여울마자
둘러보기로 가기
검색하러 가기
생물 분류 | ||||||||||||||||
---|---|---|---|---|---|---|---|---|---|---|---|---|---|---|---|---|
| ||||||||||||||||
학명 | ||||||||||||||||
Microphysogobio rapidus Chae and Yang 1999[1] |
여울마자는 잉어과 모래무지아과에 속하는 한국고유종 민물고기이다. 돌마자와 유사하나 산란기 비늘 색깔의 차이나 입술에 난 돌기의 수, 비늘의 수, 몸 길이 등의 차이 등 외형적 차이와 낙동강에서만 서식한다는 점에서 차이가 있다.[1]
생태[편집]
4월과 5월 중 수온이 20 °C 로 오르는 시기에 약 0.6mm의 알을 낳는다. 배란이 된 알은 물을 흡수하여 수정 15분 후 1.1 ~ 1.2mm 크기로 팽창한다. 30분 정도 되었을 때에는 배엽이 형성되고 1시간 20분 이후 15분 마다 세포는 2배씩 분열한다. 22시간이 되어선 뼈의 형성이 모두 완료되고 알의 난황과 꼬리가 분리되어 알 안에서 헤엄치게 된다. 31시간 뒤에는 심장이 형성되며 부화까지는 72시간이 걸린다.[1]
부화한 여울마자는 몸이 휘어져 있는데 부화 후 24시간이 지나면 몸이 일자로 펴지고 몸길이가 약 3.6mm에 이르게 된다. 부화된 후 3일 까지는 난황에서 영양분을 얻다가 3일 이후에는 난황이 흡수되고 입과 항문이 열려 먹이활동을 하게된다.[1]
각주[편집]
- ↑ 가 나 다 라 홍양기; 고명훈 (2015). “멸종위기어류 여울마자 Microphysogobio rapidus (Cyprinidae)의 난 발생 및 초기생활사”. 《한국어류학회》 27 (2).
같이 보기[편집]
![]() |
이 글은 물고기에 관한 토막글입니다. 여러분의 지식으로 알차게 문서를 완성해 갑시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