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이동

위키백과:자주 묻는 질문/문서 주제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제가 며칠 전에 만든 것도 등재 가능한가요?

[편집]

당신이 만든 것의 상태가 어떠한지에 따라 달라질 것입니다. 만약 당신이 방금 만들어 아직 널리 알려지지 않은 것라면 등재 요건을 충족하지 못할 가능성이 있습니다. 규정은 아니나 위키백과:위키백과는 하루아침에 만들어진 것들을 위한 곳이 아닙니다 문서를 참고하시는 것도 좋습니다.

그 외에도 참고하면 좋은 문서들은 다음과 같습니다.

제가 좋아하는 작품에 관한 문서를 등재하고 싶어요. 가능할까요?

[편집]

위키백과, 즉 이 위키에는 귀멸의 칼날, 신비아파트 시리즈, 캐치! 티니핑, 1984 (소설) 등 여러가지 창작물에 관련된 문서들이 많이 있습니다. 등재하고자 하는 문서의 주제가 외부에서 어떻게 다뤄졌는지에 따라 달라질 것입니다. 자, 아래부터는 백:문서 등재 기준를 참고하여 해설할 것입니다.

보통 오랫동안 유지되는 창작물 문서는 저자가 아닌 사람이 작성한 2차 출처(제 3자가 창작물에 대해 쓴 잡지, 뉴스 기사, 심지어 논문까지 있습니다!)가 있습니다. 이는 백:등재 기준에서 문서에서 다루는 주제의 당사자와 다른 제 3자가 작성한 출처가 존재한다는 '문서가 다루는 주제에서 독립적인 출처'이라는 조항에 해당될 가능성이 존재한다는 것을 의미하며, 해당 문서에서도 '문서의 주제를 의미 있게 다룬 2차 출처'를 요구한다는 점이 기재되어 있습니다.

예를 들어 어떤 작품이 있다 칩시다. 해당 작품을 주제로 한 문서에서 요구되는 '2차 출처'는 해당 작품이 저자가 아닌 사람이 썼을 가능성이 높습니다. '저자가 아닌 사람'의 예로는 창작자와는 다른 언론사 기자 등이 있겠습니다.

간단히 말해서 창작물 문서는 보통 문서의 주제를 어느 정도 깊이 있게 다룬 2차 출처를 요구합니다.

참고해 보면 좋은 문서들은 다음과 같습니다.

제가 작품을 해석하는 것이 허용될까요?

[편집]

백:독자 연구에 따르면 편집자 본인의 독자 연구는 특수한 상황이 아니라면 허용되지는 않아 보입니다. 여기는 독자 연구가 비교적 열려 있는 나무위키TV Tropes보다 더 엄격한 서술 방식을 가지고 있기 때문입니다.

예를 들어 '철수'라는 가공 인물이 등장하는 작품이 있다 칩시다. 해당 작품에서는 철수가 게임을 하고 난 뒤, 그 게임에서 '라이트데바이지'라는 직업을 승급하였다는 것이 밝혀졌습니다. 이것은 믿을 수 없는 화자로 설정된 작품이 아니라면 대체로 사실일 수 있습니다. 따라서 당신은 해당 창작물에 대한 문서에서 "철수는 게임 A를 플레이하였다. 그 뒤, 그 게임에서 '라이트데바이지'라는 직업으로 승급했다."라고 작성할 수 있습니다.

반면, 여기서 당신이 스스로 추론한 내용은 작성이 어려울 것입니다. 이를테면 원작자에게서 명확한 해석이 나온 바 없이 "'라이트데바이지'는 빛을 조종하는 모습이 나오는데 이것은 역사적인 인물을 오마주한 것으로 보인다. 왜냐하면 작중에서...'"라는 내용을 작성하는 것이 있겠습니다. 만약 백:신뢰할 수 있는 출처에서 이러한 해석이 나왔다면 달라질 것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