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미 단위계
영미 단위계(英美 單位系, 영어: Imperial and US customary measurement systems), 제국 단위계(帝國 單位系, 영어: Imperial units), 또는 야드파운드법은 영국에서 제정하여 영국과 미국에서 사용되는 도량형 기준이다. 영국과 영국 식민지 지역이었던 영연방에서 기준으로 사용하던 단위계였다. 길이는 야드, 질량은 파운드를 단위로 한다. 이를 제정했던 영국도 20세기 후반부터 미터법을 기준으로 사용하므로 영연방도 대부분 미터법을 사용한다. 2021년, 영국식인 제국 단위계를 도량형 기준으로 사용하는 나라는 라이베리아와 미얀마뿐이다.
길이의 단위[편집]
1958년, 미국과 영국은 1 야드의 길이를 0.9144 미터로 하기로 합의하였다. 이전까지는 영국에서는 1 야드는 약 0.914398416 m였다. (Sears et al. 1928. Phil Trans A 227:281) 이후 영국은 공식적으로 미터법을 도입했으나, 아직 제국 단위계의 잔재가 남아 있다.
인치 | 피트 | 야드 | 체인 | 펄롱 | 마일 | 리그 | 미터 | |
---|---|---|---|---|---|---|---|---|
1 인치 | 1 | 1⁄12 | 1⁄36 | 1⁄792 | 1⁄7,920 | 1⁄63,360 | 1⁄190,080 | 0.0254 |
1 피트 | 12 | 1 | 1⁄3 | 1⁄66 | 1⁄660 | 1⁄5,280 | 1⁄15,840 | 0.3048 |
1 야드 | 36 | 3 | 1 | 1⁄22 | 1⁄220 | 1⁄1,760 | 1⁄5,280 | 0.9144 |
1 체인 | 792 | 66 | 22 | 1 | 1⁄10 | 1⁄80 | 1⁄240 | 20.1168 |
1 펄롱 | 7,920 | 660 | 220 | 10 | 1 | 1⁄8 | 1⁄24 | 201.168 |
1 마일 | 63,360 | 5,280 | 1,760 | 80 | 8 | 1 | 1⁄3 | 1,609.344 |
1 리그 | 190,080 | 15,840 | 5,280 | 240 | 24 | 3 | 1 | 4,828.032 |
면적의 단위[편집]
1 루드(rood) | = 1 펄롱 × 1 로드 | = 40 평방 로드 | = 1/2560 평방 마일 | = 10890 평방 피트 | = 0.10117141056 ha | = 1011.7141056 m² |
1 에이커(acre) | = 1 펄롱 × 1 체인 | = 160 평방 로드 | = 1/640 평방 마일 | = 43560 평방 피트 | = 0.40468564224 ha | = 4046.8564224 m² |
무게와 질량의 단위[편집]
단위 | 파운드에 비례 |
SI 단위계 | 비고 |
---|---|---|---|
그레인 | 1/7000 | 0.06479891 g | |
드램 | 1/256 | 1.7718451953125 g | |
온스 (oz) | 1/16 | 28.349523125 g | |
파운드(lb) | 1 | 453.59237 g | 정의에 따라 정확히 453.59237 그램. |
스톤 (st) | 14 | 6.35029318 kg | |
쿼트 | 28 | 12.70058636 kg | |
헌드레드웨이트 (cwt) | 112 | 50.80234544 kg | |
톤 (T) | 2,240 | 1,016.0469088 kg |
사용 국가[편집]
20세기까지도 영국과 영연방에서 기준으로 사용하던 도량형이었으나 21세기 현재 이 지역은 미터법을 사용한다. 현재 영국식인 제국 단위계를 사용하는 국가는 라이베리아와 미얀마 2곳이다. 미국은 야드와 파운드 용어를 사용하나 영국식과 다른 도량형 기준인 미국식(미국 단위계)을 사용한다.
같이 보기[편집]
외부 링크[편집]
위키미디어 공용에 영미 단위계 관련 미디어 분류가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