월봉저작상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월봉저작상(月峰著作賞)은 일제강점기 시대일보, 조선일보 편집국장 등을 역임한 민족운동가 월봉 한기악(1898~1941) 선생을 기리기 위해 1975년에 제정된 상이다.

개요[편집]

월봉 한기악 선생 기념 사업회와 출판사 일조각은 1975년 월봉저작상을 제정했다. 월봉 저작상의 시상식은 상하이 임시 정부 수립을 기념하여 매년 4월 10일 전후에 열린다. 1992년에는 시상하지 않았다.

일조각과 월봉저작상[편집]

일조각을 설립한 한만년 사장은 한기악의 차남이자 현민 유진오의 맏사위였다. 한만년의 4남은 한홍구 교수이다.

수상자.수상작품[편집]

수상년도 작가 작품
제1회 1975년 이은숙 《독립운동가 아내의 수기》
제2회 1976년 신용하 독립협회연구》
제3회 1977년 차하순 서양사 총론―르네상스의 사회와 사상》
제4회 1978년 김영한 《조선 지배층 연구》
제5회 1979년 장을병, 정문길 《정치적 커뮤니케이션론》(장을병), 《소외론 연구》(정문길)
제6회 1980년 강진철 고려 토지제도사 연구(高麗土地制度史硏究)》
제7회 1981년 이기동 신라 골품제(新羅骨品制)사회와 화랑도(花郎徒)》
제8회 1982년 김두진 《균여 화엄사상 연구(均如華嚴思想研究)》
제9회 1983년 윤남한 조선 시대의 양명학 연구》
제10회 1984년 이병휴 《조선 전기 기호사림파 연구(朝鮮前期畿湖士林派硏究)》
제11회 1985년 이재용 《조선 초기 사회구조 연구》
제12회 1986년 이태진 《한국 사회사 연구》
제13회 1987년 권석봉 《청말 대조선 정책사 연구(淸末對朝鮮政策史硏究)》
제14회 1988년 윤무병 《한국 청동기 문화 연구》
제15회 1989년 민성기 《조선 농업사 연구》
제16회 1990년 이춘녕 《한국 농학사》
제17회 1991년 윤병석 《국외 한인사회와 민족운동》
제18회 1993년 안병희 《국어사 연구》
제19회 1994년 한시준 《한국 광복군(光福軍) 연구》
제20회 1995년 김재근 《속 한국 선박사 연구》
제21회 1996년 이성무 《조선 양반 사회 연구》
제22회 1997년 박명림 한국전쟁의 발발과 기원》
제23회 1998년 한상권 《조선 후기 사회와 소원(訴寃)제도》
제24회 1999년 반병률 《성재 이동휘 일대기》
제25회 2000년 한명기 임진왜란과 한중 관계》
제26회 2001년 채웅석 《고려 시대 국가와 지방사회》
제27회 2002년 조재곤 《한국 근대사회와 보부상
제28회 2003년 설석규 《조선 시대 유생 상소와 공론(公論)정치》
제29회 2004년 임경석 《한국 사회주의의 기원》
제30회 2005년 고정휴 이승만과 한국 독립 운동》
제31회 2006년 김명호 《초기 한미 관계의 재조명》
제32회 2007년 김영수 《건국의 정치-여말 선초, 혁명과 문명 전》
제33회 2008년 오영섭 고종 황제와 한말 의병》
제34회 2009년 이해준 《조선 후기 문중 서원 연구》
제35회 2010년 노태돈 《삼국 통일 전쟁사》
제36회 2011년 정병준 독도 1947-전후 독도 문제와 한ㆍ미ㆍ일 관계》
제37회 2012년 박진영 《번역과 번안의 시대》
제38회 2013년 최준호 《추사, 명호처럼 살다》
제39회 2014년 박희병 《범애와 평등-홍대용의 사회사상》
제40회 2015년 정민 《18세기 한중 지식인의 문예공화국-하버드 옌칭도서관에서 만난 후지쓰카 컬렉션》
제41회 2016년 김학재 《판문점 체제의 기원-한국전쟁과 자유주의 평화기획》
제42회 2017년 이영훈 《한국경제사Ⅰ: 한국인의 역사적 전개》
제43회 2018년 김종학 《개화당의 기원과 비밀외교》
제44회 2019년 심경호 《안평-몽유도원도와 영혼의 빛》