양목면
![]() | ||||||||||||||||
![]() | ||||||||||||||||
생물 분류![]() | ||||||||||||||||
---|---|---|---|---|---|---|---|---|---|---|---|---|---|---|---|---|
| ||||||||||||||||
학명 | ||||||||||||||||
Ceiba pentandra (L.) Gaertn. | ||||||||||||||||
이명 | ||||||||||||||||
|
양목면(洋木綿, 학명: Ceiba pentandra 케이바 펜탄드라[*])은 아욱과의 나무이다.[3] 원산지는 아프리카 및 아메리카의 열대 지역이며, 태평양의 여러 섬에 도입되어 귀화종으로 자리잡았다.[4] 섬유 작물의 일종이며, 재배는 아시아의 열대 지역에서 주로 이루어진다.[4]
사진[편집]
풋열매
같이 보기[편집]
각주[편집]
- ↑ “Ceiba pentandra (L.) Gaertn.”. 《The Plant List》 (영어). 2012년 3월 23일. 2019년 6월 7일에 확인함.
- ↑ “Ceiba pentandra (L.) Gaertn.”. 《Plants of the World Online》 (영어). Royal Botanic Gardens, Kew. 2019년 6월 7일에 확인함.
- ↑ Gaertner, Joseph. De Fructibus et Seminibus Plantarum 2(2): 244, pl. 133, f. 1. 1791.
- ↑ 가 나 “Ceiba pentandra (L.) Gaertn.”. 《GRIN-Global Web v 1.10.4.0》 (영어). 2017년 9월 19일. 2019년 6월 7일에 확인함.
이 글은 아욱목에 관한 토막글입니다. 여러분의 지식으로 알차게 문서를 완성해 갑시다. |
분류:
- 가나의 식물상
- 가봉의 식물상
- 가이아나의 식물상
- 과들루프의 식물상
- 과테말라의 식물상
- 괌의 식물상
- 그레나다의 식물상
- 기니비사우의 식물상
- 나우루의 식물상
- 나이지리아의 식물상
- 네덜란드령 안틸레스의 식물상
- 니카라과의 식물상
- 도미니카 공화국의 식물상
- 도미니카 연방의 식물상
- 르완다의 식물상
- 마르티니크의 식물상
- 말라위의 식물상
- 말리의 식물상
- 멕시코의 식물상
- 모잠비크의 식물상
- 목면아과
- 몬트세랫의 식물상
- 바베이도스의 식물상
- 베냉의 식물상
- 베네수엘라의 식물상
- 벨리즈의 식물상
- 볼리비아의 식물상
- 부룬디의 식물상
- 브라질의 식물상
- 섬유식물
- 세네갈의 식물상
- 세인트루시아의 식물상
- 세인트빈센트 그레나딘의 식물상
- 수단의 식물상
- 수리남의 식물상
- 시에라리온의 식물상
- 아이티의 식물상
- 앙골라의 식물상
- 앤티가 바부다의 식물상
- 앵귈라의 식물상
- 에콰도르의 식물상
- 엘살바도르의 식물상
- 영국령 버진아일랜드의 식물상
- 온두라스의 식물상
- 우간다의 식물상
- 자메이카의 식물상
- 잠비아의 식물상
- 카메룬의 식물상
- 코스타리카의 식물상
- 코트디부아르의 식물상
- 콜롬비아의 식물상
- 콩고 민주 공화국의 식물상
- 쿠바의 식물상
- 쿡제도의 식물상
- 탄자니아의 식물상
- 토고의 식물상
- 통가의 식물상
- 파나마의 식물상
- 페루의 식물상
- 푸에르토리코의 식물상
- 프랑스령 기아나의 식물상
- 프랑스령 폴리네시아의 식물상
- 1791년 기재된 식물
- 칼 폰 린네가 명명한 분류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