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고슬라비아의 해체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유고슬라비아의 해체 과정을 나타낸 지도 영상
범례

1980년대 정치와 경제적인 위기를 겪은 유고슬라비아 사회주의 연방공화국의 각 구성 공화국들은 독립을 선포하며 유고슬라비아가 해체되었지만, 이후에도 해결되지 않은 문제로 여러 민족갈등인 유고슬라비아 전쟁이 일어났다. 유고슬라비아 전쟁은 보스니아 전역크로아티아의 인접 지역, 그 외에 몇 년 후에는 코소보에도 영향을 주었다.

제2차 세계 대전에서 연합국이 승리한 후 6개 공화국으로 구성된 연방인 유고슬라비아가 수립되었으며 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 크로아티아, 마케도니아, 몬테네그로, 세르비아, 슬로베니아 각 공화국은 민족적, 역사적 경계에 따라 그어졌다. 또한 세르비아 내에는 보이보디나, 코소보 2개 자치주도 세워졌다. 각 공화국에는 집권당인 유고슬라비아 공산주의자동맹과 자체 엘리트가 있었으나 모든 긴장은 연방 수준에서 해결되었다. 유고슬라비아식 국가조직모델과 계획 경제경제적 자유주의 사이 "중도적 길"을 추구하는 방식은 어느 정도 성공적이었으며, 1980년대까지 요시프 브로즈 티토 집권 하에서 강력한 경제성장과 상대적인 정치적 안정기를 겪었다.[1] 1980년 티토의 사망 이후 약화된 연방정부 체계는 점점 거세지는 경제적, 정치적 위기에 제대로 대처할 수 없었다.

1980년대 코소보 내 알바니아인1981년 시위를 시작으로 코소보에 자치공화국의 지위를 요구했다. 알바니아인과 세르브인 사이 민족적 긴장은 80년대 내내 고조되어 세르브계는 지방의 강력한 자치권과 유고슬라비아 연방 차원의 비효율적인 합의 체계에 대한 반대가 커졌으며, 이는 세르브인 이익의 걸림돌로 여겨졌다. 1987년 세르비아에 슬로보단 밀로셰비치가 집권하면서 일련의 포퓰리즘적 정책을 통해 코소보, 보이보디나, 몬테네그로를 사실상 장악하며 세르브인의 중앙집권 정책에 높은 지지를 얻도록 만들었다. 밀로셰비치는 동유럽에서 일어난 1989년 혁명에 발맞춰 유고슬라비아의 민주화를 주장하던 서부의 슬로베니아와 크로아티아 내 정당 지도부의 반대에 맞닿들었다. 1990년 1월에는 유고슬라비아 공산주의자동맹이 연방 경계에 따라 해체되었다. 각 공화국의 공산주의 조직은 별도의 사회주의 정당으로 분화했다.

1990년에는 처음으로 실시된 다당제 선거에서 밀로셰비치와 그 동맹이 이긴 세르비아 몬테네그로를 제외한 모든 공화국에서 사회주의 세력이 패배하고 민족분리주의 세력이 집권했다. 모든 면에서 민족주의적 수사가 더 세지기 시작했다. 1991년 6월부터 1992년 4월까지 4개 유고슬라비아 구성 공화국이 독립을 선언했다. 독일은 슬로베니아와 크로아티아의 독립을 주도하고 인정했지만 세르비아 몬테네그로 이외 지역의 세르브인과 크로아티아 이외 지역의 크로아트인 민족지위 문제는 여전히 미해결 상태였다. 일련의 민족 간 분쟁 이후 유고슬라비아 전쟁이 크로아티아에서, 그리고 가장 심각하게는 다민족이 거주하는 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에서 이어졌다. 전쟁은 수십년 이 지난 후에도 유고슬라비아 지역에 경제적, 정치적 피해를 안겼다.[2]

배경[편집]

유고슬라비아 전쟁[편집]

1991년 6월 25일, 슬로베니아크로아티아가 독립을 선언하자, 세르비아 주도의 유고슬라비아 연방은 독립 무효를 선언, 6월 28일 슬로베니아에 연방군을 진격시킴으로써 유고슬라비아 전쟁이 발발하였다. 처음 3개월간은 유럽 강대국들의 개입으로 휴전하였으나, 8월에 연방군의 크로아티아 진격으로 전투는 재개되었고, 전쟁은 유고슬라비아 전역으로 확대되기에 이른다.

1992년 1월, 크로아티아군은 전열을 정비하며 반격을 시작하였고, 크로아티아에 거주하던 세르비아인들이 세르비아로 탈출하던 가운데 남아 있던 세르비아인들은 크로아티아군에게 혹독한 보복을 당해 인권침해 문제가 제기되기도 하였다.

1992년 3월에는 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까지 내전이 확대되었다. 애초에 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 정부는 중립을 선언하였으나, 이미 독립파(보스니아인)와 연방 잔류파(세르비아인)로 갈려 분쟁이 시작되고 있었던 상황이었다. 결국 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는 독립을 선언하였으며, 연방군은 즉각 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를 공격하면서 보스니아 전쟁을 일으킨다.

한편, 계속된 내란으로 유고슬라비아 연방의 붕괴를 피할 수 없게 되자, 1992년 4월에 세르비아는 몬테네그로와 함께 신유고슬라비아를 선언한다.

내란 말기에는 결국 북대서양 조약 기구(NATO)가 개입하여 세르비아 폭격, 경제 제재 등을 동원하였고, 1995년 12월 14일 데이턴 합의서의 체결로 3년 반에 걸친 전쟁은 그 막을 내린다.

코소보 전쟁[편집]

코소보는 1971년에 구유고슬라비아의 자치주가 되었으나, 1989년에는 공산권 붕괴로 알바니아인들의 독립요구가 커지고 있었다. 이에 대해 세르비아 정부는 자치권을 빼앗고, 이에 알바니아인들은 1995년 코소보 해방군을 조직, 세르비아 경찰에 대한 무장 저항을 시작한다.

이윽고 1998년 2월, 코소보를 순찰하던 세르비아 경찰 4명이 알바니아 민병대에 살해되면서 급기야 전쟁으로 치달았으며, 이어진 세르비아 경찰의 보복 및 진압, 이에 대한 알바니아 민병대의 저항과 보복이 거듭되었다.

1999년 초, 코소보는 전면적인 전쟁 상태에 빠졌으며, 평화를 위해 개입한 서방 6나라(미국, 영국, 프랑스, 이탈리아, 독일, 러시아)가 평화안 (1.휴전 후 3년 뒤에 독립 논의/2.코소보에 나토 평화유지군 주둔)을 내놓는다. 그러나 알바니아계는 독립시기 문제로, 세르비아는 주권문제로 거부한다.

이에 미국은 1999년 3월 24일 나토군에게 세르비아 수도 베오그라드와 코소보의 세르비아군 기지에 대대적인 공습을 지시, 결국 6월 9일 세르비아의 평화안 수용으로 79일간의 전쟁이 정리되었다.

1990년대 이후[편집]

이후 구 유고슬라비아는 슬로베니아, 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 세르비아 몬테네그로, 크로아티아, 북마케도니아로 쪼개졌고, 세르비아 몬테네그로는 2006년 6월 각각 세르비아몬테네그로로 분리 독립 되었으며, 2008년에는 코소보가 세르비아로부터 분리 독립을 선언하였다. 코소보는 2018년 2월 17일 기준 107개의 유엔 회원국으로부터 분리 독립 국가로 승인받았으며 2014년국제 올림픽 위원회(IOC)에 가입하였다.

같이 보기[편집]

각주[편집]

  1. Caesar, Faisal (2020년 6월 23일). “The forgotten Yugoslavian side of Italia 90”. 《Criketsoccer》. 
  2. “Decades later, Bosnia still struggling with the aftermath of war”. 《PBS NewsHour》. 2017년 11월 19일. 

참고 문헌[편집]

Books

추가 읽기[편집]

  • Allcock, John B. et al. eds., Conflict in the Former Yugoslavia: An Encyclopedia (1998)
  • Almond, Mark, Europe's Backyard War, William Heinemann Ltd, Great Britain, 1994
  • et al. Duncan, W. Raymond and Holman, G. Paul, Ethnic Nationalism and Regional Conflict: The Former Soviet Union and Yugoslavia, Westview Press Inc, USA, 1994. ISBN 0-8133-8813-9
  • Glenny, Misha, "The Fall of Yugoslavia", Penguin, 3rd Edition 1996, ISBN 0-14-026101-X
  • LeBor, Adam "Milosevic: A Biography", Bloomsbury, 2002, ISBN 0-7475-6181-8
  • Magas, Branka, The Destruction of Yugoslavia: Tracking the Break-up 1980–1992, Verso, Great Britain, 1993. ISBN 0-86091-593-X
  • Mojzes, Paul, Yugoslavian Inferno: in the Balkans, The Continuum Publishing Company, USA, 1994
  • Radan, Peter, Break-up of Yugoslavia and International Law, Routledge, Great Britain, 2002
  • Woodward, Susan, L. Balkan Tragedy: Chaos & Dissolution after the Cold War, the Brookings Institution Press, Virginia, USA, 199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