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스타운 (오하이오주)
영스타운 (Youngstown)은 미국 오하이오주 마호닝 군에 있는 도시이다. 마호닝 군의 군청소재지이며 도심 지역은 트럼불 군과 접경하고 있다.[1] 영스타운 자치체는 마호닝 강 상에 위치하며, 대략 클리블랜드의 남동쪽으로 105 km, 피츠버그의 북서쪽으로 100 km 떨어저있다.
영스타운이라는 이름은 화이트스타운 출신의 초기 정착자이자 당시 커뮤니티 최초로 제재소와 방앗간을 세웠던[2] 존 영의 이름을 따서 명명되었다. 영스타운은 러스트 벨트 (Rust Belt)라 불리는 지역 내에 위치한다. 전통적으로 철강 산업의 중심지로서 알려진 영스타운은 1970년대 미국 철강 산업의 하락과 함께 쇠퇴의 길을 걸어갔다.[3] 2000년 인구조사에서 인구는 82,206 명으로 오하이오 주에서 8번째로 큰 도시였지만, 2008년 7월에 발표된 2007년의 인구는 73,818명으로 집계되었다.[4]
인구[편집]
역사적 인구 | |||
---|---|---|---|
인구조사 | 인구 | %± | |
1820년 | 273 | — | |
1830년 | 384 | 40.7% | |
1840년 | 654 | 70.3% | |
1850년 | 2,802 | 328.4% | |
1860년 | 2,759 | −1.5% | |
1870년 | 8,075 | 192.7% | |
1880년 | 15,435 | 91.1% | |
1890년 | 33,220 | 115.2% | |
1900년 | 44,885 | 35.1% | |
1910년 | 79,066 | 76.2% | |
1920년 | 132,358 | 67.4% | |
1930년 | 170,002 | 28.4% | |
1940년 | 167,720 | −1.3% | |
1950년 | 168,330 | 0.4% | |
1960년 | 166,689 | −1.0% | |
1970년 | 139,788 | −16.1% | |
1980년 | 115,427 | −17.4% | |
1990년 | 95,787 | −17.0% | |
2000년 | 82,026 | −14.4% | |
2010년 | 66,982 | −18.3% | |
2019 (추산) | 65,469 | [5] | −2.3% |
U.S. Decennial Census[6] |
기후[편집]
Youngstown, Ohio (Youngstown–Warren Regional Airport), 1981–2010 normals, extremes 1897–present의 기후 | |||||||||||||
---|---|---|---|---|---|---|---|---|---|---|---|---|---|
월 | 1월 | 2월 | 3월 | 4월 | 5월 | 6월 | 7월 | 8월 | 9월 | 10월 | 11월 | 12월 | 년 |
최고 기온 기록 °F (°C) | 71 (22) |
75 (24) |
82 (28) |
90 (32) |
95 (35) |
99 (37) |
103 (39) |
100 (38) |
99 (37) |
88 (31) |
80 (27) |
76 (24) |
103 (39) |
평균 최대 기온 °F (°C) | 56.1 (13.4) |
59.0 (15.0) |
72.7 (22.6) |
80.7 (27.1) |
84.2 (29.0) |
89.8 (32.1) |
91.2 (32.9) |
90.1 (32.3) |
85.8 (29.9) |
77.9 (25.5) |
69.1 (20.6) |
58.0 (14.4) |
92.4 (33.6) |
평균 최고 기온 °F (°C) | 32.5 (0.3) |
36.1 (2.3) |
45.8 (7.7) |
59.0 (15.0) |
68.9 (20.5) |
77.4 (25.2) |
81.4 (27.4) |
79.9 (26.6) |
72.4 (22.4) |
60.6 (15.9) |
48.9 (9.4) |
36.5 (2.5) |
58.3 (14.6) |
평균 최저 기온 °F (°C) | 19.0 (−7.2) |
20.7 (−6.3) |
27.7 (−2.4) |
38.0 (3.3) |
46.7 (8.2) |
55.4 (13.0) |
59.7 (15.4) |
58.3 (14.6) |
51.4 (10.8) |
41.5 (5.3) |
33.9 (1.1) |
24.0 (−4.4) |
39.7 (4.3) |
평균 최소 기온 °F (°C) | −2.1 (−18.9) |
1.2 (−17.1) |
8.4 (−13.1) |
22.5 (−5.3) |
31.6 (−0.2) |
40.6 (4.8) |
46.8 (8.2) |
44.5 (6.9) |
36.8 (2.7) |
27.6 (−2.4) |
18.7 (−7.4) |
5.5 (−14.7) |
−5.3 (−20.7) |
최저 기온 기록 °F (°C) | −22 (−30) |
−16 (−27) |
−10 (−23) |
11 (−12) |
24 (−4) |
30 (−1) |
40 (4) |
32 (0) |
27 (−3) |
20 (−7) |
1 (−17) |
−12 (−24) |
−22 (−30) |
평균 강수량 인치 (mm) | 2.55 (65) |
2.15 (55) |
2.94 (75) |
3.36 (85) |
3.79 (96) |
3.88 (99) |
4.31 (109) |
3.24 (82) |
3.75 (95) |
2.77 (70) |
3.18 (81) |
2.99 (76) |
38.91 (988) |
평균 강설량 인치 (cm) | 16.6 (42) |
12.8 (33) |
10.9 (28) |
3.0 (7.6) |
trace | 0 (0) |
0 (0) |
0 (0) |
0 (0) |
0.8 (2.0) |
3.6 (9.1) |
15.0 (38) |
62.7 (159) |
평균 강수일수 (≥ 0.01 in) | 17.1 | 14.3 | 14.1 | 14.5 | 13.6 | 12.3 | 10.7 | 10.0 | 10.6 | 11.5 | 14.1 | 17.2 | 160.0 |
평균 강설일수 (≥ 0.1 in) | 13.6 | 10.4 | 7.5 | 2.8 | 0 | 0 | 0 | 0 | 0 | 0.8 | 3.7 | 11.5 | 50.3 |
출처: NOAA,[7][8][9] |
자매도시[편집]
참고[편집]
- ↑ “Subcounty population estimates: Ohio 2000–2006”. 미국 인구조사국, Population Division. 2007년 6월 28일. 2008년 4월 20일에 원본 문서 (CSV)에서 보존된 문서. 2009년 3월 15일에 확인함.
- ↑ “Communities along the Mahoning River”. Youngstown State University. 2007년 6월 21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07년 2월 26일에 확인함.
- ↑ Bruno (1999), p. 10.
- ↑ “Table 4: Annual Estimates of the Population for Incorporated Places in Ohio, Listed Alphabetically: April 1, 2000 to July 1, 2007”. 미국 인구조사국. 2011년 6월 4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08년 8월 3일에 확인함.
- ↑ “Population and Housing Unit Estimates”. 2020년 5월 21일에 확인함.
- ↑ “Census of Population and Housing”. 미국 인구조사국. 2014년 12월 2일에 확인함.
- ↑ “NowData - NOAA Online Weather Data”. 미국 해양대기청. 2012년 2월 10일에 확인함.
- ↑ “Youngstown, OH Climate”. National Weather Service. 2008년 11월 15일에 확인함.
- ↑ “Station Name: OH YOUNGSTOWN RGNL AP”. National Oceanic and Atmospheric Administration. 2015년 2월 21일에 확인함.
외부 링크[편집]
- (영어) 영스타운 시의 공식 웹사이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