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셀타미비르
둘러보기로 가기
검색하러 가기
![]() | |
![]() | |
체계적 명칭 (IUPAC 명명법) | |
---|---|
ethyl (3R,4R,5S)-5-amino-4-acetamido-3-(pentan-3-yloxy)-cyclohex-1-ene-1-carboxylate | |
식별 정보 | |
CAS 등록번호 | 204255-11-8 |
ATC 코드 | J05AH02 |
PubChem | 65028 |
드러그뱅크 | DB00198 |
ChemSpider | 58540 |
화학적 성질 | |
화학식 | C16H28N2O4 |
분자량 | 312.4 g/mol |
SMILES | eMolecules & PubChem |
약동학 정보 | |
생체적합성 | >80%[1] |
단백질 결합 | 42% (parent drug), 3% (active metabolite)[1] |
약물 대사 | Hepatic, to oseltamivir carboxylate[1] |
생물학적 반감기 | 1–3 hours, 6–10 hours (active metabolite)[1] |
배출 | Urine (>90% as oseltamivir carboxylate), faeces[1] |
처방 주의사항 | |
허가 정보 | |
임부투여안전성 | B1(오스트레일리아) C(미국) |
법적 상태 | 처방전 필요 (S4) (오스트레일리아) ℞-only (캐나다) POM (영국) ℞-only (미국) |
투여 방법 | By mouth (hard capsules or liquid) |
오셀타미비르(Oseltamivir, 국제일반명) 또는 상품명인 타미플루(Tamiflu)는 뉴라미니데이스 저해제로 미국의 길리어드 사이언시스(Gilead Sciences)사에서 1996년 재미 한국인 화학자인 김정은의 주도 아래 개발되고,[2] 스위스의 호프만 라 로슈(Hoffmann–La Roche)사가 세계적으로 판매하고 있는 인플루엔자 바이러스에 대한 항바이러스제이다.
21세기 초에 대유행한 세계 전염병인 신종 플루 인플루엔자 A형 H1N1에 대응하기 위해 수요가 급증했었다.
식품의약품안전청이 2000년~2006년 타미플루 사용자 3천명을 대상으로 부작용을 조사한 결과, 2005년 12월께 정신신경계통에 이상(부작용)이 생긴 경우가 1건 보고된 적이 있는 것으로 밝혀졌다.[3]
세계보건기구, WHO는 신종플루를 예방하기 위해 타미플루를 사용할 경우 내성을 유발할 수 있다며 예방용으로는 사용해서는 안된다고 경고했다. 세계보건기구는 이에따라 타미플루에 내성을 보이는 환자는 대체 항바이러스제인 '리렌자'를 사용해야 한다고 덧붙였다.[4]
같이 보기[편집]
- H1N1 - 신종플루 백신과 치료제
각주[편집]
- ↑ 가 나 다 라 마 Davies, BE (April 2010). “Pharmacokinetics of oseltamivir: an oral antiviral for the treatment and prophylaxis of influenza in diverse populations”. 《The Journal of Antimicrobial Chemotherapy》. 65 Suppl 2: ii5–10. doi:10.1093/jac/dkq015. PMC 2835511. PMID 20215135.
- ↑ “뉴스 인 뉴스 <33> 항바이러스제”. JOINS. 2009년 8월 31일. 2009년 8월 31일에 확인함.
- ↑ 도쿄 김도형 특파원, 이정애 기자 (2007년 3월 21일). “일본서 투약중지 타미플루 비상”. 한겨레. 2009년 9월 26일에 확인함.
- ↑ “WHO 타미플루 예방용으로 사용안돼”. YTN. 2009년 9월 26일. 2009년 9월 26일에 확인함.
외부 링크[편집]
위키미디어 공용에 오셀타미비르 관련 미디어 분류가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