위팔동맥
위팔동맥 | |
---|---|
![]() 위팔동맥의 그림. | |
![]() 오른쪽 팔을 앞에서 본 그림. 위팔동맥과 팔꿉관절이 드러남. | |
정보 | |
기원 | 겨드랑동맥 |
가지 | 깊은위팔동맥 위자쪽곁동맥 아래자쪽곁동맥 노동맥 자동맥 |
정맥 | 위팔정맥 |
혈액 공급 | 위팔두갈래근, 위팔세갈래근, 부리위팔근 |
식별자 | |
라틴어 | arteria brachialis |
영어 | brachial artery |
MeSH | D001916 |
TA98 | A12.2.09.018 |
TA2 | 4632 |
FMA | 22689 |
위팔동맥(brachial artery) 또는 상완동맥은 팔의 주요 혈관이다. 위팔동맥은 큰원근(teres major muscle)의 아래쪽 경계를 넘어 온 겨드랑동맥(axillary artery)이 연속된 동맥으로, 팔꿈치의 팔오금(cubital fossa)에 도달할 때까지 팔의 배쪽(ventral) 표면 아래로 계속 주행한다. 그런 다음 팔뚝을 따라 흐르는 노동맥(radial artery)과 자동맥(ulnar artery)으로 나뉜다.[1][2] 몇몇 사람들에서 이 나뉘는 지점이 좀 더 위쪽일 수 있으며, 이 경우 노동맥과 자동맥이 위팔에서 보일 수 있다. 위팔동맥의 맥박은 위팔두갈래근(biceps brachii muscle) 힘줄 안쪽의 팔꿈치 앞쪽에서 촉진할 수 있다. 촉진 시에는 청진기나 혈압계를 이용한다.[1]
위팔동맥은 정중신경(median nerve)과 밀접한 위치 관계를 가진다. 몸쪽에서 정중신경은 위팔동맥 바로 가쪽에 위치한다. 먼쪽으로 가면 정중신경은 위팔동맥 안쪽을 가로질러 팔꿉관절의 앞쪽에 놓이게 된다.[1][3]
구조[편집]
위팔동맥은 다음과 같은 가지들을 낸다.[3]
- 깊은위팔동맥(deep brachial artery, profunda brachii artery)
- 위자쪽곁동맥(superior ulnar collateral artery)
- 아래자쪽곁동맥(inferior ulnar collateral artery)
- 노동맥 - 종말가지.
- 자동맥 - 종말가지.
- 위팔뼈로 가는 영양가지(nutrient branch)들
또한 팔꿈치와 (겨드랑동맥에서) 어깨에서 중요한 동맥연결들을 만드는 데 기여한다.
위팔두갈래근의 힘살은 위팔동맥의 가쪽에 있다. 정중 신경은 대부분의 주행 경로에서 위팔동맥의 안쪽에 있다.
추가 이미지[편집]
위키미디어 공용에 위팔동맥 관련 미디어 분류가 있습니다.
참고 문헌[편집]
- ↑ 가 나 다 《Gray's anatomy : the anatomical basis of clinical practice》 Forty-fir판. [Philadelphia]. 2016. ISBN 978-0-7020-5230-9.
- ↑ “Brachial artery” (영어). 2022년 2월 10일에 확인함.
- ↑ 가 나 Moore, Keith L. (2014). 《Clinically oriented anatomy》 Seven판. Philadelphia. ISBN 1-4511-1945-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