위키프로젝트토론:올림픽
올림픽 포털 · 위키프로젝트 올림픽 · 올림픽에 관련된 문서들 |
| ||||||
싱크로나이즈드 스위밍[편집]
싱크로나이즈드 스위밍의 문서와는 다르게, 싱크로나이즈 대회, 올림픽 싱크로나이즈 등 "싱크로나이즈"라고 표현한 분류 및 문서들을 찾을 수 있었습니다. 일관적으로 "싱크로나이즈드 스위밍"을 적용하는 것이 맞다고 생각합니다. --관인생략 (토론) 2018년 7월 24일 (화) 21:09 (KST)
- '싱크로나이즈드 스위밍'은 원래의 명칭이고, 나머지 '싱크로나이즈'라고 쓴 사례들은 대한체육회의 표기법에 따르는 동시에 편의성을 위해서 줄여 쓰자는 총의를 거쳐 자리잡은 명명법입니다. 원 용어가 상당히 긴 낱말인지라 이를 수많은 문서에 일관적으로 적용하기에는 큰 부담이 따르기 때문에, 불가피하게 줄여 쓰는 면도 존재합니다. 자세한 것은 위쪽 토론에서 링크됐던 옛 위키프로젝트 토론들을 참고해주시면 될 것 같습니다. --"밥풀떼기" 2018년 8월 16일 (목) 01:05 (KST)
- 2017년 이후로 "아티스틱스위밍"으로 이름이 바뀌었습니다. 이번 도쿄 올림픽 이후 대세를 봐서 분류를 정리하면 될듯 싶네요. -- ChongDae (토론) 2020년 1월 22일 (수) 13:00 (KST)
- 기존의 "싱크로나이즈"의 표기도 "아티스틱스위밍"으로 변경가나요?
- 예시
- 분류:1984년 하계 올림픽 싱크로나이즈 참가 선수→분류:1984년 하계 올림픽 아티스틱스위밍 참가 선수
- 분류:2018년 아시안 게임 싱크로나이즈→분류:2018년 아시안 게임 아티스틱스위밍 Braveattack (토론) 2022년 12월 30일 (금) 14:43 (KST)
남자 축구 vs 축구 남자[편집]
성별 + 스포츠 |
스포츠 + 성별 |
한 쪽으로 통일시켜야 할 것 같습니다. 오른쪽이 맞겠다 싶은데 어찌 보시는지요? Sawol (토론) 2020년 1월 21일 (화) 20:56 (KST)
- 기존의 관례상 [대회명]+[종목명]+[세부종목명]으로 표기해왔기 때문에, 오른쪽과 같은 형식이 맞습니다. 남자/여자는 성별의 이미도 있지만 정확하게는 세부 종목을 의미합니다. -- Min's (토론) 2020년 11월 18일 (수) 20:43 (KST)
올림픽 가라테? 올림픽 공수도? 올림픽 카라테?[편집]
- 가라테 vs 공수도 vs 카라테
- 가타 vs 카타
- 구미테 vs 쿠미테
공수도나 가라테도 여러 분파가 있지만 World Karate Federation이 국제대회를 관할하는데
원래는 대한공수도연맹이 한국에서 가라테의 대표 단체였으나 사유화로 인해 대한체육회에서 짤리고 대한카라테연맹이 대한체육회의 준회원으로 가입해 WKF의 회원단체로 활동중입니다.
그래서 올해 대한체육회측 올림픽 보도자료에서는 카라테 선수로 한명을 파견한다고 보도했습니다.
하지만 카라테는 외래어표기법에 어긋나고 가라테보다 훨씬 덜 쓰이기 때문에 올림픽 및 아시안게임 종목 표제어로 부적합해 보입니다.
[1] 일본 도쿄올림픽위원회 보도자료에서는 가라테, 가타, 구미테를 공식 표기로 사용하는데, 표기법에 맞는 것은 가타이지만 카타가 더 많이 쓰여 통용표기로 존중할 정도가 된다는 생각이 듭니다. 아시안게임과 올림픽 종목에서 세 단어의 표제어를 확정하는 토론을 엽니다. --TulipRose2 (토론) 2021년 7월 24일 (토) 13:12 (KST)
- 저는 가라테, 카타, 쿠미테를 선호합니다. --TulipRose2 (토론) 2021년 7월 24일 (토) 13:15 (KST)
- [2] 가타 카타, 구미테 쿠미테는 혼용하고 있는 것으로 정정합니다. --TulipRose2 (토론) 2021년 7월 24일 (토) 15:42 (KST)
- 어... 돈까스 토론에서 고로케, 다시 여기인가요...? 일단, TulipRose2님의 의견을 해당 토론에서 관철하지 않겠다는 전제 하에 논의가 이루어져야 한다고 봅니다. --trainholic (T, C) 2021년 7월 24일 (토) 20:16 (KST)
- 현행 공수도, 카타, 쿠미테를 선호합니다. 가라테는 보편적인 명칭이긴 하나 空手道라는 원어 표기를 고려한다면 공수도라고 밝혀 적는 것도 나쁘지 않다고 생각합니다. 조직위 측 표기는 한국어 서비스에서 모든 일본어 표기에 있어 국립국어원 표기를 일일히 지켜 적었기 때문으로 보입니다. --"밥풀떼기" 2021년 7월 24일 (토) 20:49 (KST)
틀:선수단 참가 목록 도입 안내[편집]
- {{선수단 참가 목록}}
기존에 올림픽 선수단 틀에서 역대 올림픽 참가 내역을 일일히 적어야 했던 것을 자동화된 틀로 개선하였습니다. 이제 앞으로 올림픽이 열릴 때마다 모든 틀을 다니면서 링크를 일일히 추가하지 않으셔도 됩니다. 사용법은 틀 문서를 참고해주시고, 대회에서 불참하는 등의 변동사항이 생길 경우에는 이곳에서 반영해주시면 되겠습니다. 올림픽 외에도 아시안게임, 팬아메리카 게임, 일부 선수권대회까지 다양한 대회 문서에도 활용할 수 있으니 많은 이용 바랍니다. 모듈 수정을 도와주신 ted님께 다시 한번 감사를 전합니다. --"밥풀떼기" 2021년 8월 10일 (화) 13:34 (KST)
- "중화 타이페이"는 "중화 타이베이"의 오타로 보입니다. 타이완처럼 복잡한 경우도 대응해놨는지 검토해 주세요. 1924년부터 1948년까지는 중화민국 이름으로 중국을 대표하여 올림픽에 출전했습니다. 1952년 중화인민공화국이 중국 이름으로 출전하기 시작했고, 타이완으로 밀려난 중화민국은 1956년부터 1972년까지 중화민국 또는 타이완 이름으로 올림픽에 출전했습니다. 1980년 중화인민공화국이 올림픽에 돌아오면서 타이완이 쫒겨났다가 다시 중화 타이베이 이름으로 되돌아왔습니다. -- ChongDae (토론) 2021년 8월 10일 (화) 14:17 (KST)
- 중화민국의 경우 조금 복잡합니다. IOC의 공식 입장에 따르면, 중국 대륙에 있던 중화민국 선수단의 기록은 오늘날 중화인민공화국(CHN) 선수단의 기록에 포함됩니다.[3] 반면, 타이완 지역에 있는 중화민국 선수단 기록은 오늘날 중화 타이베이(TPE) 선수단 기록에 포함됩니다.[4] 쉽게 말해, IOC 공식 입장상으로는, 중국 대륙의 중화민국은 팀명을 변경하여 오늘날 중화인민공화국(CHN) 선수단으로 이어진 것이고, 타이완 지역의 중화민국은 팀명을 변경하여 오늘날 중화 타이베이(TPE) 선수단으로 이어진 것이라고 보시면 됩니다. 마찬가지로, 러시아 제국 선수단 기록은 오늘날 러시아(RUS) 선수단으로 승계되었는데, 이 부분도 반영할 필요가 있겠네요. -- Min's (토론) 2021년 8월 11일 (수) 10:43 (KST)
- 물론 당시에는 말씀하신 코드와 이름으로 참가한 것은 맞는데, 오늘날 IOC 기준으로는 대륙의 중국팀은 중화인민공화국(CHN)의 기록에 속하고, 타이완의 중국팀은 중화 타이베이(TPE) 기록에 속합니다. RCF, TWN, ROC는 폐기된 IOC 코드이고요. 마찬가지로 러시아 제국(RU1)도 러시아(RUS) 선수단의 기록에 통합되었습니다. 1960~1972년 동안 당시 RHO 코드명으로 참가했던 로디지아가 짐바브웨(ZIM) 선수단 기록으로 승계되고 RHO 코드는 폐기된 것과 마찬가지라고 보시면 됩니다. -- Min's (토론) 2021년 8월 11일 (수) 16:52 (KST)
ROC[편집]
ROC는 중화민국 시절의 중국 국가코드입니다. 러시아 올림픽 위원회도 ROC를 써서 복잡해졌네요. {{flagIOC|ROC}}
( 중화민국),
{{flagIOC|ROC|2020|하계}}
( ROC) 식으로 구분해서 작성해줄 필요가 있습니다. 혹시 2020년 대회 문서에서 중화민국이 보이면 수정해주세요. -- ChongDae (토론) 2021년 8월 10일 (화) 14:18 (KS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