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단콩
![]() | |
---|---|
![]() | |
생물 분류ℹ️ | |
계: | 식물계 |
(미분류): | 속씨식물군 |
(미분류): | 진정쌍떡잎식물군 |
(미분류): | 장미군 |
목: | 콩목 |
과: | 콩과 |
속: | 우단콩속 |
종: | 우단콩 |
학명 | |
'Mucuna pruriens' | |
(L.) DC. | |
학명이명 | |
|
우단콩(羽緞-, 학명: Mucuna pruriens 무쿠나 프루리엔스[*])은 콩과의 덩굴성 관목이다.[3] 원산지는 아시아·태평양 및 아프리카의 열대 지역이다.[4]
특징[편집]
우단콩은 높이가 15m 이상으로 자라는 덩굴성 관목이다. 잎은 겹잎, 난형, 역 난형, 마름모 모양 또는 넓은 난형이다. 잎의 측면은 종종 심하게 홈이 있으며 끝부분은 뾰족하다. 어린 표본에서 잎의 양쪽에는 털이 있다.
꽃머리는 축 방향으로 배열된 꽃차례의 형태를 취한다. 길이는 15~32cm이며 흰색 밝은 보라색, 또는 보라색일수 있는 2~3개 꽃이 많이 있다. 수반되는 잎의 길이는 약 12.5mm이다. 콩깍지는 7.5~9mm로 길고 부드럽다.
종내 분류군[편집]
- M. pruriens var. hirsuta (Wight & Arn.) Wilmot-Dear
- M. pruriens var. utilis (Wall. ex Wight) L.H.Bailey
사진[편집]
각주[편집]
- ↑ “Mucuna pruriens (L.) DC.”. 《The Plant List》 (영어). 2010년 7월 14일. 2019년 6월 6일에 확인함.
- ↑ “Mucuna pruriens (L.) DC.”. 《Plants of the World Online》 (영어). Royal Botanic Gardens, Kew. 2019년 6월 6일에 확인함.
- ↑ Candolle, Augustin Pyramus de. Prodromus Systematis Naturalis Regni Vegetabilis 2: 405. 1825.
- ↑ “Mucuna pruriens (L.) DC.”. 《GRIN-Global Web v 1.10.4.0》 (영어). 1994년 8월 23일. 2019년 6월 6일에 확인함.
![]() |
이 글은 콩목에 관한 토막글입니다. 여러분의 지식으로 알차게 문서를 완성해 갑시다. |
분류:
- 가나의 식물상
- 강낭콩족
- 기니비사우의 식물상
- 기니의 식물상
- 나이지리아의 식물상
- 남아프리카 공화국의 식물상
- 네팔의 식물상
- 라이베리아의 식물상
- 마다가스카르의 식물상
- 말라위의 식물상
- 말레이시아의 식물상
- 미얀마의 식물상
- 방글라데시의 식물상
- 베트남의 식물상
- 부룬디의 식물상
- 부탄의 식물상
- 상투메 프린시페의 식물상
- 세네갈의 식물상
- 소말리아의 식물상
- 수단의 식물상
- 스리랑카의 식물상
- 시에라리온의 식물상
- 앙골라의 식물상
- 에티오피아의 식물상
- 우간다의 식물상
- 인도네시아의 식물상
- 인도의 식물상
- 잠비아의 식물상
- 적도 기니의 식물상
- 중앙아프리카 공화국의 식물상
- 짐바브웨의 식물상
- 차드의 식물상
- 카메룬의 식물상
- 캄보디아의 식물상
- 케냐의 식물상
- 두류
- 콩고 민주 공화국의 식물상
- 탄자니아의 식물상
- 태국의 식물상
- 토고의 식물상
- 파푸아뉴기니의 식물상
- 필리핀의 식물상
- 1825년 기재된 식물
- 질소 고정 식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