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이동

위볼기신경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위볼기신경
오른쪽 다리의 신경들, 뒤에서 본 그림.
엉치신경얼기음부신경얼기의 모식도, 위볼기신경은 좌측 상단에 표시됨.
정보
시작점엉치신경얼기(L4-S1)
분포 구조중간볼기근
작은볼기근
넙다리근막긴장근
식별자
라틴어nervus gluteus superior
영어superior gluteal nerve
TA98A14.2.07.031
TA26543
FMA16510

위볼기신경(superior gluteal nerve), 또는 상둔신경 (上臀神經)은 골반에서 시작되는 신경이다. 중간볼기근(gluteus medius muscle), 작은볼기근(gluteus minimus muscle), 넙다리근막긴장근(tensor fasciae latae muscle), 궁둥구멍근(piriformis muscle)에 분포한다.

구조

[편집]

위볼기신경은 엉치신경얼기(sacral plexus)에서 나오는 L4, L5, S1 척수신경뒤가지에서 시작한다.[1] 이후 궁둥구멍근 위쪽에서 큰궁둥구멍(greater sciatic foramen)을 통해 골반을 빠져나간다.[2][3] 골반을 빠져나갈 때 위볼기동맥(superior gluteal artery), 위볼기정맥(superior gluteal vein)과 함께 주행한다.[2] 골반을 빠져나간 이후로는 위볼기동맥의 깊은가지 윗가지(upper branch of deep branch)와 함께 주행한다. 위볼기신경이 끝나는 곳은 작은볼기근과 넙다리근막긴장근이다.[1]

기능

[편집]

위볼기신경이 분포하는 근육은 다음과 같다.

위볼기신경은 피부가지도 낸다.[1]

임상적 중요성

[편집]

보행

[편집]

정상적인 보행에서 작은 볼기 근육들은 관상면(coronal plane)에서 골반을 안정화시킬 수 있다. 손상된 위볼기신경으로 인해 이러한 근육이 약화 또는 마비되면 영향을 받은 엉덩관절의 약한 벌림(abduction)을 일으킬 수 있다. 이 보행 장애(gait disturbance)는 트렌델렌버그 보행(Trendelenbug gait)이라는 이름으로 알려져 있다. 트렌델렌버그 징후(Trendelenburg's sign) 양성인 경우 골반은 손상된 신경 반대쪽에서 축 처지게 된다. 작은 볼기근육들이 양쪽에서 기능을 잃을 경우 근이상성 보행(myopathic gait, waddling gait)의 원인이 된다.[2]

의인성 손상

[편집]

위볼기신경은 근육 주사(intramuscular injection)와 콩팥 절제술(nephrectomy)에 의해 손상될 수 있다.[3]

참고 문헌

[편집]

Public domain 이 문서는 현재 퍼블릭 도메인에 속하는 그레이 해부학 제20판(1918) page 959의 내용을 기초로 작성된 글이 포함되어 있습니다.

  1. Mirjalili, S. Ali (2015년 1월 1일). Tubbs, R. Shane; Rizk, Elias; Shoja, Mohammadali M.; Loukas, Marios; Barbaro, Nicholas; Spinner, Robert J., 편집. 《Chapter 46 - Anatomy of the Sacral Plexus L4-S4》 (영어). San Diego: Academic Press. 619–626쪽. ISBN 978-0-12-410390-0. 
  2. Schünke, Michael (2006). 《Thieme atlas of anatomy : Latin nomenclature : general anatomy and musculoskeletal system》. Stuttgart: Thieme. 476쪽. ISBN 1-58890-419-9. 
  3. David, William S.; Sadjadi, Reza (2019년 1월 1일). Levin, Kerry H.; Chauvel, Patrick, 편집. 《Chapter 13 - Clinical neurophysiology of lower extremity focal neuropathies》. Clinical Neurophysiology: Diseases and Disorders (영어) 161. Elsevier. 207–216쪽. 
  4. Platzer (2004), p 420
  5. Iwanaga J; Eid S; Simonds E; Schumacher M; Loukas M; Tubbs RS (2019). “The Majority of Piriformis Muscles are Innervated by the Superior Gluteal Nerve”. 《Clinical Anatomy》 32 (2): 282–286. doi:10.1002/ca.23311. PMID 3040824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