45곳, 면 757곳, 동 109곳이다.[5]

설립 근거[편집]

  • 「이북5도 등에 관한 특별조치법」 제7조[6]
    • 「이북5도위원회 규정」 제1조[7]
이북5도 등에 관한 특별조치법

제1조(목적) 이 법은 이북5도미수복 시·군의 행정에 관한 특별조치를 규정함을 목적으로 한다. 제2조(정의) 이 법에서 사용하는 용어의 뜻은 다음과 같다. 1. "이북5도"란 1945년 8월 15일 현재 행정구역 상의 도(道)로서 아직 수복되지 아니한 황해도, 평안남도, 평안북도, 함경남도, 함경북도를 말한다. 2. "미수복 시·군"이란 1945년 8월 15일 현재 행정구역 상 경기도강원특별자치도의 시(市)와 군(郡)으로서 아직 수복되지 아니한 시와 군을 말한다.

행정안전부와 그 소속기관 직제 제2조(소속기관) ② 행정안전부소관 사무분장하기 위하여 행정안전부장관 소속으로 이북5도를 둔다.

설립 목적[편집]

대한민국은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을 국가로 인정하지 않으며 아울러 중국의 실효 통치하에 있는 백두산 천지 북안까지 자국 영토로 간주하기 때문에 한반도 군사 분계선 이북 지역 또한 대한민국 헌법 제3조가 규정하는 대한민국의 영토에 해당되게 된다. 이런 이유로 대한민국 정부는 정부, 행정 조직으로서 이북5도청을 만들었다. 비록 행정 구역이나 주민들에게 행정적인 서비스는 제공할 수 없더라도 상징적으로 존재해야 하는, 또 한국의 통일이 일어날 경우에 대비한 행정 조직으로서의 역할에 한정되어 있다.[8]

관장 사무[편집]

이북5도청의 명판

다음은 이북5도 및 미수복 시·군이 해당 관할지구가 수복될 때까지 주무부장관의 지휘에 따라 관장하는 사무이며, 이북5도위원회는 다음 사무의 전부 또는 일부를 공동으로 처리한다.[9]

  • 조사연구업무
    • 이북5도 등의 정치, 경제, 사회, 문화, 교육 등 각 분야에 걸친 정보의 수집·분석
    • 이북5도 등을 수복할 경우에 시행할 각종 정책의 연구
  • 월남(越南) 이북5도민 및 미수복 시·군의 주민(이하 "이북도민"이라 한다.)의 지원 및 관리
    • 이북도민의 실태조사 및 생활안정 지원
    • 북한이탈주민과 이북도민의 교류 사업 지원
    • 이북도민의 후세대 육성 및 지원
  • 이산가족 상봉 관련 업무 지원
  • 이북5도등 향토문화의 계승 및 발전
  • 이북도민 관련 단체의 지도 및 지원
  • 자유민주주의 함양 및 안보의식 고취
  • 이북도민에 대한 각종 증명 발급업무
  • 그 밖에 이북5도등 및 이북도민과 관련된 사업으로서 「이북5도위원회 규정」으로 정하는 사업

연혁[편집]

  • 1949년 5월 23일: 서울특별시에서 이북5도청 개청
  • 1962년 1월 20일: 이북5도에 관한 특별조치법 공포
  • 1966년 6월 25일: 명예 시장·군수제 실시
  • 1969년 5월 23일: 명예 읍·면장제 실시
  • 1993년 10월 9일: 현 위치로 청사 이전
  • 2021년 10월 4일: 제1회 이북5도위원회 <찾아가는 통일학교>

역대 로고[편집]

관할지구[편집]

이북 5도의 지도

미수복 경기도[편집]

미수복 경기도의 위치

광복 당시 경기도 전체의 면적[10]은 12,821 km2였다.

1953년 7월 27일, 한국 전쟁의 정전협정에 따라 연천군(漣川郡)과 포천군(抱川郡)의 38선 이북 지역을 대한민국이 수복하였으나, 개성시(開城市), 개풍군(開豊郡)의 대부분 및 장단군(長湍郡)의 북서부는 군사분계선 이북 지역이 되었다. 군사분계선 이남의 장단군 지역은 현재 파주시연천군에 나누어 편입되어 있는데, 지역 대부분이 민간인출입통제구역에 속한다.

2008년 기준으로,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의 행정 구역 상에서의 개성특급시, 개풍군, 장풍군의 인구 수는 총 45만 1170명이다.[11]

이북5도위원회에서는 개성시, 개풍군 14면, 장단군 10면에 대해서 명예시장·군수·면장을 임명하고 있다. 연천군 삭녕면과 서남면도 군사분계선 이북 지역에 속하지만, 이들 2개 면에 대해서는 군사분계선 이남의 면에 합쳐진 것으로 보고 면장을 임명하지 않고 있다. 반면, 장단군에서 연천군으로 편입된 장남면은 1989년 4월 1일 면을 복구하고 면사무소를 설치하였는데도 계속 명예면장을 임명하고 있다.

개성시[편집]

면적 82 km2, 인구 88,708명(1949)[12]. 시청은 수창동에 있었다.

개성시의 법정동은 1950년 6월 당시를 기준으로 한다.

행정동 이름
(동장 임명)
관할 법정동
동부 선죽(善竹)·운학(雲鶴)·동흥(東興)·덕암(德岩)
서부 수창(壽昌)·서흥(西興)·사직(社稷)·용산(龍山)·태평(太平)
남부 관훈(冠訓)·동현(銅峴)·남안(南安)·손하(孫河)
북부 고려(高麗)·만월(滿月)·북안(北安)·자남(子男)

개풍군[편집]

개풍군(開豊郡)은 대한민국의 행정구역경기도에 속한다. 면적은 744.6 km2이며, 14면 90리로 구성되어 있다. 군의 중심부에 위치한 개성시를 3면으로 둘러싸면서 서쪽은 예성강을 건너 황해도 연백군, 북서쪽은 황해도 금천군에 접하고, 동쪽은 경기도 장단군과 경계를 이룬다. 한편 남서쪽으로는 한강을 사이에 두고 강화군과 접하고, 남동쪽으로는 임진강을 경계로 파주시와 인접한다. 실제로 사천강 이동의 중면 동강리 일부가 수복되었으나 행정구역이 지정되지는 않았다.

군청 소재지는 개성시 용산동이다. 2013년 기준으로 군수는 한기달(제19대)이다. 한편 청교면은 대한민국의 작가 박완서의 고향이다.

  • 읍/면 사무소 소재지는 굵게 표시함. 이하 같다.
읍면 면적(km2) 리 숫자 리(里)
광덕면(光德面) 30.59 5 고척(高尺) 중련(中連) 광덕(光德) 황강(黃江) 사분(寺盆)
남면(南面) 44.75 9 (新) 군은(軍隱) 창릉(昌陵) 후석(候石) 율응(栗鷹) 조제(照濟)
옥산(玉山) 장산(狀山) 수우(修隅)
대성면(大聖面) 39.71 8 풍덕(豊德) 대성(大聖) 신죽(新竹) 구읍(舊邑) 지내(池內) 산귀(山歸)
고군(古郡) 삼달(三達)
봉동면(鳳東面) 60.37 8 봉동(鳳東) 대조족(大鳥足) 백전(白田) 발송(鉢松) 고두산(高頭山) 흥왕(興旺)
지금(芝金) 도평(都平)
북면(北面) 71.12 6 여현(礪峴) 일삼소(一三所) 이소(二所) 용현(龍峴) 가토미(加土尾) 식포(食浦)
상도면(上道面) 36.75 6 풍천(楓川) 삼인(三仁) 상도(上道) 양사(羊司) 연동(蓮洞) 대릉(大陵)
서면(西面) 29.17 5 광정(光井) 연산(蓮山) 강(江) 개성(開城) 전포(錢浦)
영남면(嶺南面) 96.39 6 용흥(龍興) 소릉(昭陵) 반정(伴程) 심천(深川) 현화(玄化) 대원(大院)
영북면(嶺北面) 84.32 4 길수(吉水) 길상(吉祥) 고덕(古德) 월고(月古)
임한면(臨漢面) 48,82 8 월암(月巖) 사동(仕洞) 채련(採蓮) 가정(佳井) 정곶(丁串) 유천(柳川)
상조강(上祖江) 하조강(下祖江)
중면(中面) 50.56 7 대룡(大龍) 식현(食峴) 덕수(德水) 송산(松山) 천덕(天德)
창내(倉內) 동강(東江)
청교면(靑郊面) 46.52 6 양릉(陽陵) 탄동(炭洞) 배야(排也) 유릉(裕陵) 광답(廣畓) 묵송(墨松)
토성면(土城面) 63.64 5 토성(土城) 여릉(麗陵) 곡령(鵠嶺) 연하(煙霞) 관전(館前)
흥교면(興敎面) 41.97 7 흥천(興天) 흥교(興敎) 궁천(宮川) 사곡(仕谷) 지현(芝峴) 조문(照門)
영정(領井)

장단군[편집]

장단군(長湍郡)은 대한민국 행정구역상 경기도에 속한다. 1945년 광복 당시 10면으로 구성되어 있었으며 면적은 722km2, 인구는 6만 7천여 명이었다. 군청 소재지는 장단면 도라산리로 휴전선 이남이다. 서쪽은 개성시, 북쪽은 황해도 금천군에 접하고, 동쪽은 연천군과 경계를 이루었다. 한편 남동쪽으로는 임진강을 경계로 파주와 인접했다.
6·25 전쟁 이후 군사분계선 이남의 전 지역이 민간인출입통제구역으로 설정되어 정상적인 기능을 하지 못하다가, 1972년 12월 28일에 군사분계선 이북 지역을 제외하고는 폐지되었다.
현재 수복된 장단면·군내면·진동면·진서면 극히 일부는 파주시 장단출장소에서, 장남면은 연천군에서, 대강면·장도면의 극히 일부는 연천군 백학면에서 3곳으로 나누어 관할하고 있다. 군사분계선 이북 지역은 개풍군 영북면 월고리 및 연천군 서남면 지역을 합쳐 장풍군이 설치되어 있다. 대한민국 이북5도위원회에서는 장단군을 포함해 개성시, 개풍군 등 경기도 북부 3개 시·군에 대해 명예시장·군수 및 면·동장을 임명하고 있다. 현재의 사실상 행정중심지는 소남면 홍화리이다.

  • 읍/면 사무소 소재지는 굵게 표시함. 이하 같다.
읍면 면적(km2) 리의 수 리(里) 비고
장단면(長湍面) 10 도라산(都羅山) 동장(東場) 노상(蘆上) 노하(蘆下) 서장(西場)
정동(井洞) 덕산(德山) 거곡(巨谷) 석곶(石串) 강정(江井)
파주시에 편입
군내면 백연리에 출장소 설치
장단면 서장리 미수복
군내면(郡內面) 7 읍내(邑內) 점원(點元) 방목(芳木) 정자(亭子) 백연(白蓮)
송산(松山) 조산(造山)
진동면(津東面) 5 하포(下浦) 동파(東波) 서곡(瑞谷) 초(哨) 용산(龍山)
진서면(津西面) 8 눌목(訥木) 분지(芬芝) 금릉(金陵) 어용(魚龍) 경릉(景陵)
전제(田齊) 선적(仙跡) 대원(大院)
금릉리, 어용리, 선적리, 분지리
파주시에 편입
장남면(長南面) 5 고랑포(高浪浦) 원당(元堂) 반정(伴程) 판부(板浮) 자작(自作) 연천군에 편입
원당리에 면사무소 설치
장도면(長道面) 10 고읍(古邑) 사시(沙是) 석주원(石柱院) 중(中) 상(上) 하(下)
오음(梧陰) 항동(項洞) 매현(梅峴) 두매(杜梅)
연천군 백학면에 편입
항동리, 매현리 수복
대강면(大江面) 5 청정(靑廷) 나부(羅浮) 포춘(浦春) 우근(禹勤) 독정(篤正) 포춘리
연천군 백학면에 편입
강상면(江上面) 7 구화(九化) 마성(馬城) 덕적(德積) 갈운(葛雲) 임강(臨江)
자하(紫霞) 솔랑(率浪)
전 지역 미수복
대남면(大南面) 5 위천(渭川) 성곡(聖谷) 석촌(石村) 장좌(長佐) 가곡(佳谷)
소남면(小南面) 5 유덕(有德) 지금(知琴) 홍화(弘化) 박연(朴淵) 두곡(斗谷)

미수복 강원특별자치도[편집]

미수복 강원도의 위치

광복 당시의 강원특별자치도 전체의 면적(1963년에 경상북도로 편입된 울진군 포함)은 26,262.99 km2로, 한국에서 세 번째로 넓었다. 2008년 기준으로, 북한 행정구역상 강원도(함경남도 지역이었던 천내군·문천시·원산시·안변군·고산군·법동군 제외)의 인구는 80만 3842명이다[11].

1953년 7월 27일, 한국 전쟁의 정전협정에 따라 38선 이북인 화천군·양구군·인제군·양양군·철원군·고성군김화군의 남부, 평강군 남면 정연리가 군사분계선 이남 지역이 되었다.

이북5도위원회는 다음 5개 군에 대해서는 명예군수·읍·면장을 임명하고 있다.

김화군[편집]

김화군(金化郡)은 면적 1558.7 km2이며, 1읍 11면 96개리로 편제되어 있었다. 군청소재지는 김화읍 읍내리였다. 이북5도위원회에서는 수복지역인 김화읍, 서면, 근남면을 뺀 미수복 9개 면의 명예면장을 임명한다.[13] 군사분계선 이남의 김화군 지역은 1963년 1월 1일 철원군에 편입되었고, 현재 김화읍사무소는 읍내리 남쪽의 학사리에, 근남면사무소는 육단리에, 서면사무소는 자등리에 있다. 1973년 7월 1일 서면의 청양리와 도창리가 김화읍에 편입되었다. 현재 미수복 김화군의 실질적인 행정중심지는 금성면이다.

광복 당시 김화군의 현황은 다음과 같다.

읍면 면적(km2) 리 숫자 리(里) 비고
김화읍(金化邑) 48.02 7 읍내(邑內) 암정(巖井) 생창(生昌) 운장(雲長) 용양(龍楊) 학사(鶴沙) 감봉(甘鳳) 전 지역 수복
철원군에 편입
서면(西面) 121.93 4 청양(淸陽) 와수(瓦水) 자등(自等) 도창(道昌)
근남면(近南面) 129.13 6 사곡(沙谷) 육단(六丹) 잠곡(蠶谷) 마현(馬峴) 풍암(豊巖) 양지(陽地)
근북면(近北面) 98.72 8 두촌(斗村) 금곡(金谷) 백덕(柏德) 유곡(楡谷) 율목(栗木) 건천(乾川)
성암(城巖) 산현(山峴)
유곡리, 금곡리, 백덕리, 율목리
철원군에 편입
근동면(近東面) 94.8 6 교전(橋田) 광삼(光三) 방통(芳通) 하소(下所) 아침(牙沈) 수태(水泰) 광삼리, 방통리
철원군 (남)에 편입
원남면(遠南面) 163.76 11 개야(開野) 경상(慶祥) 주파(注波) 죽대(竹垈) 남둔(南屯) 노동(蘆洞)
풍동(楓洞) 진현(榛峴) 월봉(月峰) 백양(白楊) 구룡(九龍)
주파리, 죽대리, 노동리, 진현리
철원군에 편입
원동면(遠東面) 155.71 7 장연(長淵) 방평(芳坪) 용연(龍淵) 율사(栗沙) 송실(松室) 세현(細峴) 등대(登大) 세현리, 등대리
철원군에 편입
임남면(任南面) 197.39 11 사천(泗川) 노남(魯南) 봉잔(烽棧) 좌패(佐佩) 면천(綿川) 두목(杜木)
상판(上板) 달전(達田) 과호(科湖) 어운(漁雲) 수동(水洞)
수동리
철원군에 편입
금성면(金城面) 112.24 9 방충(芳忠) 상(上) 후천(後天) 경파(慶坡) 초서(初西) 어천(漁川)
탑거(塔距) 별양(別陽) 매회(梅檜)
전 지역 미수복
원북면(遠北面) 180.55 7 추의(鄒儀) 고대(高垈) 법수원(法首院) 당현(堂峴) 감천(甘泉) 고직(古直) 탄감(炭甘)
창도면(昌道面) 131.9 10 창도(昌道) 유창(楡昌) 득사(得寺) 학방(鶴芳) 방성(芳城) 기성(岐城)
도성(桃城) 성현(城峴) 회현(灰峴) 태백(太白)
통구면(通口面) 124.61 10 (縣) 화사(化泗) 도파(桃坡) 화평(花坪) 통현(通縣) 장안(長安)
북둔(北屯) 보막(寶幕) 당평(堂坪) 삼대(三臺)

이천군[편집]

이천군(伊川郡)은 강원도 북부에 위치한 군으로 1,707.9 km2의 면적에 11개 면 91개 리로 편제되어 있다. 군청소재지는 이천면 향교리이다.

읍면 면적(km2) 리 숫자 리(里)
이천면(伊川面) 119.06 12 향교(鄕校) 탑(塔) 천안(泉岸) 신당(新塘) 회산(回山) 추목(楸木)
안양(安養) 남좌(南佐) 비석(碑石) 신흥(新興) 개하(開下) 개상(開上)
낙양면(樂壤面) 69.99 7 지하(支下) 내락(內洛) 외락(外洛) 구봉(九峰) 삼포(三浦) 지석(支石)
지상(支上)
동면(東面) 58.64 4 하식점(下食站) 정동(定洞) 월암(月巖) 상식점(上食站)
방장면(方丈面) 219.56 8 가려주(佳麗洲) 가하(佳下) 사동(寺洞) 당우(堂隅) 경도(京都) 용지(龍池)
인원(獜原) 구당(龜塘)
산내면(山內面) 168.82 9 송정(松亭) 장재동(長在洞) 장동(長洞) 추동(楸洞) 상하(上下) 삼거(三巨)
화풍(花豊) 개련(開蓮) 용포(龍浦)
서면(西面) 120.25 7 산참(山站) 우미(友味) 상화암(上禾巖) 하화암(下禾巖) 축동(軸洞)
유대포(流大浦) 문암(文巖)
안협면(安峽面) 66.23 6 읍내(邑內) 거성(擧城) 퇴탄(退灘) 저전(楮田) 상수회(上水回) 하수회(下水回)
용포면(龍浦面) 227.6 8 문동(文童) 무릉(武陵) 호암(虎巖) 창전(倉田) 성거(成巨) 용흥(龍興)
산지(山旨) 상두(上頭)
웅탄면(熊灘面) 311.41 8 왕막(王幕) 평(坪) 용금(龍金) 회전(檜田) 희역(希易) 건자(乾子)
이락(耳洛) 해랑(海浪)
판교면(板橋面) 166.09 8 명덕(明德) 군지(君至) 한지(漢支) 용당(龍塘) 송원(松原) 용천(龍川)
광현(廣峴) 풍림(楓林)
학봉면(鶴鳳面) 162.26 14 은행정(銀杏亭) 회산(回山) 성북(城北) 공수탄(公須灘) 심동(深洞)
노동(魯洞) 성호(星湖) 장항(獐項) 묵막(墨幕) 학봉(鶴峰) 신파(薪坡)
오현(筽峴) 사청(射廳) 대하현(大河峴)

통천군[편집]

통천군(通川郡)은 강원도 북부 동해안에 위치한 군으로 면적 864 km2이며, 1읍 6면 161개리로 편제되어 있다. 군청소재지는 통천면 중리이다.

면적(km2) 리 숫자 리(里)
통천면(通川面) 40.54 18 (中) 동(東) 서(西) 정(正) 태(兌) 방포(芳浦) 평(坪)
방동(芳洞) 하방동(下芳洞) 금란(金蘭) 마암(馬巖) 동정(東亭) 서정(西亭)
어은(漁隱) 송산(松山) 신평(新坪) 주대(蛛垈) 후금란(後金蘭)
고저읍(高底邑) 90.07 19 하고저(下庫底) 상고저(上庫底) 어운(魚雲) 삼계(三溪) 구항(龜項) 포항(蒲項)
반월(半月) 사호(沙湖) 흥운(興雲) 백종(栢種) 보통(寶通) 신(新)
신월(新月) 오류(五柳) 전산(錢山) 도일(道一) 전천(前川) 총석(叢石)
통수동(通水洞)
벽양면(碧養面) 128.85 27 신아간(新阿干) 회산(回山) 초성(初城) 차성(次城) 장현(長峴) 곤암(昆巖)
용암(龍巖) 염내(剡內) 지장(地藏) 안도(安道) 고림(古林) 신점(新店)
만교(萬橋) 지곡(芝谷) 향천(香泉) 신일(新日) 중대(中臺) 서운암(瑞雲巖)
백운암(白雲巖) 신대(新垈) 아간(阿干) 가평(佳坪) 동대(東垈) 계곡(桂谷)
가신(佳新) 신흥(新興) 외야(外也)
송전면(松田面) 59 19 송전(松田) 치궁(致弓) 거록(巨鹿) 문치(文峙) 옥마(玉馬) 석성(石城)
만양(晩陽) 장동(長洞) 수천(水川) 산론(山論) 포항(浦項) 아산(峨山)
신흥(新興) 황석(黃石) 오매(梧梅) 석도(石島) 정덕(貞德) 갈평(葛坪)
구읍(舊邑)
임남면(臨南面) 255.11 22 외렴성(外濂城) 내렴성(內濂城) 동자원(童子院) 오류(梧柳) 둔대(屯垈)
신남(新南) 명문암(明文巖) 다동(茶洞) 판막동(板幕洞) 능월(陵月)
유동(柳洞) 송방(松坊) 복동(福洞) 장림(長林) 외호(外湖) 두백(荳白)
장룡포(長龍浦) 상다전(上多田) 하다전(下多田) 운암(雲巖) 두암(斗巖)
말구(末九)
학일면(鶴一面) 160.61 20 패천(沛川) 칠보(七寶) 연호(蓮湖) 석대(石臺) 풍패(豊沛) 항평(項坪)
상이목(上梨木) 하이목(下梨木) 백산(栢山) 신탄(新炭) 대대(大垈)
하화(下花) 상화(上花) 삼태(三台) 강동(江洞) 마채(磨釵) 운수(雲水)
마전(麻田) 흥곡(興谷) 괴화(槐花)
흡곡면(歙谷面) 128.65 36 화통(貨通) 반계(盤溪) 신흥(新興) 사재(思梓) 율동(栗洞) 신율동(新栗洞)
신기(新基) 신장(新場) 명고(鳴皐) 서왕(西旺) 용천(龍川) 용연(龍淵)
용흥(龍興) 송현(松峴) 동산(東山) 전당(錢塘) 하수(河水) 양지(陽址)
풍호(豊湖) 성현(星峴) 연화(蓮花) 압룡(鴨龍) 학고(鶴皐) 내군(內君)
군산(君山) 구계(九溪) 입석(立石) 서역(瑞域) 화등(和登) 자산(慈山)
하장진(下長津) 송양(松陽) 웅진(熊津) 상음(桑陰) 연동(淵洞) 합진(蛤津)

평강군[편집]

평강군(平康郡)의 면적은 1,374 km2이며, 1읍 6면으로 편제되어 있다. 군청소재지는 평강읍 동변리이다. 유일하게 휴전선 이남에 위치한 남면 정연리는 철원군에서 관할하고 있다.

읍면 면적(km2) 리 숫자 리(里) 비고
평강읍(平康邑) 115.24 7 동변(東邊) 서변(西邊) 복계(福溪) 압동(鴨洞) 간(間) 나매(羅梅) 상갑(上甲) 전 지역 미수복
남면(南面) 102.96 5 지암(芝巖) 천마(天馬) 학전(鶴田) 가곡(佳谷) 정연(亭淵) 정연리 수복
갈말읍에 편입
목전면(木田面) 130.55 7 기산(箕山) 사흘(沙屹) 정동(鼎洞) 장촌(墻村) 복만(福滿) 직동(直洞)
중삼(中三)
전 지역 미수복
서면(西面) 183.98 6 옥동(玉洞) 문봉(文峰) 금곡(金谷) 정산(定山) 화암(化巖) 망일(望日)
세포면(洗浦面) 383.33 7 세포(洗浦) 서하(西下) 중평(中平) 북평(北平) 근남(近南) 동상(東上)
원남(遠南)
유진면(楡津面) 275.09 6 후평(後坪) 유연(楡淵) 천기(泉岐) 적전(赤田) 상술(上述) 사창(社倉)
현내면(縣內面) 193.14 11 백룡(白龍) 신정(新井) 하주(下注) 하보(下洑) 이목(梨木) 신대(新垈)
북촌(北村) 마장(馬場) 임단(林丹) 문산(文山) 상원(上元)

회양군[편집]

회양군(淮陽郡)은 강원도 북부에 위치한 군이다. 면적 1,899.81 km2에 7개 면 146개 리로 편제되어 있으며, 군청소재지는 회양면 읍내리이다.

면적(km2) 리 숫자 리(里)
회양면(淮陽面) 169.68 37 읍내(邑內) 상만(上萬) 대유(大有) 소풍(素豊) 강돈(江敦) 아현(峨峴)
하교동(下橋洞) 상교동(上橋洞) 금태일(金台日) 광석(廣石) 전항(箭項)
장벽동(長碧洞) 마룡(馬龍) 두전동(豆田洞) 고대(高垈) 갈화(葛花) 봉현(蓬峴)
하토기점(下土器店) 외강돈(外江敦) 지석(支石) 추방(秋芳) 신안상(新安上)
신안중(新安中) 오동(梧洞) 이동(二東) 간동(間洞) 관(館) 고재(高才)
노동(盧洞) 부로지(扶老只) 심포(深浦) 송치(松峙) 연포송(延浦送)
곡돌(曲乭) 포촌(浦村)
난곡면(蘭谷面) 341.92 19 (縣) 수천동(水泉洞) 봉통포(蜂桶浦) 천읍(泉邑) 조동(槽洞)
이포(泥浦) 귀락(貴洛) 유읍(楡邑) 추전(楸田) 봉일(鳳逸) 직포(直浦)
오동(梧洞) 동사동(東沙洞) 토동(土洞) 신평(新坪) 공동(公洞) 상송관(上松館)
하송관(下松館) 낭하(浪下)
내금강면(內金剛面) 501.42 23 말휘(末輝) 병이무지(竝伊武只) 상신원(上新院) 금강원(金剛院) 정양동(正陽洞)
장연(長淵) 온정동(溫井洞) 하신원(下新院) 상북점(上北占) 상현(上縣)
하북점(下北占) 하현(下縣) 삼덕동(三德洞) 하소곤(下小坤) 하회이(下檜耳)
순갑(順甲) 신풍(新豊) 유동(柳洞) 봉현(蓬峴) 상회이(上檜耳) 상소곤(上小坤)
추동(楸洞) 동사동(東沙洞)
사동면(泗東面) 157.13 24 하사동(下泗東) 상구만(上九萬) 상지석(上支石) 하지석(下支石) 금곡(金谷)
회동(淮洞) 상사동(上泗東) 사동(沙洞) 간점방(間占方) 상점방(上占方)
하구만(下九萬) 동사동(東寺洞) 양수암(兩水庵) 만도(晩到) 산월(山月)
능동(菱洞) 이교(泥橋) 쌍계평(雙鷄坪) 신읍(新邑) 마전동(麻田洞) 사기점(沙器店)
광동(廣洞) 하양(下陽) 신흥(新興)
상북면(上北面) 283.11 14 목곡(木谷) 상전탄(上田灘) 두허동(斗虛洞) 하진평(下津坪) 신명(新明)
용연(龍淵) 송포(松浦) 모덕(慕德) 하전탄(下田灘) 오랑(五郎) 중신정(中新正)
도납(道納) 판기(板機) 상신정(上新正)
안풍면(安豊面) 251.22 19 신창(新昌) 흥인동(興仁洞) 가동(佳洞) 본(本) 화산(花山) 방목(方目)
명우(鳴牛) 안미(安美) 추동(楸洞) 용암(龍巖) 판유(板踰) 백후(栢后)
판맥(判陌) 중세동(中細洞) 상세동(上細洞) 풍미(豊美) 성동(城洞) 화천(化川)
장치동(長峙洞)
하북면(下北面) 195.34 12 지탄(只呑) 상평(上坪) 초일(初一) 초남(初南) 마산(麻山) 은계(銀溪)
문내동(文內洞) 선암(仙巖) 태일(台日) 금곡(金谷) 철령(鐵嶺) 하정신(下正新)

고성군[편집]

고성군(高城郡)은 강원도 동북부에 위치한 군이다. 면적 -km2에 4읍 6면 130개 리로 편제되어 있으며, 군청소재지는 고성읍 동리였다. 현재 고성군 수복지역의 군청소재지는 간성읍 하리이며, 완전히 수복된 간성읍, 거진읍, 토성면, 죽왕면, 현내면을 뺀 2읍 3면에는 명예읍면장이 임명되고 있다. 북측 고성군의 '고성읍' 은 구 장전읍 지역이다.

면적(km2) 리 숫자 리(里) 비고
고성읍(高城邑) 55.84 13 (東) 송현(松峴) 명호(明湖) 송도진(松島津) 대강(大康)
서(西) 말무(末茂) 입석(立石) 봉수(烽燧) 포외진(浦外津)
보호(寶湖) 고봉(高峰) 감월(鑑月)
송현·명호·송도진·대강리 수복
현내면에 편입
장전읍(長箭邑) 31.52 4 장전(長箭) 성북(城北) 주험(注驗) 사호(沙湖) 전 지역 미수복
간성읍(杆城邑) 55.84 17 (下) 간촌(艮村) 광산(廣山) 교동(校洞) 금수(金水) 동호(東湖) 봉호(蓬壺) 상(上) 봉수(烽燧) 선유실(仙遊室) 신안(新安) 어천(魚川) 감월(鑑月) 장신(長新) 진부(陳富) 탑동(塔洞) 해상(海上) 탑현(塔峴) 흘(屹) 전 지역 수복
거진읍(巨津邑) 76.77 17 송포(松浦) 거진(巨津) 냉천(冷泉) 대대(大垈) 반암(盤巖) 봉평(蓬坪) 산북(山北) 석문(石門) 송강(松江) 송정(松亭) 송죽(松竹) 오정(梧亭) 용하(龍下) 원당(源塘) 자산(慈山) 초계(草溪) 화포(花浦)
죽왕면(竹旺面) 50.11 12 오호(五湖) 가진(加津) 공현진(公峴津) 구성(九城) 마좌(麻佐) 문암진(文巖津) 삼포(三浦) 송암(松巖) 야촌(野村) 오봉(五峰) 인정(仁亭) 향목(香木)
토성면 (土城面) 120.46 17 천진(天津) 교암(橋巖) 금화정(金花亭) 도원(桃院) 백촌(栢村) 봉포(鳳浦) 성대(城垈) 성천(星川) 신평(新坪) 아야진(我也津) 용암(龍巖) 용촌(龍村) 운봉(雲峰) 원암(元巖) 인흥(仁興) 청간(淸澗) 학야(鶴也)
현내면(縣內面) 92.81 17 대진(大津) 철통(鐵桶) 초도(草島) 죽정(竹亭) 산학(山鶴) 화곡(禾谷) 마차진(麻次津) 배봉(培峯) 검장(劍藏) 사천(泗川) 제진(猪津) 송현(松峴) 명호(明湖) 송도진(松島津) 대강(大康) 전 지역 수복
고성읍에서 송현·명호·송도진·대강리 편입
수동면(水洞面) 222.9 13 신대(新垈) 덕산(德山) 외면(外沔) 사비(沙飛) 고미성(姑味城)
사천(沙泉) 신탄(新炭) 상원(上院) 초현(草峴) 정월(汀月)
태봉(台峰) 내면(內沔) 흑연(黑淵)
신대·덕산·외면·사비·고미성·사천·신탄·상원리 수복 및 수동면 설치, 간성읍에서 행정사무 대행·관할
서면(西面) 194.32 9 송탄(松灘) 양송(兩松) 장정(長亭) 내침(內砧) 화우(花雨)
유성(柳城) 시랑(侍郞) 보현(普玄) 백천교(百川橋)
전 지역 미수복
외금강면(外金剛面) 147.37 15 온정(溫井) 양진(養珍) 신흥(新興) 운곡(雲谷) 용계(龍溪) 계월(桂月)
창대(倉垈) 서아(西峨) 영진(靈津) 사평(沙坪) 추동(楸洞) 장도(長島)
포항(浦項) 낭정(浪汀) 남애(南涯)

고성읍수복지구(송현·명호·송도진·대강리)는 현내면에 편입되었고, 수동면수복지구 8개리(신대·덕산·외면·사비·고미성·사천·신탄·상원리)는 전체가 주민 미거주지역으로 간성읍에서 행정사무를 대행·관할한다.

철원군[편집]

철원군(鐵原郡)은 강원도 서부에 위치한 군이다. 군청 소재지는 철원읍 사요리였다. 현재 철원군의 군청소재지는 갈말읍 신철원리이다. 읍·면의 청사 소재지는 광복 당시의 것을 따른다. 일부 지역의 행정구역 변경으로인한 면적변경으로 광복 당시의 면적과 차이가 있어 일부 읍·면 만 면적을 표기한다. 또한 법정리와 면적 역시 행정구역 변경으로 인하여 맞지 않는 부분이 있어 표기하지 않았다.

면적 리의 수 리(里) 비고
철원읍(鐵原邑) 8 관전(官田) 중(中) 월하(月下) 화지(花地) 율이(栗梨) 사요(四要) 외촌(外村) 내포(內浦) 전 지역 수복
동송읍(東松邑) 8 이평(二坪) 오덕(五德) 장흥(長興) 오지(梧池) 상노(上路) 대위(大位) 관우(觀雨)
갈말읍(葛末邑) 10 신철원(新鐵原) 지포(芝浦) 강포(江浦) 군탄(軍炭) 문혜(文惠)·내대(內垈) 상사(上絲) 지경(地境) 토성(土城) 동막(東幕)
신서면(新西面) 5 도신(道新) 대광(大光) 내산(內山) 마전(馬田) 승양(承陽) 전 지역 수복, 연천군에 편입
어운면(於雲面) 65.19 5 하갈(下葛) 양지(陽地) 이길(二吉) 강산(江山) 중강(中江) 동송읍에 편입
법정리 전 지역 수복, 일부지역 미수복
묘장면(畝長面) 62.59 4 중세(中細) 대마(大馬) 가단(加丹) 산명(山明) 철원읍에 편입
법정리 전 지역 수복, 일부지역 미수복
북면(北面) 102.77 6 회산(回山) 유정(楡井) 홍원(洪元) 외학(外鶴) 보막(洑幕) 용학(龍鶴) 유정·홍원리
철원읍에 편입
내문면(乃文面) 73.17 6 창동(倉洞) 독검(篤儉) 오동(梧桐) 반석(班石) 내문(乃文) 마방(馬放) 독검리
철원읍에 편입
마장면(馬場面) 73.46 6 장포(長浦) 남원(南院) 대전(大田) 왕피(往避) 입석(立石) 밀암(密巖) 전 지역 미수복
인목면(寅目面)[14] 73.29 6 도밀(道密) 덕산(德山) 갈현(葛峴) 신현(薪峴) 승양(承陽) 검사(檢寺) 도밀·덕산·갈현·신현리
연천군 신서면에 편입

양구군[편집]

양구군(楊口郡)은 강원도 중부에 있는 군이다. 군청 소재지는 양구읍 하리이다. 대부분의 지역이 수복되었으나 수입면은 미수복지구로 남아있다.

면적 리의 수 리(里) 비고
수입면(水入面) 18 문등(文登) 송거(松巨) 내(內) 백현(栢峴) 근(芹) 수청(水靑)
청송(靑松) 두포(杜浦) 석사(石寺) 지혜(智惠) 분지수(分池水) 인패(印佩)
암(岩) 오천(烏川) 점방(占方) 지경(地境) 대정(大井) 천(泉)
문등·내·수청·암리
방산면에 편입

그 외[편집]

이북5도위원회는 군청이 휴전선 이남에 있는 다음 지역에 대해서는 명예읍·면장을 임명하지 않고 있다. 휘하 행정구역에 대해서는 해당 문서를 참고하라.

같이 보기[편집]

각주[편집]

  1. 「이북5도에 관한 특별조치법」 제2조
  2. 이북5도는 행정안전부의 소관 사무를 분장하기 위하여 행정안전부장관 소속으로 두는 행정기관으로 「지방자치법」 상의 지방자치단체에 해당하지 않는다.
  3. 「이북5도에 관한 특별조치법」 제5조제2항
  4. 대한민국 정부에서는 1945년 8월 15일 건국준비위원회의 건국 준비 과정에서 겸이포읍을 송림시로, 사리원읍을 사리원시로 승격한 것, 선천군신미도를 운종면으로 분면한 것을 광복 당시의 행정 구역으로 인정하고 있고, 당시의 부는 시로 보기 때문에 일제가 패망한 순간의 행정 구역과는 약간의 차이가 있다. 소비에트 민정청에서는 송림시와 사리원시의 승격이 인정되지 않아 1947년 6월 승격되었다.
  5. “(별표 2) 명예동장 관할 동‧리 현황, 이북5도위원회 (hwp 파일)”. 2014년 11월 9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4년 11월 9일에 확인함. 
  6. 이북5도등 사무의 전부 또는 일부를 공동으로 처리하기 위하여 필요하면 대통령령으로 정하는 바에 따라 이북5도위원회를 설치할 수 있다,
  7. 「이북5도 등에 관한 특별조치법」 제4조에 따른 사무를 공동으로 처리하기 위하여 「이북5도 등에 관한 특별조치법」 제7조에 따라 이북5도위원회를 둔다.
  8. 서울신문 (2009년 11월 21일). “토요 포커스: 이북5도청 무슨일을 하나요”. 2009년 12월 11일에 확인함. 
  9. 「이북5도 등에 관한 특별조치법」 제4조
  10. 오늘날의 서울특별시인천광역시 포함
  11. 조선중앙통계국,2008년 인구 조사 Archived 2010년 3월 31일 - 웨이백 머신,2009년.
  12. 통계청 국가통계포털 - 국내통계, 행정구역/내·외국인 및 성별 인구 (1949)
  13. 이북5도청 - 미수복강원도 김화군 조직[깨진 링크(과거 내용 찾기)]
  14. 군사분계선 이남의 인목면은 1954년 11월 17일 신서면에 편입된 후, 1963년 1월 1일 경기도 연천군에 편입되었다.

외부 링크[편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