에피프렘넘속
보이기
![]() | |
---|---|
![]() Epipremnum pinnatum | |
생물 분류ℹ️ | |
계: | 식물계 |
(미분류): | 속씨식물군 |
(미분류): | 외떡잎식물군 |
목: | 택사목 |
과: | 천남성과 |
아과: | 몬스테라아과 |
속: | 에피프렘넘속 Schott |
에피프렘넘속("Epiphremnum")은 중국, 히말라야산맥, 동남아시아에서 오스트레일리아 서태평양에 이르는 열대 숲에서 발견된다.[1][2][3] 공중 뿌리의 도움을 받아 기어오르는 상록수 다년생 덩굴 식물이다.[4] 이들은 라피도포라속, 신다푸스속, 에이미드리움속과 같은 다른 몬스테라아과와 혼동될 수 있다.
식물의 모든 부분은 독성이 있는데, 주로 모상보강세포와 침상결정 때문이다. 식물은 40m 이상 자랄 수 있으며 잎 길이는 최대 3m까지 자랄 수 있지만 화분에서 키울 경우에는 크기가 훨씬 줄어든다. 종에 따라 일반적으로 지네 통가빈, 포토 또는 악마의 담쟁이 덩굴(외국에서 스킨답서스류를 칭하는 단어들)로 알려진 이 식물들은 일반적으로 온대 지역에서 실내 식물로 재배된다. 어린 잎은 밝은 녹색이며, 드물게 노란색이나 흰색의 불규칙한 무늬가 생길 수 있다.


용어
[편집]선정된 종
[편집]- Epipremnum amplissimum
- 스킨답서스 (Epipremnum aureum)
- Epipremnum carolinense
- Epipremnum ceramense
- Epipremnum dahlii
- Epipremnum falcifolium
- Epipremnum giganteum
- Epipremnum meeboldii
- Epipremnum moluccanum
- Epipremnum moszkowskii
- Epipremnum nobile
- Epipremnum obtusum
- Epipremnum papuanum
- Epipremnum pinnatum
- Epipremnum silvaticum
각주
[편집]- ↑ “Kew World Checklist of Selected Plant Families”. 2022년 3월 24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22년 8월 22일에 확인함.
- ↑ Govaerts, R. & Frodin, D.G. (2002). World Checklist and Bibliography of Araceae (and Acoraceae): 1-560. The Board of Trustees of the Royal Botanic Gardens, Kew.
- ↑ Flora of China Vol. 23 Page 14, 麒麟叶属 qi lin ye shu, Epipremnum Schott, Bonplandia (Hannover). 5: 45. 1857.
- ↑ 《RHS A-Z encyclopedia of garden plants》. United Kingdom: Dorling Kindersley. 2008. 1136쪽. ISBN 978-1405332965.
- ↑ Quattrocchi, Umberto (2016년 4월 19일). 《CRC World Dictionary of Medicinal and Poisonous Plants: Common Names, Scientific Names, Eponyms, Synonyms, and Etymology (5 Volume Set)》. ISBN 9781482250640.
![]() |
이 글은 외떡잎식물에 관한 토막글입니다. 여러분의 지식으로 알차게 문서를 완성해 갑시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