육플루오린화 황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육플루오린화 황
Skeletal formula of sulfur hexafluoride with assorted dimensions
Spacefill model of sulfur hexafluoride
Ball and stick model of sulfur hexafluoride
이름
IUPAC 이름
Sulfur hexafluoride
체계명
Hexafluoro-λ6-sulfane[1]
별칭
Elagas

Esaflon
Sulfur(VI) fluoride

Sulfuric fluoride
식별자
3D 모델 (JSmol)
ChEBI
ChemSpider
ECHA InfoCard 100.018.050
EC 번호
  • 219-854-2
2752
KEGG
MeSH Sulfur+hexafluoride
RTECS 번호
  • WS4900000
UNII
UN 번호 1080
성질
SF6
몰 질량 146.06 g/mol
겉보기 무색 기체
냄새 odorless[2]
밀도 6.17 g/L
녹는점 −64 °C; −83 °F; 209 K
끓는점 −50.8 °C (−59.4 °F; 222.3 K)
임계점 (T, P) 45.51±0.1 °C, 3.749±0.01 MPa[3]
0.003% (25 °C)[2]
용해도 slightly soluble in water, very soluble in 에탄올, 헥세인, 벤젠
증기 압력 2.9 MPa (at 21.1 °C)
−44.0×10−6 cm3/mol
열전도율
  • 13.45 mW/(m·K) at 25 °C[4]
  • 11.42 mW/(m·K) at 0 °C
점도 15.23 μPa·s[5]
구조
Orthorhombic, oP28
Oh
Orthogonal hexagonal
Octahedral
0 D
열화학
0.097 kJ/(mol·K) (constant pressure)
292 J·mol−1·K−1[6]
−1209 kJ·mol−1[6]
약리학
V08DA05 (WHO)
라이선스 데이터
위험
물질 안전 보건 자료 External MSDS
S-phrases (outdated) S38
NFPA 704 (파이어 다이아몬드)
NIOSH (미국 건강 노출 한계):
PEL (허용)
TWA 1000 ppm (6000 mg/m3)[2]
REL (권장)
TWA 1000 ppm (6000 mg/m3)[2]
IDLH (직접적 위험)
N.D.[2]
관련 화합물
관련 sulfur fluorides
Disulfur decafluoride
사플루오린화 황
관련 화합물
Selenium hexafluoride
Sulfuryl fluoride
Tellurium hexafluoride
Polonium hexafluoride
달리 명시된 경우를 제외하면, 표준상태(25 °C [77 °F], 100 kPa)에서 물질의 정보가 제공됨.
예 유효성 확인 (관련 정보 예아니오아니오)
정보상자 각주

육플루오린화 황(육불화황)(화학식: SF6)은 플루오린의 화합물로, 황 원자를 중심으로 플루오린 원자가 정팔면체 구조를 취하고 있다.

인체에 무해하나 흡입 시 성대에 영향을 주어 목소리가 일시 변화된다. 지구 온난화를 가속하는 가스이며, 1960년대부터 절연제 등으로 넓게 사용되고 있다. 이 기체인공적온실 효과를 만들어내는 기체이다. 사용량은 많지 않았으나, 최근 들어서 수요량이 늘어나고 있다. 이산화탄소, HFCs, PFCs와 함께 대표적인 온실 가스이다.

특징[편집]

이산화탄소와 같이 1기압하의 끓는점에서 승화한다. 표준 상태에서의 밀도는 6.12g/L로, 공기보다 약 5배 정도 무거운 기체이며 절연성이 뛰어나다.

  • 화학적, 물리적 특성
  1. 열적 안정성이 뛰어나다.
  2. 화학적으로 비활성이므로 안정적인 기체이다.
  3. 무색, 무취, 무해, 불연성 기체이다.
  4. 열 전달성이 뛰어나다.
  • 전기적 특성
  1. 절연내력이 높다.
  2. 소호 능력이 좋다.
  3. arc가 안정적이다.
  4. 절연 회복이 빠르다.

용도[편집]

높은 절연성으로 변압기, 절연 개폐 장치 등의 절연 매체로 사용된다. 이 외에도 반도체 제품이나 액정 패널의 제조 과정에서도 사용된다. 특수한 예로 어뢰엔진 연료에도 사용된다.

같이 보기[편집]

각주[편집]

  1. “Sulfur Hexafluoride - PubChem Public Chemical Database”. 《PubChem》. National Center for Biotechnology Information. 3 November 2012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2 February 2013에 확인함. 
  2. NIOSH Pocket Guide to Chemical Hazards. “#0576”. 미국 국립 직업안전위생연구소 (NIOSH). 
  3. Horstmann, Sven; Fischer, Kai; Gmehling, Jürgen (2002). “Measurement and calculation of critical points for binary and ternary mixtures”. 《AIChE Journal48 (10): 2350–2356. doi:10.1002/aic.690481024. ISSN 0001-1541. 
  4. Assael, M. J.; Koini, I. A.; Antoniadis, K. D.; Huber, M. L.; Abdulagatov, I. M.; Perkins, R. A. (2012). “Reference Correlation of the Thermal Conductivity of Sulfur Hexafluoride from the Triple Point to 1000 K and up to 150 MPa”. 《Journal of Physical and Chemical Reference Data》 41 (2): 023104–023104–9. doi:10.1063/1.4708620. ISSN 0047-2689. 
  5. Assael, M. J.; Kalyva, A. E.; Monogenidou, S. A.; Huber, M. L.; Perkins, R. A.; Friend, D. G.; May, E. F. (2018). “Reference Values and Reference Correlations for the Thermal Conductivity and Viscosity of Fluids”. 《Journal of Physical and Chemical Reference Data47 (2): 021501. doi:10.1063/1.5036625. ISSN 0047-2689. PMC 6463310. PMID 30996494. 
  6. Zumdahl, Steven S. (2009). 《Chemical Principles 6th Ed》. Houghton Mifflin Company. A23쪽. ISBN 978-0-618-94690-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