옥집삶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옥집삶바둑에서 돌이 옥집으로 끊어져도 완생하는 형태를 말한다. ‘옥집활’(-活)이라고도 한다.

보기[편집]

이 그림을 보면 백이 구석으로 몰려 죽은 것 같이 보이나, 흑이 먼저 두더라도 백이 충분히 완생할 수 있는 모양이다.


옥집을 만들어서 죽이기 위해 흑 1로 두면, 백이 2로 응수하였을 때 흑은 백을 죽일 방법이 없어진다. 이 그림에서 흑이 옥집으로 백을 죽이기 위해서는 백 Δ이 집을 만들지 못하도록 해야 하나, 백이 붉은 동그라미로 표시된 두 착점 중 어느 한 곳만 두어도 집이 하나 더 생기는 모양으로 최소 한 집을 확보했기 때문에 백 2와 백 Δ을 잡을 수 없게 된다. 그렇다고 해서 흑이 백 2의 자리에 두어 집을 못 만들게 하려고 해도 백이 흑 1의 자리에 응수하면 완전한 두 집이 만들어지기 때문에 백을 죽일 방법이 없다.

이처럼 옥집으로 끊어져 있지만 완생하는 형태를 옥집삶이라고 하며, 집을 계산할 때도 포함해서 계산한다.

만일 앞 그림의 백집이 이 그림과 같이 완성되었다고 가정한다면, 백집은 원래의 3집(붉은 동그라미 부분)에서 옥집 1집(X 부분)까지 포함해 4집으로 계산된다.

다른 모양[편집]

옥집삶이 성립할 조건만 맞으면 설령 실집이 없고 옥집만 있더라도 옥집삶이 성립한다.


위 그림에서 흑돌은 실집이 없이 옥집 2집만을 갖고 있으나, 백이 흑을 잡기 위한 곳이 모두 착수 금지이므로 백은 흑을 잡을 수 없다. 그 이유는 다음과 같이 설명할 수 있다.

  • 옥집으로 끊어진 흑△를 잡으려면, 붉은 동그라미로 표시된 두 옥집 중 한 곳에 두어야 하나, 아직은 착수 금지이다. 흑□를 잡아야 한다.
  • 옥집으로 끊어진 흑□를 잡으려면, 붉은 동그라미로 표시된 두 옥집 중 한 곳에 두어야 하나, 아직은 착수 금지이다. 흑△를 잡아야 한다.
  • 결국, 백은 흑△도 흑□도 잡을 수 없게 되었다.

고로, 위 그림의 흑돌은 살아있는 것으로 처리된다.


이 모양은 흑백이 동시에 옥집삶인 경우이다.




이 그림도 마찬가지로 백은 두 집을 갖고 있는 듯 보여도 옥집이기 때문에 거의 죽어 있는 모양이지만 자세히 보면 미생인 상태로, a로 표시한 자리가 급소이다. 따라서 흑이 먼저 a에 돌을 놓으면 백은 죽어버리지만 그 자리에 백이 먼저 돌을 놓으면 완생하게 된다.

이 그림에서 좌상귀의 흑과 우하귀의 백 역시 옥집만으로도 완생한 옥집삶의 형태를 하고 있다.

실제 예[편집]

다음은 1967년 제5기 청소년배 쟁패전 결승 제2국(흑: 윤기현 6단, 백: 강철민 3단)에서 실제로 나온 옥집삶의 예로, 대한민국 공식 바둑 기전 사상 초유의 옥집삶으로 화제가 되기도 했다. Δ로 표시된 백돌들이 옥집(붉은 동그라미 부분) 3집으로 끊어져 있고 실집은 단 1집 뿐이지만 3개의 옥집이 서로간에 집을 형성하여 절묘하게 살아있다. 옥집을 낸 백 대마가 완생하였으므로 당연히 백의 집 계산에서도 옥집 3집이 포함되어 있다. 흑에게 유리한 방향으로 흘러가던 국면에서 이 옥집삶으로 인해 백의 7집반승.