위키백과:사랑방/2010년 제48주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사랑방
2010년 제48주
2010년 11월
44 1 2 3 4 5 6 7
45 8 9 10 11 12 13 14
46 15 16 17 18 19 20 21
47 22 23 24 25 26 27 28
48 29 30 1 2 3 4 5
2010년 12월
48 29 30 1 2 3 4 5
49 6 7 8 9 10 11 12
50 13 14 15 16 17 18 19
51 20 21 22 23 24 25 26
52 27 28 29 30 31 1 2


영어 위키백과에서는 SK브로드밴드 문서를 검색하면 SK텔레콤 문서로 넘겨줍니다.[편집]

SK브로드밴드SK텔레콤과는 다른 기업인데 영어 위키백과 사용자에게 SK텔레콤으로 넘겨주는 이유는 무엇인지 알고 싶습니다. 또한 SK브로드밴드 문서에 대해서 번역이 필요한 것 같습니다. 218.48.254.58 (토론) 2010년 11월 29일 (월) 15:00 (KST)[답변]

또한 영어 위키백과의 LG텔레콤 문서는 이미 LG유플러스 문서로 되었음에도 LG텔레콤이라는 이름으로 쓰고 있으며 한국어 위키백과에서의 에버 문서가 영어 위키백과에서는 KT Tech EVER가 아닌 KTF EVER라고 되어 있네요. 218.48.254.58 (토론) 2010년 11월 29일 (월) 15:03 (KST)[답변]

영어 위키의 넘겨주기 건에 대해서는 아직 영어 위키에서는 문서를 따로 떼어놓을 필요가 없다고 특필할 가치가 없다고 생각하고 있는 것 같고 KTF EVER에 대해서는 아직 영어 위키 쪽이 반영이 안 되어 있는 거라고 생각합니다.--Altostratus (토론) 2010년 11월 29일 (월) 15:59 (KST)[답변]

설문 조사 한번[편집]

위키백과토론:외국어의 한글 표기 개정안#발제문에 대한 감상 겸 반론#가독성을 위한 분리 8사용자:Sz1161님의 의견을 끌고 와봅니다.

Korean language라는 것을 남한에서는 '한국어', 북조선에서는 '조선말'이라고 부를 뿐입니다. 어차피 구분을 하고 싶지 않으실 것 같지만 국제적으로는 매우 명확히 구분합니다. 한반도를 제외한 전세계 어디에서 '한국어=조선말=Korean language'--Amoeba (토론) 2010년 12월 1일 (수) 19:37 (KST)라고 합니까?

이에 대해서 Korean language=한국어=조선말이라는 개념이 다르고 사실은

  • 대한민국 표준어⊂한국어⊂Korean language
  •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문화어⊂조선어⊂Korean language

라는 주장이라 제기되었음을 알려드리고 사랑방에 있는 유저분들의 이 의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는지 듣고 싶습니다. 더불어 현재 조선말한국어로 넘겨주기 되어 있습니다.--Altostratus (토론) 2010년 11월 29일 (월) 15:56 (KST)[답변]

개념이 틀린 것이 아니라 다른 것이겠죠. (같이 보기 : wiktionary:ko:부록:맞춤법/다르다 - 틀리다)--218.48.254.58 (토론) 2010년 11월 29일 (월) 16:26 (KST)[답변]

아 실수, 수정했습니다.--Altostratus (토론) 2010년 11월 29일 (월) 16:59 (KST)[답변]
영문위키와 일어위키만 보아도 조선어와 한국어는 같은것으로 취급되는것 같습니다. 영문위키의 korean language에서 korean는 Korea의 남과 북이 같이 쓰는 공식적인 언어라고 적혀있습니다. 또한 일본어위키에서는 대한민곡과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이 쓰는 언어라고 설명에 나와있습니다. 일본어 위키의 표제어는 조선어 라고 되어있는데 한국어(韓国語)는 조선어로 넘기는 문서로 되어있습니다. 위와 같은 결과를 볼 때 외국에서는 구분지어 사용하지 않는것으로 보입니다.--Yunyun0505 (토론) 2010년 11월 29일 (월) 20:42 (KST)[답변]
같은 언어이며 사투리로 취급됩니다(한국어의 방언, en:Korean_dialects 참조). 미국식/영국식/호주식/인도식/필리핀식 영어를 같은 언어로 취급하는 것과도 유사합니다.--김정정민(JM) (토론) 2010년 11월 30일 (화) 00:04 (KST)[답변]
이건 주관적인 관점에서 보느냐 객관적인 관점에서 보느냐에 따라 차이가 있는데, 보통 Korean language를 대한민국에서는 '한국어'로,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에서는 '조선말'로 부릅니다. 다만 한반도가 아닌 곳에서는 이 둘을 명확히 구분합니다. en:Korean_language의 Names 문단, ja:朝鮮語의 言語名 문단에 서술이 잘 되어 있습니다. 특히 일본어판에서는 ja:朝鮮語の呼称問題 문서를 보면 한국어와 조선말의 구분이 관점에 따라 얼마나 복잡한 양상을 보여주는지 알 수 있습니다. 단순히 Korean language=한국어가 100% 들어맞는 것은 아니예요. 참고로 en:Korean_dialets 문서는 한반도에 분포하는 방언을 소개하는 페이지이지 Korean language를 한국어와 동격으로 취급하는 서술은 없습니다. -- 사용자:Sz1161 (토론) 2010년 11월 30일 (화) 00:16 (KST)[답변]
'Korean = 한국어 = 조선말 = 표준어+문화어+기타 사투리'입니다. 표현만 다를뿐 본질적으로 같은데 무엇을 구분하겠다는 것인지 잘 이해가 되지 않습니다. 그리고 국제적·공식적으로도 한국어와 조선말이 Korean 한가지로 인식되고 있습니다. 1) 한국어와 조선말 모두 단일 문서 en:Korean_language에 서술되었고, 2) en:North Korea에 공식언어(Official language)가 Korean이며, 3) 국제표준 ISO 639 코드도 ko 한가지입니다. --김정정민(JM) (토론) 2010년 11월 30일 (화) 01:41 (KST)[답변]
귀하의 관점이 대한민국에서 통용되는 전형적인 Korean language의 관점이라는 뜻입니다. 그리고 Korean을 '한국어'와 '조선말'로 병기하는 것도 두 나라의 관점을 동시에 받아들이는 것으로 보아야 해요. 마찬가지로 단일 문서에 두 관점이 동시에 서술되어 있는 형태로 되어 있습니다. 벤 다이어그램으로 그려보자면 다음과 같습니다. 보기ISO 639코든 인용오류라고 해두죠. -- 사용자:Sz1161 (토론 2010년 11월 30일 (KST) 01:57 (KST)
명칭은 다르지만 실체가 동일하므로 제시하신 벤다이어그램은 오류가 있다고 생각합니다. 'Korean = 한국어 = 조선말'이 국제적으로 통용된다는 증거가 en:North Korea, en:ISO 639에 있지 않습니까? 또 중국대학들의 조선어과가 문화어 대신 표준어 교재를 사용하게 되었다고 합니다([1]). 이는 영국식 영어 대신 미국식 영어 교재를 사용하는 일에 비견할 수 있으며(그래도 결국 영어), 중국 역시 '조선말 = 한국어'라는 인식을 하고 있다는 증거입니다. --김정정민(JM) (토론) 2010년 11월 30일 (화) 02:41 (KST)[답변]
아니오, en:North_Korea, en:ISO_639를 읽어봤는데 'Korean=한국어=조선말'임을 드러내는 서술이 없습니다. 재차 말하지만 'Korean language'를 남한에서는 '한국어', 북조선에서는 '조선말'이라고 지칭하고 있을 뿐이예요. 한반도 이외에서 이 둘을 구분한다는 내용을 여기서 인용합니다. 번역은 개인적인 일정이 있는 관계로 생략하고 원어만 인용합니다.

The Korean names for the language are based on the names for Korea used in North and South Korea.

In South Korea, the language is most often called Hangungmal (한국말; 韓國말), or more formally, Hangugeo (한국어; 韓國語) or Gugeo (국어; 國語; literally "national language").
(남한에서는 이 언어를 대부분 '한국말'이라 부르거나 공식적으로 '한국어' 혹은 '국어'라 부른다

In North Korea and Yanbian Korean Autonomous Prefecture in China, the language is most often called Chosŏnmal (조선말; with hanja: 朝鮮말), or more formally, Chosŏnŏ (조선어; 朝鮮語).
(북한과 중국 연변 지역에서는 이 언어를 대부분 '조선말' 혹은 '조선어'라 부른다.(Autonomous Prefecture는 생략합니다.)

On the other hand, Korean people in the former USSR, who refer to themselves as Koryo-saram (고려사람; also Goryeoin [고려인; 高麗人; literally, "Goryeo person(s)"]) call the language Goryeomal (고려말; 高麗말).
(반면 구 소련 지역에서의 Korean people들은 그들 스스로 '고려사람'이라 부르며 언어도 '고려말'이라 부른다)

In mainland China, following the establishment of diplomatic relations with South Korea in 1992, the term Cháoxiǎnyǔ (朝鲜语 or the short form: Cháoyǔ (朝语)) has normally been used to refer to the language spoken in North Korea and Yanbian, while Hánguóyǔ (韩国语 or the short form: Hányǔ (韩语)) is used to refer to the language spoken in South Korea.

Some older English sources also used the name "Korean" to refer to the language, country, and people. The word "Korean" is derived from Goryeo, which is thought to be the first dynasty known to western countries.

北朝鮮においては「朝鮮語」に相当する「조선말, 조선어(チョソンマル、チョソノ)」という呼称が用いられており、韓国では「韓国語」に相当する「한국어, 한국말(ハングゴ、ハングンマル、韓國語)」という呼称が用いられている。ここで「말(マル)」は「言葉」を意味する朝鮮語の固有語であり、「어(オ、語)」は漢字語である。固有語を好む傾向のある北朝鮮では「조선말」が用いられることが多く、韓国では公式な場面では「어」を用いた「한국어」が通常用いられる。この他に朝鮮民族どうしの表現として「国語」に相当する「국어(クゴ、國語)」や、朝鮮語の固有語で「我々の言葉」を意味する「우리말(ウリマル)」という表現も用いられる。
(북조선에서는 '조선어'를 뜻하는 (제가 지금 사전을 가지고 있지 않아서 잘 모르겠지만 相当를 그냥 뜻하는 이라고 번역합니다.)조선말, 조선어라 부르며 한국(그러니까 남한)에서는 '한국어'를 뜻하는 '한국어, 한국말'이라 부른다. (그 뒤엣말은 말과 어의 차이를 설명하는 것이므로 생략))

中央アジアの朝鮮人の間では「高麗語」(고려말、Корё мар、コリョマル)という呼称が用いられている。ただし「高麗語」は朝鮮半島の言語とは別の言語を指す場合がある。詳細はコリョマルまたは本記事後述を参照。

日本では伝統的には「朝鮮半島」、「朝鮮民族」などと同様に「朝鮮」の名を冠した「朝鮮語」という呼称が用いられており、学術的な場面や専門家の間でも主に「朝鮮語」と呼ばれる。その一方で、韓国との交流関係に比べて北朝鮮との交流関係が非常に疎遠であることを反映し、一般的な場面では「韓国語」と呼ばれることが増えている。そのどちらかの名称を用いることは公平ではないとし、「コリア語」、「高麗語」、「韓国・朝鮮語」、また言語名を避けて文字名称である「ハングル(語)」が中立性を保つために用いられることもある。ただし「ハングル」は韓国での名称であって北朝鮮では「조선글/조선글자、朝鮮文字」なので、「ハングル(語)」も公平ではないとされる。なお、名称は様々に呼ばれることがあるとしても、韓国・北朝鮮との交流関係の違いを反映してか、現在の日本で出版されている朝鮮語の文法書やテレビ・ラジオ放送で学ぶことになる正書法・発音・語彙・文法等は基本的に韓国で標準とされるものであり、北朝鮮で行われる正書法・発音・語彙・文法等は韓国との違いとして少し紹介される程度であるのが現状である。

中華人民共和国は、1949年の建国から社会主義陣営に所属しており、当初から北朝鮮を朝鮮半島全体の唯一の正統政府としていた立場から、朝鮮民族の国家、民族や言語、文化に冠する呼称に「朝鮮」(簡体字で「朝鲜」)を使用し、中国の国民を構成する朝鮮系の集団やその言語に対してもこの名称を用いて、「朝鲜族」や「朝鲜语」と呼称してきた。しかし1992年に韓国と中国が国交を樹立してからは、韓国との直接交流が進展し、韓国資本の裏付けにより、韓国式の語彙や文字配列をそのまま移植した語学テキストや辞典類が「韩国语」の名称を冠して発行されるようになった。その結果「韩国语」という呼称は、新たに、中国の延辺朝鮮語とも北朝鮮の朝鮮語とも異なる特徴を持つ韓国の言語に対する呼称として、「朝鲜语」とともに併用されるようになってきている。

多くのヨーロッパ言語では高麗に由来する Korean (英語)などの名称を用いており、中立性の問題は提起されていない。漢字文化圏言語では朝鮮または韓国語、その他は高麗から由来した名称を用いている。その他の独自の呼称として、モンゴル語の「ソロンゴス」(Солонгос)(この名称の由来については様々な異説がある)、満洲語の「ソラホー」などがある。

-- 사용자:Sz1161 (토론) 2010년 12월 1일 (수) 18:22 (KST)[답변]

평소엔 12시 전후를 기준으로 들어오셔서 만날 일이 거의 없었는데 오늘은 6시 즈음에서 들어오시는 군요. 아무튼 개정안 토론에도 말씀드렸고 보시면 아시겠지만 영어판이든 일본어판이든 그냥 그렇게 부른다는 말이 있을 뿐 다른 개념이라는 설명은 없습니다.--Altostratus (토론) 2010년 12월 1일 (수) 18:43 (KST)[답변]

필요한 부분은 살짝 번역해 두었습니다. 역시 호칭의 차이 일뿐 전혀 다른 개념이라는 설명은 없습니다.--Altostratus (토론) 2010년 12월 1일 (수) 18:50 (KST)[답변]

  • 저는 한국어와 조선어가 다른 언어라는 주장에 동의합니다. 위키피디아 시스템은 둘을 구분하고 있습니다. <사용자 환경 설정-언어 설정>순으로 들어가서 보면, 선택 언어로 한국어(ko)와 조선어(ko-PK)를 구분했습니다. 즉, 한국어 위키피디아는 대한민국의 한국어 백과입니다.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이 인터넷을 전면 통제해 위키피디아 본사에서 여건이 되지 않아 조선어 위키피디아를 만들지 못하겠지만, 한국어와 조선어를 잠정적으로 분류해야 된다고 봅니다.
참고로, 라틴아메리카 25개국과 스페인이 같은 스페인어를 쓰고, 영연방국가와 미국이 같은 영어를 쓰지만(그 밖에 불어 등등도 있음), 단일한 언어로 분류하고 있습니다. 영어나 스페인어 의 국가간 차이도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대한민국간 언어 차이보다 결코 작다고 볼 수 없습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조선어와 한국어는 구분돼 있습니다.--Amoeba (토론) 2010년 12월 1일 (수) 19:03 (KST)[답변]
그건 위키미디어 엔진 시스템 상으로만 그런 것입니다. 위키미디어 엔진 시스템이 언어학적으로 한국어와 조선어를 둘로 가를 수 있는 기준이 됩니까?--Altostratus (토론) 2010년 12월 1일 (수) 19:19 (KST)[답변]
더 찾아봤는데요. 다른 지방가면 사투리가 안 통할 정도라고 해서 그런지, 중국어도 한 나라에서만 사용되는 공용어지만 위키피디아 시스템 상으로 5~6개로 분류돼 있더군요. (한국어 위키백과는 중문 위키백과만 링크돼 있지만 중문 위키백과에 들어가보면 우어,표준어 등으로 나뉘어 있음)
언어학적으로 어떤지 전혀 모르기에 본토론에는 참가 안 했습니다. 여론조사라고 하시길래 한 번 참여 해봤습니다. 적어도 위키피디아 엔진 시스템 상으로는 이렇다 정도만 알아주셨으면 합니다. 위키피디아 시스템이 언어학적인 요소를 참고했는지 여부도 알아 보면 좋겠네요.--Amoeba (토론) 2010년 12월 1일 (수) 19:37 (KST)[답변]
중문 위키백과는 표준어와 사투리의 차이가 극명하기 때문에 그런 시스템이 존재하는 겁니다. 말씀드렸습니다. 위키미디어 엔진 시스템이 한국어와 조선어를 둘로 가를 수 있는 기준이 됩니까? 더불어 중문 위키백과는 아예 다른 언어판으로서 지원해주는 게 아닌 특정 단어만 치환해서 보여주는 걸로만 알고 있습니다. 만약 한국어 위키백과도 통일 되고 난후 같은 상황이 발생하면 그런 식으로 지원될 것이라 예상합니다. 어쨌든 그 사투리라는 것도 중국어라는 틀에서 벗어나고 있지 않습니다.--Altostratus (토론) 2010년 12월 1일 (수) 21:25 (KST)[답변]
en:List of ISO 639-1 codesen:List of ISO 639-2 codes에서 Korean을 찾아보세요. 또한 위키백과 시스템 역시 그것과 일치합니다. 언어코드에서 'ko=한국어=조선말'이며 ko이후에 붙는 것은 사투리의 지위입니다. 예: (en.wikipedia.org en=영어, en-me=중세 영어, en-AU=오스트레일리아 영어, en-GB=영국 영어, en-US=미국 영어), (ko.wikipedia.org ko=한국어, ko-CN=중국조선말, ko-KP=문화어, ko-KR=대한민국 표준어) --김정정민(JM) (토론) 2010년 12월 2일 (목) 08:55 (KST)[답변]


이 단락의 제목이 "설문조사"라는 것은 논의를 하자는 것이 아니라, 사용자들이 어떻게 인식하는가를 알아보자는 것이겠군요. 일단 한국어와 조선말은 완전히 같은 개념입니다. 한국어라고 말하면 경상도말과 함경도말을 포함하는 것이고 조선말이라고 말할 때도 마찬가지입니다. 다만 남한 표준어와 북한 문화어가 서로 다른 방언인 거고 한 언어의 서로 다른 두 표준인 거죠. 이는 제주도말과 서울말의 차이 이상 이하도 아닙니다. 이 개념이 없는 분들은 지금부터 바로잡으세요. 감정적으로 말하자면, 한국어와 조선말을 다른 언어로 인식한다는 것은 현재의 오랜 분단 상황 때문이므로 이것이 다만 안타까울 따름입니다. 누구나 길을 걷다 제주말을 들으면 사투리가 참 재미있네 정도로 생각하겠지만, 길을 걷다가 문화어를 듣는다면 소스라치게 놀랄 겁니다. 이런 상황이 지속되고 교류가 어렵다보니 조선말과 한국어가 다른 언어라는 소리까지 나오는 것이죠. --돌피넬(talk·contribs) 2010년 12월 2일 (목) 21:30 (KST)[답변]

검색 관련[편집]

이전에 한 번 논의되었던 제안인데, 가끔 위키백과에서 검색을 하다가 실수로 한/영키를 누르고 검색을 하는 경우 (예를 들어, '위키백과'를 'dnlzlqorrhk'라고 입력한 경우)가 있는데, (기술적으로 가능한지의 여부는 잘 모르겠습니다만) 그런 경우에 그 결과를 한글로 변환된 결과로 보여주는 기능이 추가되면 좋지 않을까 합니다. --BIGRULE (토론) 2010년 11월 29일 (월) 16:18 (KST)[답변]

기술적으로 가능하면 찬성 왜냐하면 저도 가끔 한글로 쳐야 하는 것을 영어 입력 상태에서 치는 경우가 있습니다. 의견 그런데 대부분의 사용자는 두벌식 자판을 쓰지만 세벌식 자판을 쓰는 사람도 있습니다. --218.48.254.58 (토론) 2010년 11월 29일 (월) 16:30 (KST)[답변]
그러자면 sadldsgh 가 안드로어인지 메다어인지 진짜 영어로 친 건지 아님 아무것도 아닌지를 구별해야하고, 이건 단순한 기능이나 함수 같은 것이 아니라 "프로그램"이죠. 위키문법 정말 구현할 수 없는 기능도 없다만 이건 좀 어려울 듯.--돌피넬(talk·contribs) 2010년 12월 2일 (목) 21:41 (KST)[답변]
저 같은 경우는 윈도에서는 두벌식을 쓰고, 우분투에서는 세벌식을 사용합니다. 두벌식은 기술적으로 가능합니다만(1:1 매칭이 되므로) 3벌식은 살짝 복잡해 힘들 수 있습니다. 자바스크립트나 PHP에서 현재 브라우져의 입력 방식을 판별 할 수 있는것은 기술적으로 불가능합니다. --by Devunt at 2010년 12월 19일 (일) 13:29 (KST)[답변]

위키백과:삭제 토론/개별 버스 노선 문서 이제 끝낼 때도 되지 않았습니까?[편집]

아니, 총의도 거의 다 만들어진 것 같은데 계속 놔두고 있는 것도 답답합니다. 얼른 처리해서 삭제할지 말지 판단이라도 빨리 서게 해 주십시오.--Saehayae (토론) 2010년 11월 29일 (월) 16:43 (KST)[답변]

제가 넘겨주기 처리를 하다가 지쳐서 쉬고 있습니다. 해당 작업은 관리자 권한과 관련이 없으니, 직접 개별 버스 노선들을 넘겨주기 문서로 바꿔주세요. 삭제 토론은 완료되고 나서 닫아도 별 문제가 없습니다. --정안영민 (토론) 2010년 11월 30일 (화) 03:01 (KST)[답변]
아, 넘겨주는 걸로 결론 났습니까?--Saehayae (토론) 2010년 11월 30일 (화) 13:18 (KST)[답변]

또 하나의 거대한 프로젝트가 완성되었습니다.[편집]

마침내 일본의 행정구역 문서를 모두 완성하였습니다. 총 7개월에 가까운 시간이 걸렸고 2000개가 넘는 문서를 생성하였습니다. 이로써 한중일(북한·대만·홍콩 포함)의 모든 행정구역 문서가 완성된 셈입니다. 개인적으로도 무척 기쁘고 한편으로 홀가분(?)하기도 합니다. 한국어 위키백과에 처음 왔을 때 행정구역 문서가 너무 부족해 아쉬웠는데 일단 주변국들을 완성시킴으로써 어느 정도는 해결된 듯 합니다. 당분간 좀 재충전의 시간을 가지다가 몽골과 동남아시아쪽으로 작업영역을 넒혀갈 계획입니다. 그리고 방대한 작업을 끝까지 도와주신 Khlee560님께 감사의 말씀을 전합니다. --EurasianMaster™ (토론 · 기여) 2010년 11월 29일 (월) 23:59 (KST)[답변]

와 정말 멋진 작업이네요. 수고 많으셨습니다. --거북이 (토론) 2010년 11월 30일 (화) 10:27 (KST)[답변]
수고하셨습니다. :) --가람 (논의) 『Carpediem』 2010년 11월 30일 (화) 10:34 (KST)[답변]
굳좁입니다. :D --김정정민(JM) (토론) 2010년 11월 30일 (화) 10:58 (KST)[답변]
2천개............ --Hijin6908(말마당 · 한 일) 2010년 11월 30일 (화) 12:38 (KST)[답변]
경의를 표합니다^^.--Saehayae (토론) 2010년 11월 30일 (화) 14:36 (KST)[답변]
항상 작업 중이시더니, 모두 완성하셨네요! 수고 많으셨어요! :) -- 노승희 (토론) 2010년 11월 30일 (화) 17:09 (KST)[답변]
수고하셨네요. -- 윤성현 · 기여 · F.A. 2010년 11월 30일 (화) 17:28 (KST)[답변]
수고하셨습니다. 저도 최근 틀:KOTOKO의 빨간 링크를 다 채웠다고 좋아하고 있었는데 이걸 보면 반성해야 겠다는 생각이 드네요.--Altostratus (토론) 2010년 11월 30일 (화) 19:43 (KST)[답변]
정말 수고많으셨습니다:-) -- Min's (토론) 2010년 11월 30일 (화) 22:20 (KST)[답변]

정말 대단합니다. 살펴보니 단지 문서 수를 늘리는데 급급하여, 한두 줄 정의 문단으로 끝낸 것이 아니라, 문서 하나하나에 애착을 갖고 내용을 채워주신 흔적이 역력하네요. 그나저나 일본의 시정촌 단위는 남한의 읍면동에 대응되는 개념으로 보이는데, 막상 남한의 읍면동 문서는 아직 완성되지 않았네요. 동 문서의 경우에는 법정동과 행정동 문제가 걸려 있어서 간단치 않겠지만, 남은 읍면 문서는 같이 분발해서 채워 봐야 겠어요. :) --정안영민 (토론) 2010년 12월 1일 (수) 16:11 (KST)[답변]

정말 대단하십니다! 위키 유저로써 존경스러워요! 앞으로도 많은 활동 기대하겠습니다. Tmdhyun08 (토론) 2010년 12월 12일 (일) 10:33 (KST)[답변]

이 쯤에서 쓰는 좋은 글 후보 관심 부탁글.[편집]

나름 좋은글 후보도 많이 올라와 있는데 어째 토론이 지지부진하군요. 빨리 좋은 글을 도입하든지 하면 어떨까요? 그리고 현재 올라와 있는 선거에도 관심 써 주시면 고맙겠습니다.--Saehayae (토론) 2010년 11월 30일 (화) 17:37 (KST)[답변]

도입하는게 좋을것 같아요. --bmh4080(Talk·Contribs·Mail) 2010년 12월 12일 (일) 18:51 (KST)[답변]

특수기능 목록[편집]

REDIRECT나 nowiki라거나 특수기능들의 목록이 정리된 페이지가 어딘가에 있을까요? --거북이 (토론) 2010년 12월 1일 (수) 16:57 (KST)[답변]

특수기능의 목록은 특수기능:SpecialPages에 있습니다. 그런데 REDIRECT나 nowiki는 특수기능이라기 보다는 위키문법이라고 생각되네요. 혹시 WikiEditor 확장기능이나 미디어위키:Edittools를 찾으시는 것 아닌지 모르겠네요. --김정정민(JM) (토론) 2010년 12월 1일 (수) 17:49 (KST)[답변]
고맙습니다~ 확장기능쪽이었나봐요. :-) --거북이 (토론) 2010년 12월 2일 (목) 10:55 (KST)[답변]

이쯤에서 만들어본 150000 로고[편집]

현재 149,133개의 문서가 있군요. commons:Category:Korean Wikipedia logo variants를 보니 한국어판에는 3만, 4만, 5만, 6만, 7만, 8만, 10만 기념로고가 있었네요. 200,000 이전에 150,000을 기념하고 가는게 어떨까 해서 만들어 봤습니다. 내친김에 15만일 때 기념하는 다른 언어판 사례가 있었는지 그리고 현재 문서는 얼마나 되는지도 살펴봤습니다. :D --김정정민(JM) (토론) 2010년 12월 2일 (목) 18:08 (KST)[답변]

150,000개 문서가 얼마 남지 않았네요.:) 가장 깔끔하네요. --가람 (논의) 『Carpediem』 2010년 12월 2일 (목) 18:37 (KST)[답변]
호오..가장 낫습니다^^.--Saehayae (토론) 2010년 12월 2일 (목) 20:26 (KST)[답변]
좋게 봐주시니 감사합니다. :D 로고 변경은 관리자나 사무관 권한으로도 불가능한 것으로 알고 있는데요. 어디에 신청하는지 아시나요? --김정정민(JM) (토론) 2010년 12월 2일 (목) 22:01 (KST)[답변]
수고하셨어요. 가람님 말씀대로 다른 다섯 개의 로고보다 깔끔하고 보기 좋습니다. 로고 변경은 파일:Wiki.png을 통해서 가능한데, 관리자 권한으로 교체가 가능합니다. :) --정안영민 (토론) 2010년 12월 3일 (금) 00:12 (KST)[답변]
일반 미디어위키처럼 mw:Manual:$wgLogo 변수를 바꿔주어야 바뀌는 줄 알았는데, 위키백과만의 변경 방법이 있었군요. :D --김정정민(JM) (토론) 2010년 12월 3일 (금) 00:59 (KST)[답변]
위키백과만의 방법이 아니라, 위 변수명에 "파일:Wiki.png"의 경로명을 넣어놓은 것이죠. -- ChongDae (토론) 2010년 12월 3일 (금) 09:58 (KST)[답변]
그렇군요. http://upload.wikimedia.org/wikipedia/commons/a/ae/Wikipedia-logo-v2-ko.png 가 들어가 있겠군요. --김정정민(JM) (토론) 2010년 12월 3일 (금) 10:42 (KST)[답변]

이번 14만 -> 15만까지의 텀은 좀 긴 편이였죠. 중간에 버스 관련 문서를 대량 삭제해서 그랬던가요.--Altostratus (토론) 2010년 12월 3일 (금) 00:31 (KST)[답변]

한국어판이 가장 깔끔하네요. -- 윤성현 · 기여 · F.A. 2010년 12월 3일 (금) 02:22 (KST)[답변]
참고로 왼쪽 2개는 위키백과 로고 v2.0을 바탕으로 만들어진 것이고 오른쪽 4개는 예전 버전을 바탕으로 만들어진 것입니다. --김정정민(JM) (토론) 2010년 12월 3일 (금) 09:47 (KST)[답변]
현재 쓰이는 로고와 한글 글꼴이 다르네요. 맞추는게 어떨까요? -- ChongDae (토론) 2010년 12월 3일 (금) 09:58 (KST)[답변]
ChongDae님 조언대로 '위키백과' 로고 폰트를 원래대로 바꾸었습니다. :D --김정정민(JM) (토론) 2010년 12월 3일 (금) 16:42 (KST)[답변]
정말 멋진 로고입니다:-) 이제 20만 문서를 향해 노력해야죠:D -- Min's (토론) 2010년 12월 3일 (금) 22:51 (KST)[답변]
위키백과 로고 v2로 변경 후에 로컬 위키로 환원하는 것이 늦어져 아직도 공용 파일로 향하고 있네요. 이렇다면 CSS를 조작해서 로고를 변경하는 방법도 있습니다. 다만 캐시 문제로 생각보다 오랫동안 로고가 남아 있을 수도 있습니다. 그렇다면 캐시를 갈아주어야겠지요.
#p-logo a, #p-logo a:hover {
    background: url(http://upload.wikimedia.org/wikipedia/ko/b/bc/Wiki.png) 35% 50% no-repeat !important;
}
Kwj2772 (msg) 2010년 12월 4일 (토) 14:33 (KST)[답변]
어느 CSS 파일인가요? $wgLogo 값을 무시하고 변경되나요? --김정정민(JM) (토론) 2010년 12월 4일 (토) 19:45 (KST)[답변]
소스는 m:Wikibooks/Logo/Update에서 가져왔습니다. 위키백과의 HTML 소스를 보면 로고 부분이 CSS 배경 형식으로 설정되어 있습니다. 이것을 바꿔주면 로고를 바꾸는 효과가 나타나는 원리입니다. 실제 $wgLogo는 바꾸지 않고도 로고를 바꾸는 효과를 내는 셈이죠. Kwj2772 (msg) 2010년 12월 5일 (일) 15:22 (KST)[답변]
Common.css였군요. 좋은 정보 감사합니다. :D --김정정민(JM) (토론) 2010년 12월 7일 (화) 23:03 (KST)[답변]

근데 이거 로고 수정한 뒤 그냥 올려도 되는거에요? --bmh4080(Talk·Contribs·Mail) 2010년 12월 12일 (일) 19:19 (KST)[답변]

의견 문서 수가 15만이 넘었으니 로고를 붙였으면 합니다. Jjw (토론) 2010년 12월 19일 (일) 13:27 (KST)[답변]

일본어 판에서 번역을 해오시는 분들에게 당부의 말씀[편집]

일본어에서는 낫표(「 」 『 』)가 어떤 방식으로 쓰이고 있는 지는 모르겠습니다만 국립국어원에 따르면 낫표는 세로쓰기에만 쓰며 가로쓰기를 쓰는 위키백과에서는 꺾쇠표(〈 〉 《 》)를 써야하며 분명히 백:편집 지침에도 적혀있음에도 불구하고 잘 모르는 사람이 있는 듯 합니다. 앞으로 일본어 판에서 번역해오실때 낫표를 전부 꺾쇠표로 치환해주시길 바랍니다.

일단 제 봇으로

replace.py -catr:"일본의 만화" -catr:"일본의 애니메이션" -catr:"라이트 노벨" -catr:"일본의 음반" ---(낫표를 꺾쇠표로 바꾸는 명령어)

를 넣어 다 치환했습니다만. 혹시 더 바꿔야 할 분류가 있다면 (단독 문서는 봇을 돌려야 할 정도로 분량이 많지 않다고 생각합니다. 편집창 오른쪽 위 찾아 바꾸기 기능 참조) 저에게 글을 남겨주세요.

질문 덧붙여, 제 봇 플래그 신청은 언제 완료되는 겁니까.--Altostratus (토론) 2010년 12월 4일 (토) 17:07 (KST)[답변]

그건 좋습니다만, 봇으로 일괄로 바꾼 탓에 일본어 원문의 낫표 표기까지 전부 꺾쇠표로 바뀌는 불상사가 발생했습니다. 이렇게 되면 원문을 찾아보려고 할 때 문제가 생길 수 있습니다만, 이건 어쩌죠? --Hijin6908(말마당 · 한 일) 2010년 12월 5일 (일) 13:18 (KST)[답변]
원문의 낫표까지 전부 꺾쇠표로 바꿔야 되는 거 아닌가요. 원문을 찾아보려고 할 때가 무슨 말씀인지 모르겠습니다. 일본어 판하고 비교를 할 때를 말씀이신가요.--Altostratus (토론) 2010년 12월 5일 (일) 17:04 (KST)[답변]
예를 들면 일본의 작가인 신조 카즈마가 쓴 해설서 중에 'ライトノベル『超』入門'이라는 책이 있습니다. 번역하면 '라이트 노벨 『초』입문'인데, 물론 이 번역한 제목은 낫표를 꺾쇠표로 바꿔 써야 합니다. 하지만 원문 'ライトノベル『超』入門'는 낫표 자체가 제목의 일부이기 때문에 꺾쇠표로 바뀐 원문을 검색하면 검색이 되지 않습니다. --Hijin6908(말마당 · 한 일) 2010년 12월 5일 (일) 17:14 (KST)[답변]
사실 저도 그 생각을 했는데 적어도 어디서 가져오든 한국어 위키백과에서는 편집 지침을 따라야 한다는 생각으로 제목의 일부가 어떻게 되었든 전부 꺾쇠표로 바꿔야 겠다고 생각했습니다. 이 문제는 개정안 토론에서도 얘기 꺼내볼 생각이였습니다만..--Altostratus (토론) 2010년 12월 5일 (일) 17:26 (KST)[답변]
그리고 검색하실 때라고 하셨는데 낫표와 꺾쇠표 차이 정도는 검색 엔진이 알아서 피해가 줄 꺼라 생각하고 있습니다.--Altostratus (토론) 2010년 12월 5일 (일) 17:29 (KST)[답변]
피해가질 않아요;; 일부의 검색 엔진은 띄어쓰기 단위로 인식을 하기 때문에 'ライトノベル《超》入門'을 그대로 인식해서 'ライトノベル『超』入門'라는 검색 결과는 보여주지 않습니다. 제가 말하는 것은 원문을 원하는 독자가 원문에 대한 정보를 정확하게 받아야 한다는 겁니다. --Hijin6908(말마당 · 한 일) 2010년 12월 5일 (일) 19:01 (KST)[답변]
그 경우는 어쩔 수 없지 않을까요... 아무튼 어디서 가져오든 같이 편집 지침에 따라 같이 맞춰줘야 한다는 게 제 생각입니다. 어차피 그 원문이라는 것도 나중에 번역을 해야할 대상이니 별 상관 없다고 봅니다.--Altostratus (토론) 2010년 12월 5일 (일) 19:06 (KST)[답변]
아니 원문을 병기하는 부분 말입니다. ;; --Hijin6908(말마당 · 한 일) 2010년 12월 6일 (월) 16:35 (KST)[답변]
즉, 원문 병기(고문서)나, 뉴스 인용 (하단의 두 문단)에 문제가 생기죠.. --가람 (논의) 『Carpediem』 2010년 12월 6일 (월) 16:42 (KST)[답변]

(개행) 원문을 병기하는 것이라면 한국어 번역을 쓰고 그 옆에 원어를 쓰는 것에 대해서 말씀하시는 듯 한데 그 경우는 제가 봤을땐 그 사례가 많지 않을꺼라 생각되며 있다고 해도 그건 알아서 되돌리기 하면 그만일꺼라 생각합니다. 그리고 가람님께서 제시한 뉴스 인용 하단의 두 문단을 봤는데 그러니까 그 주석도 나중에 번역해야 할 대상이니 미리 낫표를 꺾쇠표로 바꾸는 정도는 상관 없다고 말씀드리는 겁니다.--Altostratus (토론) 2010년 12월 8일 (수) 09:45 (KST)[답변]

삭제 토론[편집]

최근 위키백과:삭제 토론에서 토론을 연 발의자나 토론에 참가한 참가자가 삭제 토론을 닫는 몇몇 사례가 발생하고 있습니다. 기존의 관례로는 이러한 경우는 허용되지 않는 것으로 알고 있습니다만, 몇몇 삭제 토론이 어느 한 쪽으로 기울어진 상태에서 장기간 방치되다보니 이러한 현상이 발생되는 것으로 생각되는데, 이에 대한 논의가 필요하다고 생각합니다. --BIGRULE (토론) 2010년 12월 4일 (토) 17:27 (KST)[답변]

일단 크게 잡아서 장기간 의견이 없고 어느 한 쪽으로 기울어진 상태라고 판단될 수 있다면 발의자 혹은 토론 참여자가 닫을 수 있게 하면 어떨까요.--Altostratus (토론) 2010년 12월 4일 (토) 17:33 (KST)[답변]
아직까지는 특별히 삭제 토론을 누군가가 종결해야한다, 누군가가 종결지으면 안 된다는 지침은 없습니다. 백토:삭제 토론#장기 미완료 토론에 대한 지침에서 장기 미완료 토론의 종결 지침에 대한 토론이 진행 중이니, 미왕 토론하는 김에 장기 미완료 삭제 토론 종결 외에도 삭제 토론을 닫는 것에 대해 의견이 있으시다면 함께 토론해보면 좋겠죠:-) -- Min's (토론) 2010년 12월 5일 (일) 00:01 (KST)[답변]
No problem, then no iniquity. 문제가 없으면 되는 겁니다. 어쨌든 토론을 해야하겠죠. --Hijin6908(말마당 · 한 일) 2010년 12월 5일 (일) 10:14 (KST)[답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