완보동물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완보류에서 넘어옴)

완보동물
물곰(Hypsibius dujardini)의 현미경 사진.
물곰(Hypsibius dujardini)의 현미경 사진.
생물 분류ℹ️
계: 동물계
문: 완보동물문
(Tardigrada)
Spallanzani, 1777
  • 본문 참조
Milnesium tardigradum의 현미경 사진.

완보동물(緩步動物)은 물곰(water bear)이나 곰벌레이라고도 불리는 동물의 한 으로, 절지동물과 연관이 있다.

1777년, 이탈리아의 생물학자 라차노 스팔란차니는 "느리게 걷는 것들" 이라는 뜻의 Tardigrada 라고 명명하였다.[1]

느릿느릿 곰처럼 걷는 모습으로 인해 물곰이라고 지었다고 한다. 짧고 통통한 4쌍의 다리를 가지고 있으며, 각각의 끝은 발톱(보통 4~10개), 또는 빨판이 있다.[1]완보동물은 일반적으로 이끼지의류에 널리 퍼져있고 미세조류, 박테리아, 원생생물, 곰팡이, 퇴적물, 또는 작은 무척추동물 (선형동물, 윤형동물, 심지어 완보동물)을 먹는다.

현재까지 약 1,500여 종이 발견되었다. 히말라야 산맥 정상에서 깊은 심해까지, 극 지방에서 적도까지 지구 전체에 걸쳐 퍼져 있다.

가사상태에 들어가게 되면, 극한 환경에서도 생존할 수 있다. 물 없이도 10년 이상 생존할 수 있으며, 진공상태에서도 살 수 있다. 섭씨 151도로 끓여도 살고, -273도에서도 견딘다. 실험실에서 배양되는 종의 경우, 평균 수명은 3개월에서 1년이다. 신진대사를 멈추고 휴면 상태로 120년간 지낸 물곰이 발견된 적이 있다는 이야기가 있지만, 정확하지 않다. 5700 그레이(gray)의 X선도 견딜 수도 있다.[2] 방사능의 경우, 가사상태 뿐만 아니라 활성상태에서도 강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 얼어 있을 경우 훨씬 더 오래 생존할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얼마 전 시베리아 24,000년 전 빙하 코어에서 발견된 윤형동물이 다시 깨어나 활동했다는 보고를 보면, 완보동물도 이 정도는 가능할 것이다.

크기[편집]

가장 큰 성체의 몸길이가 1.5mm이고 가장 작은 개체는 0.1mm채 되지 않는다. 갓 부화한 물곰은 0.05mm보다 작을 수 있다. 비교를 위해 목초 꽃가루의 크기는 0.025~0.04mm이다.

서식지[편집]

완보동물은 물 속에 있는 이끼 같이 이끼나 지의류에서 발견된다.[3] 발견될 수 있는 또 다른 환경은 모래언덕, 해안, 토양, 잎더미, 해양, 담수퇴적물 등이 있다.

해부학적 및 형태학적 특징[편집]

완보동물은 통 모양의 몸에 네 쌍의 짤막한 다리를 가지고 있다. 몸은 머리, 한 쌍 씩 다리가 있는 세 개의 체절, 네 번째 다리를 가지고 있는 마지막 마디 부분으로 구성된다. 다리는 관절이 없으며, 발은 각각 4~10개의 발톱을 가지고 있다. 큐티클은 키틴과 단백질을 가지고 있으며 주기적으로 탈피를 한다. 첫 번째 세 쌍의 다리는 측면을 따라 아래쪽을 향하고 있으며 이동의 주요 수단이다. 네 번째 다리는 몸의 마지막 체절에서 뒤쪽으로 향하고 있으며 주로 기질을 잡는데 사용된다.[4]

완보동물은 혹스 유전자와 신체 축의 큰 중간 부분이 부족하다. 사실상, 마지막 한 쌍의 다리를 제외한 몸 전체는 절지동물의 머리 부분과 상동적으로 구성된다.[5]

같은 종의 모든 성체 완보동물은 같은 수의 세포수를 가지고 있다. 어떤 종들은 각 성체마다 40,000개 정도의 세포를 가지고 있는 반면, 다른 종들은 그것보다 훨씬 적다.[6]

체강은 혈강으로 구성되어있지만, 진짜 체강을 찾을 수 있는 곳은 생식샘 주변이다. 호흡기관은 발견되지 않았으며 기체 교환은 전신에 걸쳐 일어날 수 있다. 몇몇 완보동물은 직장과 관련된 세 개의 관상샘을 가지고 있다; 이것들은 절지동물의 말피기관과 유사한 배설기관일 수 있지만 자세한 부분은 명확하지 않다.[7] 또한, 배설관은 없다.[8]

하위 분류[편집]

계통 분류[편집]

다음은 범절지동물의 계통 분류이다.[9]

범절지동물

유조동물

Tactopoda

완보동물

진절지동물

협각류

대각류

다지류

범갑각류

각주[편집]

  1. Bordenstein, Sarah. “Tardigrades” (영어). National Science Digital Library. 2023년 5월 17일에 확인함. 
  2. 이영재 기자, 〈원자로에서도 생존, 세계 최강의 동물 '물 곰'〉, 《팝뉴스》, 2006년 3월 15일.
  3. Goldstein, Bob;Blaxter, Mark. “Tardigrades”. 《Current Biology》. 
  4. Romano, Frank A. “On water bears”. Florida Entomologist. 
  5. Smith, Frank W.; Boothby, Thomas C.; Giovannini, Ilaria; Rebecchi, Lorena; Jockusch, Elizabeth L.; Goldstein, Bob. “The Compact Body Plan of Tardigrades Evolved by the Loss of a Large Body Region”. Current Biology. 
  6. Seki, Kunihiro; Toyoshima, Masato. 《Preserving tardigrades under pressure》 (Nature): pp.853-854.  |제목=이(가) 없거나 비었음 (도움말)
  7. Barnes, Robert D. Invertebrate Zoology, Holt-Saunders International: pp.877-880.  |제목=이(가) 없거나 비었음 (도움말)
  8. “Segmentation in Tardigrada and diversification of segmental patterns in Panarthropoda” (PDF). 
  9. Regier; Shultz, J. W.; Zwick, A.; Hussey, A.; Ball, B.; Wetzer, R.; Martin, J. W.; Cunningham, C. W.; 외. (2010), “Arthropod relationships revealed by phylogenomic analysis of nuclear protein-coding sequences”, 《네이처463 (7284): 1079–1084, Bibcode:2010Natur.463.1079R, doi:10.1038/nature08742, PMID 201479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