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모어파
보이기
오모어파 | |
---|---|
지리적 분포 | 에티오피아 |
계통적 분류 | 아프리카아시아어족 오모어파 |
하위 분류 | |
글로톨로그 | 없음 |
![]() 오모어파의 분포 |
오모어파는 에티오피아 남서부에 주로 분포한 언어들로 이루어진 언어군으로, 아프리카아시아어족의 하위 어파를 이룬다. 화자들은 에티오피아의 오모강 유역이나 수단의 청나일주에 분포한다. 화자수는 합쳐셔 대략 790만 명이다.[1]
형태론적으로, 오모어파의 언어들은 대개 교착와 굴절의 복합적 특징을 보인다. 충분한 연구가 이루어진 오모어파 언어는 모두 성조 언어로 밝혀져 있는데, 대부분 고·저의 2가지 구분만 있다.
분류
[편집]리오넬 벤더(2000)의 분류
[편집]다음은 리오넬 벤더 (2000)를 따른 분류이다. Ethnologue의 분류와 주요한 차이점은, 하위 언어들의 소속관계가 크게 다르다는 점과, 리오넬 벤더의 분류의 경우 오메토어 등이 지역이나 위치에 따라 나누어지지 않았다는 점이다.
Ethnologue의 분류
[편집]Ethnologue의 분류는 리오넬 벤더의 분류와 큰 차이는 없으나, 주요 언어들의 위계관계가 바뀌어 있고, 몇몇 언어들을 구체적인 언어로 인정하지 않아 등재하지 않은 언어가 있다든지, 또는 큰 차이가 없다고 보는 몇몇 언어들을 하나로 묶어 취급한 점 등이다.
Ethnologue의 분류에는 도르샤어, 푸가어, 셰어, 메르어가 누락되어 있으며, 가모어, 고파어, 도로어가 '가모고파도로어'로, 카차마어, 가니울레어가 '카차마가니울레어', 자이세어, 제르굴라어가 '자이세제르굴라어'로 엮여 있다.
외부 링크
[편집]각주
[편집]- ↑ “Omotic languages”. Ethnologue. 2023년 3월 9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24년 3월 6일에 확인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