앨버트 래스커 기초 의학 연구상
앨버트 래스커 기초 의학 연구상 | |
---|---|
수상대상 | 인간의 장애나 죽음의 원인을 규명하기 위한 기술·정보·개념을 가져올 수 있는 기초적인 발견 |
주최 | 래스커 재단 |
나라 | ![]() |
첫 시상 | 1946년 |
웹사이트 | 공식 홈페이지 |
앨버트 래스커 기초 의학 연구상(영어: Albert Lasker Award for Basic Medical Research)은 1946년에 제정된 래스커 재단에서 수여하는 국제적인 의학상 중의 하나로 인간의 장애나 죽음의 원인을 규명하기 위한 기술·정보·개념을 가져올 수 있는 기초적인 발견에 기여한 과학자를 대상으로 한다.[1]
역대 수상자[편집]
연도 | 수상자 | 국적 | 수상 사유·업적 | ||
---|---|---|---|---|---|
1940년대[편집] | |||||
1946년 | ![]() |
칼 퍼디낸드 코리 Carl Ferdinand Cori |
![]() ( ![]() |
탄수화물의 대사 경로(코리 회로)를 규명 | |
1947년 | ![]() |
오즈월드 에이버리 Oswald Avery |
![]() ( ![]() |
세균의 화학 조성에 관한 연구 | |
![]() |
호머 W. 스미스 Homer W. Smith |
![]() |
순환계통 및 신장의 생리학에 관한 연구 | ||
1948년 | ![]() |
빈센트 뒤비뇨 Vincent du Vigneaud |
![]() |
동물의 영양 흡수에 있어서 메틸기 전이에 관한 연구와 바이오틴 및 페니실린 합성에 관한 연구 | |
![]() |
셀먼 에이브러햄 왁스먼 Selman Waksman |
![]() ( ![]() |
토양미생물의 항균 활성에 관한 연구 및 스트렙토마이신의 발견 | ||
![]() |
르네 뒤보스 René Dubos |
![]() ( ![]() | |||
1949년 | ![]() |
앙드레 프레데리크 쿠르낭 André Frédéric Cournand |
![]() ( ![]() |
심혈관질환에 관한 연구 및 심장카테터법을 개발 | |
![]() |
윌리엄 S. 틸렛 William S. Tillett |
![]() |
스트렙토키나제 발견과 단리 | ||
![]() |
L. 로열 크리스텐슨 L. Royal Christensen |
![]() | |||
1950년대[편집] | |||||
1950년 | ![]() |
조지 웰스 비들 George Wells Beadle |
![]() |
대사 과정 조절에 있어서 유전자의 중요성에 대한 기초 연구 | |
1951년 | 카를 프리드리히 마이어 Karl Friedrich Meyer |
![]() ( ![]() |
기생충학의 공헌 | ||
1952년 | ![]() |
프랭크 맥팔레인 버넷 Frank Macfarlane Burnet |
![]() |
바이러스의 유전 정보 전달에 관한 연구 | |
1953년 | ![]() |
핸스 애돌프 크레브스 Hans Adolf Krebs |
![]() ( ![]() |
요소 회로 및 TCA 회로의 발견 | |
![]() |
마이클 하이델베르크 Michael Heidelberger |
![]() |
면역화학적정량법에 관한 새로운 분야의 개발 | ||
![]() |
조지 월드 George Wald |
![]() |
시각의 생리·화학적 과정을 발견 | ||
1954년 | ![]() |
에드윈 B. 애스트우드 Edwin B. Astwood |
![]() |
갑상샘과다증 치료법 개발로 이어지는 내분비 기능의 기본적 이해에 대한 공헌 | |
![]() |
존 프랭클린 엔더스 John Franklin Enders |
![]() |
소아마비·볼거리·홍역의 원인 바이러스의 배양법 확립 | ||
![]() |
센트죄르지 얼베르트 Albert Szent-Györgyi |
![]() ( ![]() |
액토미오신 발견을 포함한 심혈관질환에 관한 연구 | ||
1955년 | ![]() |
칼 폴 링크 Karl Paul Link |
![]() |
혈전의 형성기서 규명 및 혈전증 치료법 개발 | |
![]() |
칼 J. 위거스 Carl J. Wiggers |
![]() |
심혈관계의 생리학에 대한 연구 | ||
1956년 | ![]() |
카를 마이어 Karl Meyer |
![]() |
관절염·류머티즘에 대한 새로운 이해를 가져오는 결합 조직의 구성 요소에 대한 연구 | |
![]() |
프랜시스 O. 슈밋 Francis O. Schmitt |
![]() | |||
1957년 | ![]() |
아이작 스타 Isaac Starr |
![]() |
심장과 순환계통에 관한 기초 연구 및 심탄계 개발 | |
1958년 | ![]() |
프랜시스 페이턴 라우스 Francis Peyton Rous |
![]() |
발암의 원인, 항체의 기원 및 혈구 산생과 파괴의 메커니즘에 관한 새로운 지식 획득에 기여 | |
![]() |
시어도어 퍽 Theodore Puck |
![]() |
포유류 세포의 순수배양법 개발 | ||
![]() |
앨프리드 허시 Alfred Hershey |
![]() |
바이러스의 복제 메커니즘 및 유전자 구조에 관한 연구 | ||
![]() |
게르하르트 슈람 Gerhard Schramm |
![]() | |||
![]() |
하인즈 프렌켈콘라트 Heinz Fraenkel-Conrat |
![]() ( ![]() | |||
![]() |
어바인 페이지 Irvine Page |
![]() |
고혈압의 기본기구 규명에 막대한 기여 | ||
1959년 | ![]() |
앨버트 쿤스 Albert Coons |
![]() |
감염증 연구의 유용한 수단이 된 면역형광법 개발 | |
![]() |
줄스 T. 프로인드 Jules T. Freund |
![]() ( ![]() |
결핵, 말라리아, 광견병, 소아마비 등에 대한 면역학·알레르기 분야에서의 새로운 발견 | ||
1960년대[편집] | |||||
1960년 | ![]() |
에른스트 루스카 Ernst Ruska |
![]() |
전자현미경 개발 | |
![]() |
제임스 힐리어 James Hillier |
![]() | |||
![]() |
제임스 V. 닐 James V. Neel |
![]() |
인간 유전학 연구의 발전에 대한 공헌 및 지중해빈혈·겸형 적혈구 빈혈증에 관한 연구 | ||
![]() |
라이어널 펜로즈 Lionel Penrose |
![]() | |||
![]() |
모리스 윌킨스 Maurice Wilkins |
![]() |
DNA 구조 해명에 기여 | ||
![]() |
프랜시스 크릭 Francis Crick |
![]() | |||
![]() |
제임스 D. 왓슨 James D. Watson |
![]() | |||
1961년 | (수상자 없음) | ||||
1962년 | ![]() |
리줘하오 Choh Hao Li |
![]() ![]() |
6종류 호르몬의 분리 분류를 포함한 뇌하수체전엽 유래 호르몬의 화학적 특성 이해를 규명 | |
1963년 | ![]() |
라이먼 C. 크레이그 Lyman C. Craig |
![]() |
화학 물질의 분리 방법 개발 및 항생물질의 구조 연구 | |
1964년 | ![]() |
레나토 둘베코 Renato Dulbecco |
![]() ( ![]() |
종양 바이러스와 세포 유전물질의 상호작용 발견 | |
![]() |
해리 M. 루빈 Harry M. Rubin |
![]() | |||
1965년 | ![]() |
로버트 W. 홀리 Robert W. Holley |
![]() |
아미노산 운반 RNA(Amino acid transfer RNA)의 화학 구조 결정 | |
1966년 | ![]() |
조지 에밀 펄레이드 George Emil Palade |
![]() ( ![]() |
전자현미경을 통한 세포생물학에 대한 연구 | |
1967년 | ![]() |
버나드 베릴 브로디 Bernard Beryl Brodie |
![]() |
아세트아닐리드, 프로카인아미드의 연구를 포함한 생화학적 약리학에서의 공헌 | |
1968년 | ![]() |
하르 고빈드 코라나 Har Gobind Khorana |
![]() ( ![]() ![]() |
코돈 해독에 대한 기여 | |
![]() |
마셜 워런 니런버그 Marshall Warren Nirenberg |
![]() | |||
![]() |
윌리엄 F. 윈들 William F. Windle |
![]() |
뇌에 대한 상해와 그 영향에 대한 연구를 포함하는 발생 생물학에 있어서의 기본 원리의 발견 | ||
1969년 | ![]() |
로버트 브루스 메리필드 Robert Bruce Merrifield |
![]() |
단백질과 고체상합성법 개발 | |
1970년대[편집] | |||||
1970년 | ![]() |
얼 윌버 서덜랜드 Earl Wilbur Sutherland Jr. |
![]() |
고리형 아데노신 일인산(cAMP)및 그 호르몬 작용 기서에서의 중요한 역할 발견 | |
1971년 | ![]() |
시모어 벤저 Seymour Benzer |
![]() |
분자유전학에 대한 기여 | |
![]() |
시드니 브레너 Sydney Brenner |
![]() | |||
![]() |
찰스 야노프스키 Charles Yanofsky |
![]() | |||
1972년 | (수상자 없음) | ||||
1973년 | (수상자 없음) | ||||
1974년 | ![]() |
루드윅 그로스 Ludwik Gross |
![]() ( ![]() |
포유류의 백혈병 바이러스·온코바이러스의 발견 및 그 생물학적·역학적 평가 | |
![]() |
하워드 E. 스키퍼 Howard E. Skipper |
![]() |
항암 화학요법 확립에 대한 기여 | ||
![]() |
솔 스피걸먼 Sol Spiegelman |
![]() |
분자 핵산혼성화 방법의 개발 | ||
![]() |
하워드 마틴 테민 Howard Martin Temin |
![]() |
RNA 종양 바이러스의 생물학적 특성 및 작용 기서에 대한 연구 | ||
1975년 | ![]() |
로제 기유맹 Roger Guillemin |
![]() |
시상하부와 내분비계통의 상호 작용에 대한 지식의 확대 | |
![]() |
앤드루 섈리 Andrew Schally |
![]() ( ![]() | |||
![]() |
프랭크 J. 딕슨 Frank J. Dixon |
![]() |
새로운 의학 분야로서의 면역병리학 도입에 대한 기여 | ||
![]() |
헨리 컹클 Henry Kunkel |
![]() | |||
1976년 | ![]() |
로절린 서스먼 얠로 Rosalyn Sussman Yalow |
![]() |
방사면역측정법의 원리 발견 및 기술개발 | |
1977년 | ![]() |
수네 베리스트룀 Sune Bergström |
![]() |
프로스타글란딘의 분리 및 화학적 결정의 성과 | |
![]() |
벵트 I. 사무엘손 Bengt I. Samuelsson |
![]() |
프로스타글란딘 생합성·대사 기구의 해석 및 측정 기법의 개발에 있어서 뛰어난 업적 | ||
![]() |
존 로버트 베인 John Robert Vane |
![]() |
혈전 형성 저해 작용을 가진 에이코사노이드의 1종, 프로스타사이클린의 발견 | ||
1978년 | ![]() |
한스 코스털리츠 Hans Kosterlitz |
![]() ( ![]() |
오피오이드 수용체와 내인성 엔케팔린과의 관계를 명확히 밝힘 | |
![]() |
존 휴스 John Hughes |
![]() |
엔케팔린의 특이구조 결정과 그 기원의 동정 | ||
![]() |
솔로몬 H. 스나이더 Solomon H. Snyder |
![]() |
오피오이드 수용체 발견 및 엔케팔린과의 상호 작용에 관한 선구적 업적 | ||
1979년 | ![]() |
월터 길버트 Walter Gilbert |
![]() |
고속 DNA 염기서열화를 가능케하는 신기술 개발 | |
![]() |
프레더릭 생어 Frederick Sanger |
![]() | |||
![]() |
로저 울컷 스페리 Roger Wolcott Sperry |
![]() | |||
1980년대[편집] | |||||
1980년 | ![]() |
폴 버그 Paul Berg |
![]() |
재조합 DNA 기술 개발 | |
![]() |
허버트 보이어 Herbert Boyer |
![]() |
효소·플라스미드·DNA합성으로의 재조합 DNA 기술을 응용 | ||
![]() |
스탠리 노먼 코언 Stanley Norman Cohen |
![]() |
재조합 DNA 기술에 대한 광범위한 기여 및 세포 사이의 유전자 이식 개발 | ||
![]() |
A. 데일 카이저 A. Dale Kaiser |
![]() |
1본쇄 DNA 연구를 통해 재조합 DNA 기술 개발에 대한 결정적 역할 | ||
1981년 | ![]() |
바버라 매클린톡 Barbara McClintock |
![]() |
DNA내에서의 위치를 이동할 수 있는 염기서열(트랜스포존)을 발견 | |
1982년 | ![]() |
존 마이클 비숍 John Michael Bishop |
![]() |
암유전자 해석 및 그것들이 정상 세포에 존재한다는 것을 발견 | |
![]() |
레이먼드 L. 에릭슨 Raymond L. Erikson |
![]() |
암유전자에 의해 만들어지는 단백질의 동정 및 기능 해석 | ||
![]() |
하나후사 히데사부로 Hidesaburo Hanafusa |
![]() |
RNA 종양 바이러스로 인한 발암기구 및 바이러스 게놈 내에 존재하는 암유전자의 역할에 관한 연구 | ||
![]() |
해럴드 엘리엇 바머스 Harold Elliot Varmus |
![]() |
세포성 암유전자와 그 제어에 관한 연구 | ||
![]() |
로버트 갤로 Robert Gallo |
![]() |
백혈병·림프종의 원인이 되는 RNA 종양 바이러스를 발견 | ||
1983년 | ![]() |
에릭 캔들 Eric Kandel |
![]() |
세포생물학적 기술을 적용한 학습과 기억의 메커니즘을 규명 | |
![]() |
버넌 벤저민 마운트캐슬 Vernon Benjamin Mountcastle |
![]() |
뇌에 있어서의 정보 파악과 구성, 지각자극을 행동으로 변환하는 능력에 관한 발견 | ||
1984년 | ![]() |
마이클 포터 Michael Potter |
![]() |
혼성세포 제작에 길을 터 준 항체에 관한 기초 연구 | |
![]() |
세사르 밀스테인 César Milstein |
![]() ![]() |
혼성세포 제작의 첫 성공 | ||
![]() |
게오르게스 J. F. 쾰러 Georges J. F. Köhler |
![]() |
골수종 세포를 이용한 혼성세포 제작의 성공 | ||
1985년 | ![]() |
마이클 스튜어트 브라운 Michael Stuart Brown |
![]() |
심혈관계 질환 치료를 위한 새로운 길을 여는 콜레스테롤 대사 조절에 대한 연구 | |
조지프 L. 골드스타인 Joseph L. Goldstein |
![]() | ||||
1986년 | ![]() |
리타 레비몬탈치니 Rita Levi-Montalcini |
![]() |
세포 성장을 촉진하는 성장 인자(NGF)의 발견 | |
![]() |
스탠리 코언 Stanley Cohen |
![]() |
상피세포증식인자(EGF)의 발견 및 생화학적 해석 | ||
1987년 | ![]() |
리로이 후드 Leroy Hood |
![]() |
면역계 체세포 재조합에 관한 연구 | |
![]() |
필립 레더 Philip Leder |
![]() |
발암에 대한 유전학적 연구와 유전자변형동물을 개발 | ||
![]() |
도네가와 스스무 Susumu Tonegawa |
![]() |
다양한 항체를 생성하는 유전학적 원리 규명 | ||
1988년 | ![]() |
토머스 체크 Thomas Cech |
![]() |
RNA에 의한 촉매 기능 연구 | |
![]() |
필립 앨런 샤프 Phillip Allen Sharp |
![]() |
RNA 스플라이싱 기구에 관한 일련의 발견 | ||
1989년 | ![]() |
마이클 베리지 Michael Berridge |
![]() |
이노시톨트리스인산(IP3)에 의한 세포내 칼슘 농도 조절 및 세포 활동 제어 기구에 관한 연구 | |
![]() |
앨프리드 G. 길먼 Alfred G. Gilman |
![]() |
세포내 신호 전달의 선구적 연구 및 주요 조절 인자인 G단백질의 발견 | ||
![]() |
에드윈 G. 크레브스 Edwin G. Krebs |
![]() |
효소 활성화에 있어서 인산화의 중요성 및 단백질키나아제 역할에 관한 발견 | ||
![]() |
니시즈카 야스토미 Yasutomi Nishizuka |
![]() |
신호 전달 경로 규명에 대한 공헌과 발암 물질에 의한 단백질키나아제C 활성화를 통한 세포 증식 유도의 발견 | ||
1990년대[편집] | |||||
1990년 | (수상자 없음) | ||||
1991년 | ![]() |
에드워드 B. 루이스 Edward B. Lewis |
![]() |
혹스 유전자 역할을 규명하고 현대의 배발생 연구로의 길을 개척한 Bithorax 복합체의 기초 연구 | |
![]() |
크리스티아네 뉘슬라인폴하르트 Christiane Nüsslein-Volhard |
![]() |
생물의 기본적인 몸의 구조를 만들기 위한 유전자 발견을 이끌었고 생물학에 대한 새로운 분야를 개척 | ||
1992년 | (수상자 없음) | ||||
1993년 | 권터 블로벨 Günter Blobel |
![]() |
시그널 펩타이드에 의한 세포내 단백질 이동 경로를 발견 | ||
1994년 | 스탠리 B. 프루시너 Stanley B. Prusiner |
![]() |
신경변성 질환의 원인이 되는 새로운 유형의 감염 인자(프리온)를 발견 | ||
1995년 | ![]() |
피터 C. 도허티 Peter C. Doherty |
![]() |
주조직 적합성 복합체(MHC)의 구속성 발견 | |
![]() |
잭 L. 스트로밍거 Jack L. Strominger |
![]() |
MHC 클래스I·클래스II 단백질 및 그 펩티드 복합체의 단리와 구조를 규명 | ||
![]() |
에밀 R. 우나누에 Emil R. Unanue |
![]() |
MHC 펩티드 결합과 항원제시에 관한 독창적인 발견 | ||
![]() |
돈 크레이그 와일리 Don Craig Wiley |
![]() |
MHC 및 항체 복합체의 3차원 구조의 가시화 | ||
![]() |
롤프 M. 칭커나겔 Rolf M. Zinkernagel |
![]() |
MHC 구속성 및 altered-self hypothesis에 관한 중요한 발견 | ||
1996년 | ![]() |
로버트 F. 퍼치곳 Robert F. Furchgott |
![]() |
내피세포유래이완인자(EDRF)의 발견 및 심혈관계 질환 치료와의 관련 연구 | |
![]() |
페리드 뮤라드 Ferid Murad |
![]() |
EDRF로서의 일산화 질소 발견 및 사이클릭 GMP를 통한 신호 전달 경로의 해명 | ||
1997년 | ![]() |
마크 프타슈네 Mark Ptashne |
![]() |
전사인자에 의한 유전자 발현 기구의 규명 | |
1998년 | ![]() |
릴런드 H. 하트웰 Leland H. Hartwell |
![]() |
효모·개구리·인간 등 모든 진핵생물에 공통되는 세포 분열 조절 기구에 관한 연구 | |
![]() |
마스이 요시오 Yoshio Masui |
![]() | |||
![]() |
폴 너스 Paul Nurse |
![]() | |||
1999년 | ![]() |
클레이 암스트롱 Clay Armstrong |
![]() |
세포의 막 전위를 제어하는 이온 통로의 기능과 구조의 규명 | |
![]() |
버틸 힐 Bertil Hille |
![]() | |||
![]() |
로더릭 매키넌 Roderick MacKinnon |
![]() | |||
2000년대[편집] | |||||
2000년 | ![]() |
아론 치에하노베르 Aaron Ciechanover |
![]() |
유비퀴틴을 통한 단백질 분해 경로 발견 | |
![]() |
아브람 헤르슈코 Avram Hershko |
![]() | |||
![]() |
알렉산더 바르샤브스키 Alexander Varshavsky |
![]() ( ![]() | |||
2001년 | 마리오 카페키 Mario Capecchi |
![]() ( ![]() |
생쥐의 배아줄기세포를 이용한 유전자 적중법을 발견 | ||
![]() |
마틴 에번스 Martin Evans |
![]() | |||
올리버 스미시스 Oliver Smithies |
![]() ( ![]() | ||||
2002년 | ![]() |
제임스 로스먼 James Rothman |
![]() |
세포 내막 수송(소포 수송) 조절 기구의 발견 | |
![]() |
랜디 셰크먼 Randy Schekman |
![]() | |||
2003년 | ![]() |
로버트 G. 로더 Robert G. Roeder |
![]() |
진핵생물인 RNA 중합효소와 전사 기구에 대한 선구적인 연구 | |
2004년 | ![]() |
피에르 샹봉 Pierre Chambon |
![]() |
배발생과 다양한 대사회로 조절에 관여하는 핵 수용체 발견 | |
![]() |
로널드 M. 에번스 Ronald M. Evans |
![]() | |||
![]() |
엘우드 V. 젠슨 Elwood V. Jensen |
![]() | |||
2005년 | ![]() |
어니스트 매컬러 Ernest McCulloch |
![]() |
조혈모세포의 발견 | |
![]() |
제임스 틸 James Till |
![]() | |||
2006년 | 엘리자베스 블랙번 Elizabeth Blackburn |
![]() ![]() |
텔로미어를 늘려 게놈의 안정성을 유지하는 효소·텔로머레이스를 발견 | ||
캐럴 W. 그라이더 Carol W. Greider |
![]() | ||||
![]() |
잭 쇼스택 Jack W. Szostak |
![]() | |||
2007년 | ![]() |
랠프 M. 스타인먼 Ralph M. Steinman |
![]() |
면역계의 중요한 요소인 수지상 세포의 발견 | |
2008년 | ![]() |
빅터 앰브로스 Victor Ambros |
![]() |
동식물의 유전자 발현을 조절하는 미세한 RNA(마이크로 RNA) 발견 | |
![]() |
데이비드 볼콤 David Baulcombe |
![]() | |||
![]() |
게리 루브컨 Gary Ruvkun |
![]() | |||
2009년 | 존 거든 John Gurdon |
![]() |
분화된 성숙세포를 초기 줄기세포로 유도하는 세포핵 리프로그래밍(nuclear reprogramming)에 관한 발견 | ||
![]() |
야마나카 신야 Shinya Yamanaka |
![]() | |||
2010년대[편집] | |||||
2010년 | ![]() |
더글러스 L. 콜먼 Douglas L. Coleman |
![]() |
식욕과 체중을 조절하는 호르몬인 렙틴 발견 | |
![]() |
제프리 M. 프리드먼 Jeffrey M. Friedman |
![]() | |||
2011년 | ![]() |
프란츠울리히 하르틀 Franz-Ulrich Hartl |
![]() |
단백질의 접힘 기구에 관한 발견 | |
![]() |
아서 L. 호리치 Arthur L. Horwich |
![]() | |||
2012년 | ![]() |
마이클 시츠 Michael Sheetz |
![]() |
세포내에서의 운반, 근수축 및 세포의 이동을 가능하게 하는 운동단백질에 관한 발견 | |
![]() |
제임스 스푸디치 James Spudich |
![]() | |||
![]() |
로널드 베일 Ronald Vale |
![]() | |||
2013년 | ![]() |
리처드 셸러 Richard Scheller |
![]() |
신경전달물질의 급속한 방출의 기초가 되는 분자 기구 및 조절 시스템에 관한 발견 | |
![]() |
토마스 C. 쥐트호프 Thomas C. Südhof |
![]() ( ![]() | |||
2014년 | ![]() |
모리 가즈토시 Kazutoshi Mori |
![]() |
소포체에 있어서 접힌 것을 잘못 유해한 단백질을 검출하고 스트레스를 해소하기 위한 신호를 핵으로 전달하는 세포내 품질유지 시스템, 소포체 스트레스에 관한 발견 | |
![]() |
피터 월터 Peter Walter |
![]() | |||
2015년 | ![]() |
스티븐 엘리지 Stephen Elledge |
![]() |
모든 생물의 게놈을 보호하는 기본적 기구인 DNA 손상 반응에 관한 발견[2] | |
![]() |
에블린 M. 윗킨 Evelyn M. Witkin |
![]() | |||
2016년 | ![]() |
윌리엄 케일린 주니어 William Kaelin Jr. |
![]() |
세포의 생존에 필수적 과정인 산소 이용률의 변화를 감지하고 적응하기 위한 경로 발견[3] | |
![]() |
피터 J. 랫클리프 Peter J. Ratcliffe |
![]() | |||
![]() |
그레그 L. 서멘자 Gregg L. Semenza |
![]() | |||
2017년 | ![]() |
마이클 N. 홀 Michael N. Hall |
![]() ![]() |
시롤리무스 표적 단백질(TOR) 및 세포 성장의 대사 조절에 있어서 그 중심적 역할에 관한 발견[4] | |
2018년 | ![]() |
찰스 데이비드 앨리스 Charles David Allis |
![]() |
히스톤의 화학 수식에 의한 유전자 발현으로의 영향에 관한 발견[5] | |
![]() |
마이클 그룬스타인 Michael Grunstein |
![]() ( ![]() | |||
2019년 | ![]() |
맥스 데일 쿠퍼 Max Dale Cooper |
![]() |
두 개의 다른 림프구, B세포와 T세포의 발견으로 획득면역의 원리 규명 및 근대 면역학의 창시[6] | |
![]() |
자크 밀러 Jacques Miller |
![]() ( ![]() | |||
2020년대[편집] | |||||
2020년 | (수상자 없음) | ||||
2021년 | ![]() |
칼 다이세로스 Karl Deisseroth |
![]() |
각각의 뇌세포를 활성화하거나 비활성화시키는 광활성 미생물 단백질 발견과 신경과학의 혁신적 신기술인 광유전학 개발 | |
![]() |
페터 헤게만 Peter Hegemann |
![]() | |||
![]() |
디터 외스터헬트 Dieter Oesterhelt |
![]() | |||
2022년 | ![]() |
리처드 하인스 Richard Hynes |
![]() |
주요 세포부착분자인 인테그린에 관한 발견[7] | |
![]() |
에르키 루오슬라티 Erkki Ruoslahti |
![]() ![]() | |||
![]() |
티모시 스프링거 Timothy A. Springer |
![]() |
- 국적 항목에 두 개의 표시가 있는 사람은 이중 국적자를 뜻함.
각주[편집]
- ↑ “The Lasker Awards Overview”. Lasker Foundation. 2011년 11월 12일에 확인함.
- ↑ “Award Description”. Lasker Foundation. 2015년 11월 12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5년 9월 8일에 확인함.
- ↑ “Award Description”. Lasker Foundation. 2016년 10월 9일에 확인함.
- ↑ “Award Description”. Lasker Foundation. 2017년 9월 12일에 확인함.
- ↑ “Award Description”. Lasker Foundation. 2018년 9월 15일에 확인함.
- ↑ “Award Description”. Lasker Foundation. 2019년 9월 12일에 확인함.
- ↑ “Award Description”. Lasker Foundation. 2022년 10월 3일에 확인함.
같이 보기[편집]
외부 링크[편집]
- (영어) 래스커 재단
- (영어) 래스커상 공식 홈페이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