애기개미핥기
![]() | 이 문서는 영어 위키백과의 Cyclopes didactylus 문서를 번역하여 문서의 내용을 확장할 필요가 있습니다. |
![]() | ||||||||||||||||||
애기개미핥기 | ||||||||||||||||||
보전 상태 | ||||||||||||||||||
---|---|---|---|---|---|---|---|---|---|---|---|---|---|---|---|---|---|---|
![]() 최소관심(LC), IUCN 3.1[1] | ||||||||||||||||||
생물 분류![]() | ||||||||||||||||||
| ||||||||||||||||||
학명 | ||||||||||||||||||
Cyclopes didactylus | ||||||||||||||||||
아종 | ||||||||||||||||||
| ||||||||||||||||||
![]() 애기개미핥기의 분포 지역 |
애기개미핥기(학명: Cyclopes didactylus)는 멕시코 극남부에서 브라질 남부에 걸쳐 분포하는 개미핥기의 한 종류이며, 애기개미핥기과의 유일한 종이다.
애기개미핥기는 개미핥기 중에서도 가장 작아서, 몸길이는 36~45cm이고 몸무게는 400g을 넘지 못한다. 부드럽고 빽빽한 황금빛 털이 몸을 덮고 있고, 다른 개미핥기와 비교해서 짧은 주둥이를 가지고 있으며, 부분적으로는 물체를 휘감거나 잡을 수 있는 꼬리를 가진다. 대체적으로 야행성이고 교목성이다. 곤충을 포식하며, 남아메리카 북부의 저지대의 열대 우림에서 서식한다.
아종[편집]
- Cyclopes didactylus didactylus
- Cyclopes didactylus catellus
- Cyclopes didactylus dorsalis
- Cyclopes didactylus eva
- Cyclopes didactylus ida
- Cyclopes didactylus melini
- Cyclopes didactylus mexicanus
계통 분류[편집]
빈치상목 |
| |||||||||||||||||||||||||||||||||||||||||||||||||||||||||
각주[편집]
![]() |
위키미디어 공용에 관련된 미디어 분류가 있습니다. |
![]() |
위키생물종에 관련된 분류 및 자료가 있습니다. |
- ↑ Miranda, F.; Meritt, D.A.; Tirira, D.G. & Arteaga, M. (2014). “Cyclopes didactylus”. 《IUCN 적색 목록》 (IUCN) 2014: e.T6019A47440020. doi:10.2305/IUCN.UK.2014-1.RLTS.T6019A47440020.en. 2018년 1월 4일에 확인함.
- ↑ Slater, G., Cui, P., Forasiepi, A. M., Lenz, D., Tsangaras, K., Voirin, B., ... & Greenwood, A. D. (2016). Evolutionary relationships among extinct and extant sloths: the evidence of mitogenomes and retroviruses. Genome biology and evolution, evw023.
- ↑ Delsuc, F., Gibb, G. C., Kuch, M., Billet, G., Hautier, L., Southon, J., ... & Poinar, H. N. (2016). The phylogenetic affinities of the extinct glyptodonts. Current Biology, 26(4), R155-R15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