역이기
역이기(酈食其, ? ~ 기원전 204년)는 진나라 말기의 인물로, 초한전 당시 전한 고제의 휘하에 있던 모사이다. 탕군 진류현(陳留縣) 고양향(高陽鄕) 사람이다.
사적[편집]
평소 독서를 즐겼지만 집안이 가난해서 마을의 성문을 관리하는 감문리로 있었다. 술을 즐기고 능력을 드러내지 않아 사람들은 미치광이 선생이라고 불렸다. 진 이세황제 원년(기원전 209년) 진승·오광의 난을 기점으로 항량 등이 세력을 일으키자, 때를 기다렸던 역이기는 유방을 만나고는 드디어 그 뜻을 펼치기 시작한다. 주로 외교 활동에서 큰 공을 세웠는데 진류 현령을 속여 진류성을 유방에게 바치고 제왕 전광(齊王 田廣)을 설득하여 항복토록 하였다. 그러나 역이기의 공을 시기한(괴철의 간언으로 그렇게 생각한) 한신이 제나라를 공격하고, 속았다고 생각한 제왕 전광에 의해 팽살된다.
가계[편집]
역이기의 아들 역개는 그 부친의 공이 크다 하여 아무런 전공 없이 고량후(高粱侯)에 봉해졌다.
관련 인물[편집]
![]() |
이 글은 중국 사람에 관한 토막글입니다. 여러분의 지식으로 알차게 문서를 완성해 갑시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