왕사마귀
![]() 녹색 왕사마귀 | ||||||||||||||||||||
갈색 왕사마귀 | ||||||||||||||||||||
생물 분류 | ||||||||||||||||||||
---|---|---|---|---|---|---|---|---|---|---|---|---|---|---|---|---|---|---|---|---|
| ||||||||||||||||||||
학명 | ||||||||||||||||||||
Tenodera sinensis[1] Saussure, 1871 | ||||||||||||||||||||
이명 | ||||||||||||||||||||
Tenodera aridifolia sinensis Saussure, 1871 |
왕사마귀는 사마귀목에 속하는 곤충이다. 몸 길이는 70~95mm이며 몸은 녹색형과 갈색형이 있다. 우리나라에서 크기가 가장 큰 사마귀로 암컷에 비해 크기가 상대적으로 작은 수컷도 상당히 큰 편이다.
8월에서 10월까지 들판이나 숲의 가장자리 등에서 많이 볼 수 있다. 나뭇가지나 잡초 위에서 먹이를 기다린다. 유충 때에는 진딧물과 같은 작은 동물을 잡아먹다가 점차 자라면서 힘이 강해져 잠자리, 메뚜기, 나비, 매미, 말벌 등을 닥치는 대로 잡아먹는 들판의 최상위 포식자가 된다.
풀밭이나 숲의 가장자리 풀숲에서 관찰되며, 늦가을에 거품 같은 분비물인 알집에 싸인 알을 낳는데, 이 알집이 공기 중에서 굳어진 상태로 월동한다. 사마귀의 알집이 타원형에 가까운 데 비해 알집이 굵고 크며 양쪽 또는 한쪽 모서리가 편평해 짧은 원통형으로 보인다. 사마귀와의 구별법은 앞다리 사이에 노란 점이 있으며, 뒷날개에 얼룩 무늬가 있다는 점이다. 한국, 중국, 일본, 동남아시아에 널리 분포한다.[2][3] 북아메리카에서도 서식하는데 원종(原種)은 아니며 1900년대 초에 친환경 해충방제를 위해 외부에서 도입된 것으로 중국사마귀(Chinese Mantis)라고 불린다. 북아메리카에 도입된 왕사마귀는 소형 조류의 포식자로 돌변하여 벌새를 잡아먹기도 하며[4] 북아메리카의 토종 사마귀보다 중국에서 들여온 외래종 왕사마귀의 새 사냥 비율이 더 높았다.[5]
사진[편집]
각주[편집]
- ↑ [1]
- ↑ 두산백과 - 왕사마귀
- ↑ 국립중앙과학관 곤충정보
- ↑ http://www.birdwatchersdigest.com/site/backyardbirds/hummingbirds/mantis-hummer.aspx?sc=birdwireJul2005
- ↑ "새 사냥하는 사마귀, 자연에 고정관념은 없다" 한겨레 조홍섭 기자 2017년 7월 7일
![]() |
위키미디어 공용에 관련된 미디어 분류가 있습니다. |
![]() |
이 글은 곤충에 관한 토막글입니다. 서로의 지식을 모아 알차게 문서를 완성해 갑시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