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주 공간
우주 공간(宇宙空間, 영어: outer space)은 지구의 대기를 포함한 천체사이인 성간의 공간이다. 각각의 천체에서 밀도의 정도는 거의 없다.
개요[편집]
영역(領域)의 상공은 영공과 우주공간의 두 가지 부분으로 구별된다. 영공에 대해 국가의 지배권이 미친다는 원칙은 확립되었으나 그 위의 우주공간에 대하여는 어떤 제도를 적용시킬 것인가 하는 것이 명확하지 않다. 이 점에 관하여서 1967년의 우주평화이용 조약에서는 지구를 둘러 싼 우주공간과 달 기타 천체(天體)에 적용하는 새로운 국제법의 제도를 수립하였다. 이에 의하면 우주공간과 천체는 어떠한 나라도 영유해서는 안 된다는 것, 우주공간과 천체는 모든 나라가 자유롭게 이용하거나 조사할 수 있다는 것, 우주에서의 모든 활동에 대하여는 국가가 책임을 질 것 등을 명확히 규정하고 있다. 즉 지구를 에워싼 우주공간과 달 기타 별은 어느 나라에도 영유되지 않고 모든 나라가 자유롭게 사용할 수 있도록 개방된 것이다. 또한 이 조약은 군축조약으로서의 성격을 지니고 있는 것이 주목된다. 먼저 달 등의 천체에 대하여는 평화적 목적에 한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정하고, 천체상에 핵무기 같은 대량살상 병기를 배치하거나 군사기지를 설치함으로써 군사적으로 사용하는 것은 일체 금지했다. 다음에 지구를 둘러싼 우주공간에서는 핵무기 등의 대량살상 병기를 운반하는 위성(衛星)을 궤도에 올리는 것이 금지되었다. 그런데 이 조약이 군축문제에 한하여 천체와 우주공간 그 자체를 구별해서 규정하는 것으로 알 수 있듯이 우주공간에의 첩보위성의 발사 등 핵무기 이외의 군사적인 이용을 금지 않고 있는 점에도 주의하지 않으면 안 된다.
공간별 종류[편집]
지역[편집]
성간 매질[편집]
우주는 대부분 암흑 에너지와 암흑 물질, 그리고 일반적인 물질로 구성되어 있다. 전자기파도 우주를 구성하고 있으며,이 양은 20억년간 절반가량으로 줄어든것으로 알려져있다.
성간[편집]

성간우주(星間宇宙) 또는 상간공간은 태양에서 나오는 태양풍·자기력선이 미치는 공간을 뜻하는 태양권 같은 태양계나 그 밖의 별과 별들이 존재하고 있는 우주 공간이다. 일반적으로 우주(Space)의 빈 공간을 의미한다. 온도는 0 K보다는 높은 약 3 K 정도인 대략 −270 °C인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 순수한 진공 상태는 아닌 극소량의 성간매질이 1 km3에 분자 1개 정도 분포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곡면[편집]
아인슈타인 장 방정식 또는 슈바르츠실트 해에 따르면 질량이 있는 별들에의해 그 별의 주변공간인 우주공간은 굽여져 휘어진 것으로 이론적으로도 설명할수있다. 이에대해 존 휠러(John Weeler)는 '시공간은 물질이 어떻게 움직이는지를 말해준다. 물질은 시공간이 어떻게 휘어지는지를 말해준다.(Spacetime tells matter how to move. matter tells spacetime how to curve)'라고 이를 언급한바있다.
![]() |
구체의 질량이 공간을 휘게하고 휘어진 공간을 따라 움직이는 물질들 |
블랙홀[편집]
![]() |
대마젤란운 앞에 블랙홀이 있을 경우를 시뮬레이션한 사진. 블랙홀의 사건의 지평선주위의 중력렌즈 효과로 대마젤란운이 두 개의 확대된, 그러나 매우 왜곡된 상으로 보이게 됨에 주목. 위쪽에 보이는 호선은 우리은하 원반이 마찬가지로 왜곡된 것이다. |
같이 보기[편집]
참고[편집]
- (광양시민신문-우주의 온도는 몇도?)http://www.gycitizen.com/news/articleView.html?idxno=19546[깨진 링크(과거 내용 찾기)]
- (사이언스올-“중력, 만유인력인가 기하학인가”)https://www.scienceall.com/%EA%B3%BC%ED%95%99%EC%9D%98-%EC%9D%B4%ED%95%B4-%E2%91%A1-%EC%A4%91%EB%A0%A5-%EB%A7%8C%EC%9C%A0%EC%9D%B8%EB%A0%A5%EC%9D%B8%EA%B0%80-%EA%B8%B0%ED%95%98%ED%95%99%EC%9D%B8%EA%B0%80/[깨진 링크(과거 내용 찾기)]
![]() |
이 글은 천문학에 관한 토막글입니다. 여러분의 지식으로 알차게 문서를 완성해 갑시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