앙카라 지하철
![]() M1 예니마할레 역 승강장 | |
![]() 노선도 | |
정보 | |
---|---|
종류 | 경전철 ![]() 도시철도 ![]() |
국가 | ![]() |
상태 | 영업 중 |
노선 수 | 5 |
역 수 | 56 |
운영 | |
개통일 | 1996년 8월 20일 |
소유자 | Electricity, Gas, Bus General Directorate (EGO) |
운영자 | Electricity, Gas, Bus General Directorate (EGO) |
시설 | |
총 노선 연장 | 64.36 km |
앙카라 지하철(튀르키예어: Ankara Metrosu)은 튀르키예 앙카라의 지하철이다. 현재 앙카라에는 경전철인 앙카라이와 M1(Batıkent Metrosu)과 2014년에 개통한 M2(Çayyolu Metrosu), M3(Törekent Metrosu)가 운행중이다. 2013년 앙카라이와 M1은 8,940만명을 수송했고, 이는 하루 약 244,930명을 수송한 것이었다.
크즐라이와 케치외렌(Keçiören)을 잇는 M4도 2017년 6월에 개통했다. 크즐라이역과 아타튀르크 문화센터역을 잇는 M4의 구간은 현재 건설중이다,
또한, 크즐라이와 에센보아 국제공항을 연결하는 노선도 계획되어 있다.
역사[편집]
앙카라이[편집]
튀르키예어로 앙카라 철도를 의미하는 앙카라이(튀르키예어: Ankaray)는 경전철로 앙카라의 첫 번째 도시철도 노선이었다. 앙카라이는 지멘스 AG 컨소시엄이 1992년부터 1996년까지 공사를 진행했다. 아쉬티(AŞTİ)와 디키메비를 연결하는 노선으로 8.53km이고, 이 중 6.68km는 지하로 다닌다. 현재 11개역이 있다.
앙카라 메트로[편집]
앙카라 M1은 1997년 12월 29일 개통되었으며, 크즐라이에서 바트켄트까지 연결한다.
M2는 2014년 2월 12일에 개통됐으며, 크즐라이에서 코루를 연결한다. M3는 2014년 3월 13일에 개통했으며, 바트켄트와 퇴레켄트를 연결한다. M3는 M1의 연장노선이라고 볼 수 있다.
가지노역과 아타튀르크 문화센터역을 잇는 M4는 2017년 6월 5일 개통했다.
운행노선[편집]
노선[편집]
노선명 | 루트 | 운행년도 | 길이[1] | 역 수[1] |
---|---|---|---|---|
![]() |
디키메비(Dikimevi) ↔ 아쉬티(AŞTİ ,Ankara Şehirlerarası Terminal İşletmesi) | 1996 | 8.53 km (5.30 mi) | 11 |
![]() |
크즐라이(Kızılay) ↔ 바트켄트(Batıkent) | 1997 | 14.66 km (9.11 mi) | 12 |
![]() |
크즐라이(Kızılay) ↔ 코루(Koru) | 2014 | 16.59 km (10.31 mi) | 11 |
![]() |
바트켄트(Batıkent) ↔ 퇴레켄트(Törekent) | 2014 | 15.36 km (9.54 mi) | 11 |
![]() |
아타튀르크 문화센터(Atatürk Cultural Center) ↔ 가지노(Gazino) | 2017 | 9.22 km (5.73 mi) | 9 |
총: | 64.36 km (39.99 mi) | 56 |
현재 운행역[편집]
앙카라이(Ankaray)[편집]
- 디키메비(Dikimevi)
- 쿠르투루쉬(Kurtuluş) (환승 : 신잔-카야쉬선)
- 콜레지(Kolej)
- 크즐라이(Kızılay) (환승 : M1, M2)
- 데미르테페(Demirtepe)
- 말테페(Maltepe)
- 탄도안(Tandoğan)
- 베쉐브레르(Beşevler)
- 바흐체리에브레르(Bahçelievler)
- 에멕(Emek)
- 아쉬티(AŞTİ)
- 쇠위퇴쥐(Söğütözü) (환승 : M2) - 건설 중(2015년 말 완공 예정)
M1[편집]
- 크즐라이(Kızılay) (환승 : M2, 앙카라이)
- 스히예(Sıhhiye) (환승 : 신잔-카야쉬선)
- 울루스(Ulus)
- 퀼튀르 메르케지(Kültür Merkezi, 아타튀르크 문화원)
- 아크쾨프뤼(Akköprü)
- 이베딕(İvedik)
- 예니마할레(Yenimahalle) (환승 : 신잔-카야쉬선)
- 데메테브레르(Demetevler)
- 하스타네(Hastane)
- 마준쾨이(Macunköy)
- 오스팀(Ostim)
- 바트켄트(Batıkent) (환승 : M3)
M2[편집]
- 크즐라이(Kızılay) (환승 : M1, 앙카라이)
- 네자티베이(Necatibey)
- 밀리 퀴튑하네(Milli Kütüphane)
- 쇠위퇴쥐(Söğütözü) (환승 : 앙카라이)
- 마덴 테크닉 베 아라마(Maden Teknik ve Arama)
- 오르타 도우 테크닉 유니버시테시(Orta Doğu Teknik Üniversitesi, 중동 공과대학교)
- 빌켄트(Bilkent)
- 쾨이 히즈멧레리(Köy Hizmetleri)
- 베이테페(Beytepe)
- 위미트쾨이(Ümitköy)
- 차이욜루 1(Çayyolu 1)
- 코루(Koru)
M3[편집]
- 바트켄트(Batıkent) (환승 : M1)
- 바티 메르케즈(Bati Merkez)
- 메사(Mesa)
- 보타닉(Botanik)
- 이스탄불 욜루(Istanbul Yolu)
- 에르야만 1-2(Eryaman 1-2)
- 에르야만 5(Eryaman 5)
- 데브렛 마흐.(Devlet Mah.)
- 하리카라르 디야리(Harikalar Diyari)
- 파티흐(Fatih)
- GOP(GOP)
- OSB-퇴레켄트(OSB-Törekent)
M4(케치외렌선)[편집]
- 크즐라이(Kızılay (공사중 - 2019년말 개통 예정) (환승: M1, M2, 앙카라이))
- 아드리예(Adliye (공사중 - 2019년말 개통 예정))
- 앙카라고속철도역 (TCDD Hızlı Tren Garı (공사중 - 2019년말 개통 예정))
- 아타튀르크 문화 센터(Atatürk Kültür Merkezi)
- 아쉬키(ASKİ)
- 드쉬카프(Dışkapı)
- 메트로로지(Meteroloji)
- 벨레디예(Belediye)
- 메시디예(Mecidiye)
- 쿠유바쉬(Kuyubaşı)
- 두트룩(Dutluk)
- 가지노(Gazino)
사진[편집]
각주[편집]
- ↑ 가 나 “GENERAL DIRECTORATE of EGO - THE SUBWAY SYSTEMS - OPERATED RAIL SYSTEM LINES”. General Directorate of EGO. 2012년 8월 29일. 2014년 5월 25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4년 5월 23일에 확인함.
외부 링크[편집]
![]() |
위키미디어 공용에 관련된 미디어 분류가 있습니다. |
- 앙카라 지하철 - 공식 웹사이트