월배동
둘러보기로 가기
검색하러 가기
월배동(月背洞, 1982년 9월 1일 ~ 1995년 12월 31일)은 대구광역시 달서구의 행정동(월배1~6동)이었다. 1914년 조암면과 월배면을 경상북도 달성군 월배면으로 합면하였고, 1957년 대구시에 편입되었다가, 1963년 달성군에 환원되었고, 1979년 월배읍으로 승격하였고, 1981년 대구직할시 남구에 편입되어 월배출장소로 개편되었다.
명칭 유래[편집]
월배(月背)라는 명칭은 대덕산과 청룡산 사이의 골짜기 달비골에서 가져와 달배면(達背面) 또는 월배면(月背面)이라 하였다.
역사[편집]
- 1895년 6월 23일(음력 윤5월 1일) 23부제 실시로 대구부 대구군 월배면, 조암면이 되었다.[1]
- 1896년 8월 4일 13도제 실시로 경상북도 대구군의 관할이 되었다.[2]
- 1910년 10월 1일 대구군이 대구부로 승격하여 경상북도 대구부의 관할이 되었다.[3]
- 1914년 4월 1일 대구부를 대구부, 달성군으로 분리하고, 월배면, 조암면을 합면하여 경상북도 달성군 월배면이 되었다.[4] (7법정리)
조선총독부령 제111호 구 행정구역 신 행정구역 대구부 월배면 상인동/채정동/본리동·도덕동/도원동·오복동/진천동 일부·진천동 일부 달성군 월배면 상인동·도원동·진천동·유천동 대구부 조암면 상동·하동·대천동 달성군 월배면 상동·하동·대천동
- 1958년 1월 1일 월배면을 대구시에 편입하여 월배출장소를 설치하였다.[5] 상동을 월성동으로, 하동을 월암동으로 개칭하였다.[6]
- 성서출장소 송현동을 월배출장소로 이관하였다.
- 1963년 1월 1일 월배출장소를 달성군 월배면으로 환원하였다.[7] (8법정리)
- 1973년 7월 1일 화원면 대곡동을 월배면에 편입하였다.[8] (9법정리)
- 1979년 5월 1일 월배면을 월배읍으로 승격하였다.[9]
- 1981년 7월 1일 월배읍을 대구직할시 남구에 편입하여[10] 월배출장소를 설치하였다.
- 1982년 9월 1일 월배1동, 월배2동, 송현동을 설치하였다.
- 1983년 3월 15일 월배3동을 설치하였다.
- 1988년 1월 1일 월배출장소를 폐지하고 신설되는 달서구에 편입하였다.[11]
- 1990년 6월 1일 월배2동을 월배2동, 월배4동으로 분동하였다.
- 1992년 9월 1일 달서구청을 월성동 281번지 현 위치로 이전하였다. 월배1동을 월배1동, 월배5동으로 분동하였다.
- 1994년 7월 1일 월배4동을 월배4동, 월배6동으로 분동하였다.
- 1995년 1월 1일 대구직할시가 대구광역시로 개편하여[12] 대구광역시 달서구의 관할이 되었다.
- 1996년 1월 1일 행정동의 명칭을 법정동의 명칭에 맞추기 위해 월배1동을 월성1동으로, 월배2동을 상인2동으로, 월배3동을 진천동으로, 월배4동을 상인1동으로, 월배5동을 월성2동으로, 월배6동을 상인3동으로 개칭하였다.[13]
- 1997년 3월 15일 상인2동을 상인2동, 도원동으로 분동하였다.
행정 구역[편집]
법정동 | [14] | 1895 ~ | 1914 ~ | 1958 ~ | 1963 ~ | 82 ~ | 87 ~ | 90 ~ | 92 ~ | 94 ~ | 96 ~ | 97 ~ | |
---|---|---|---|---|---|---|---|---|---|---|---|---|---|
송현동(松峴) | 감물천면 | 대구부 대구군 →1896년 경상북도 대구군 →1910년 경상북도 대구부 |
성서면 | 상동 →월성동 하동 →월암동 경상북도 대구시 월배출장소 |
경상북도 달성군 월배면 →1979년 월배읍 →1981년 대구직할시 남구 월배출장소 |
송현동 | 송현1동 →1995년 대구광역시 달서구 | ||||||
송현2동[15] | |||||||||||||
월성동(月城) | (상동) (하동) 대구군 조암면 |
경상북도 달성군 월배면 진천동 일부 →유천동 |
월배1동 →1988년 대구직할시 달서구 |
월배1동 | 월성1동 | ||||||||
월암동(月岩) | |||||||||||||
월배5동 | 월성2동 | ||||||||||||
대천동(大泉) | |||||||||||||
상인동(上仁) | 채정동 본리동 |
대구부 대구군 월배면 (진천동) |
월배2동 | 월배4동 | 월배4동 | 상인1동 | |||||||
월배6동 | 상인3동 | ||||||||||||
월배2동 | 상인2동 | 상인2동 | |||||||||||
도원동(桃源) | 도덕동 | 도원동 | |||||||||||
진천동(辰泉) | 오복동 | 월배출장소 →1983년 월배3동 |
진천동 | ||||||||||
유천동(流川) | |||||||||||||
대곡동(大谷) | 송정동 | 인흥면 | 화원면 →1973년 월배면 |
주요 기관[편집]
|
|
주거지구[편집]
|
|
|
|
같이 보기[편집]
각주[편집]
- ↑ 칙령 제98호 地方制度改正件 (1895년 음력 5월 26일)
- ↑ 칙령 제36호 地方制度官制改正件 (1896년 8월 4일)
- ↑ 조선총독부령 제7호 (1910년 10월 1일)
- ↑ 조선총독부령 제111호 (1913년 12월 29일)
- ↑ 법률 제452호 시·군행정구역변경에관한법률 (1957년 11월 6일)
- ↑ 대구시 조례 제108호
- ↑ 법률 제1175호 시·군관할구역변경및면의폐치에관한법률 (1962년 11월 21일)
- ↑ 대통령령 제6542호 시·군·구·읍·면의관할구역변경에관한규정 (1973년 3월 12일)
- ↑ 대통령령 제9409호 미금읍등53개읍설치에관한규정 (1979년 4월 7일)
- ↑ 법률 제3424호 대구직할시및인천직할시설치에관한법률 (1981년 4월 13일)
- ↑ 대통령령 제12367호 서울특별시송파구등13개구설치와구의관할구역변경에관한규정 (1987년 12월 31일)
- ↑ 법률 제4789호 지방자치법 (1994년 12월 22일)
- ↑ 달서구 조례 제373호 행정운영동의설치및동장정수조례 (1996년 1월 6일)
- ↑ 1914년 행정구역 통폐합 이전에 있었던 동명이다.
- ↑ 1987년부터 1990년까지 본동을 포함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