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정성
유정성(有情性)은 문법적·의미론적 자질 중의 하나로, 명사가 지칭하는 대상이 생명·의식 등을 가지고 있는지의 여부를 말한다.
예[편집]
한국어[편집]
한국어의 유정 명사는 여격 조사와 결합할 경우 “-에게”와, 무정 명사는 “-에”와 결합하기 쉽다. (“사람에게 돌을 던지지 마라.” / “연못에 돌을 던지지 마라.”) 다만 의인화가 가능하거나 유정성의 대유·비유가 가능한 경우 등에서는 ‘-에게’와 결합하기도 한다.[1] (“다른 나라에게 권한을 넘겨줬다.” / “별에게 소원을 빌었다.”) 또한 명사의 유정성에 따라 결합하는 동사가 서로 달라지는 경우가 있다. (“강아지를 데리고 나갔다.” / “상자를 가지고 나갔다.”)
나바호어[편집]
나바호어 명사들 사이에는 유정성에 따라 연속적인 위계가 존재한다.[2]
- 성인 인간 · 번개 > 인간 아이 · 큰 동물 > 중간 크기 동물 > 작은 동물 > 자연적인 힘 > 추상 개념
이 위계에 따라 문장에서 제일 먼저 나오는 명사가 정해진다. 예를 들어 많은 나바호어 화자들에게 (1)은 문법에 어긋나게 들리고 (2)가 자연스럽게 들린다.
(1) | *Tsídii | at’ééd | yishtąsh |
새 | 소녀 | yi-쪼다-과거 | |
*‘새가 소녀를 쪼았다.’ |
(2) | At’ééd | tsídii | bishtąsh |
소녀 | 새 | bi-쪼다-과거 | |
‘소녀가 새에게 쪼였다.’ |
일본어[편집]
‘있다’에 해당하는 일본어 동사는 유정 명사 / 무정 명사에 따라 いる / ある로 구분된다.
각주[편집]
- ↑ 한승규 (2014년 12월). “조사 ‘에게’와 결합하는 무정물 명사의 유정성 연구” (PDF). 《韓國學研究論文集》 (중국문화대학) 3. 2020년 10월 2일에 확인함.[깨진 링크(과거 내용 찾기)]
- ↑ Young, Robert W., & Morgan, William, Sr. (1987). The Navajo language: A grammar and colloquial dictionary (rev. ed.). Albuquerque: University of New Mexico Press. ISBN 0-8263-1014-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